생2 저해제 질문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40217


위에 개념설명에는 페니실린은 경쟁적 저해제가 아니라서 기질농도가 증가해도 저해효과가 감소하지 않는다고 되어잇는데 기출문제보면 경쟁적 저해제 그래프처럼 나와있는데 이거 개념책이 잘못된건가요? 제가 생각하기에도 만약극단적으로 페니실린이 하나 있고 기질이 한100억개 잇다고 생각해보면 경쟁적 저해제처럼 결국에는 그래프가 그려질것같은데... 뭐가맞는거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기출에서 ㄷ 보기가 정답인가요?
네 답은5번입니다
교학사 권 교과서에는 경쟁적 저해제라고 나와있네요 사진 첨부해서 올려드릴게요
비가역적저해인 경쟁적 저해제였던걸로 기억...
활성화부위에 경쟁적으로 결합하는 비가역적 저해제라서 그런거같습니다. 근데 교과서,강사마다 말이 다 달라서 나올가능성 0에 수렴할듯요..
이게 정답 비가역적인 경쟁적 저해제가 맞아요 ㅋㅋ
교과서에는 가역적저해제중 경쟁적저해제, 비경쟁적저해제로 구분했는데 사실 비가역적저해제도 있는데 그 예중 하나가 페니실린이에요 효소의 활성화부위에 결합한 후 모양이 원래대로 돌아가지 않기때문에 그래프가 비경쟁적저해제처럼 나타납니다
가 그림에서 페니실린이 활성부위에서 기질과 경쟁적으로 결합하는 그림이니까 경쟁적 저해제로 봐야 할것 같아요.. 페니실린이 경쟁적 저해제 인지 비경쟁적 저해제 인지는 잘 모르겠네욤ㅠㅠ
엄밀하게는 둘다아니긴한데
좀 달라요
활성부위에 붙긴한데.. 비가역적이라서
이거 출제오류에요
학계에서 사용하는 분류로는 경쟁적 저해제가 아닌데,
아실 필요 없고, 페니실린도 경쟁적 저해제로 보는 책들도 있습니다.
정말 말그대로 효소의 활성부위에 기질과 경쟁적으로 결합하니까요.
그리고 페니실린의 경우에도 우리가 일반적으로 배웠던 경쟁적 저해제와 거의 비슷하게 그려집니다.
그래프는 '초기반응속도'를 가지고 측정하여 그리기 때문에, 윗 분들이 언급하셨던 가역/비가역 여부와는 상관없이 개형이 그려질겁니다.
실험은 아마 안해보셨겠지만 여러 실험관에 기질의 양과 저해제의 양을 달리 하여 넣어 놓고 효소를 같이 떨구고, 반응정지 용액이라는거를 잠시 뒤에 떨어뜨립니다.
가역적, 비가역적인 저해제의 유무는 단순히 이 '짧은' 시간 동안에 역반응을 고려하느냐 마느냐에 차이인데 개형에서 큰 차이를 가져오지 않아요.
결론. 페니실린은 (엄밀히는) 경쟁적 저해제가 아니나 5종의 교과서에서 모두 언급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경쟁적 저해제로 알고 계시는게 좋구요,
초기반응속도 그래프는 배우셨던대로 그려집니다.
그럼저 개념책이 틀린게 되나요?..
다른개념책으로바꿔야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