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에 인생을 걸고 임하는 상위권을 배려할 생각은 안하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385208
공교육 살리기 쉬운수능 ㅇㅈㄹ
지 9수했다고 학생들도 9수시킬 생각인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양파인만) [칼럼] 부끄러운 삶을 살았습니다!(내신7등급 모고9등급) 31
부끄럼 많은 생애를 보냈습니다.저는 인간의 삶이라는 것을 도무지 이해할 수...
-
9등급에서 1등급 된 사람이 자주 듣던 질문 & 답변 모음 1
안녕하세요 중고등학교 내내 7~9등급으로 학교를 다니다 (심지어 학교도...
-
9에서 1등급 찍은 사람이 말하는 [9에서 3 vs 3에서 1] 2
안녕하세요 멘토 우석몬입니다. 저는 중고등학교내내 9등급으로 졸업을 하고,...
-
나 아이비리그 아니지만 영국 러셀그룹이란 말이야............ 수학과...
-
중고등학교 내내 7~9등급, 고등학교는 직업학교 나오고, 인생에 한번 뿐이라며 수능...
-
채널가시면 1화, 2화도 잇고, 순차적으로 올리고 있어요 ! 나중에 이 스토리...
-
안녕하세요 수학에 관련해서 몇가지만 작성해볼게요 ㅎㅎ 다 읽으신분들...
-
학창시절 공부안하다가 군대갔다와서 공부시작. 1등급달성 학창시절 공부 얼마나...
-
뻘글 4
1
26시켜줘요 ㄱㄱ
저같은 하위권들은
센츄떼라
외우자 대한민국 교육의 디폴트 = ' 수시 '
정시는죄악이다(3수의눈물을흘리며)
9수생은 먼가 다르게 보이나봅니다
친하게 지내고싶은데 막상 친하게 대하면 고백할까봐 연인관계는 미리 선그으면서. 친하게 지내저는말임요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856880?sid=100
이권 카르텔 개혁을 위한 윤카의 소신인데요? ㅋㅋㅋㅋ
이주호 교육부장관 : 과거 입학사정관제 창시자

'스펙'만 키우거나 중학교 때부터 생기부 컨설팅에 돈 바른 애들한테 더 유리한 게 현실 아닌가요...이번에 최저랑 면접 없는 의대 수시 있던데
공교육에서 다루지 않은 주제의 비문학 지문이 사교육을 조장한다고 말씀하셨던데 애초에 수능에서 비문학이라는 분야의 존재 이유가 ‘처음 보는 정보를 체계적으로 처리해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함 아닌가요? 여기에 ebs 연계 체감을 높이는 등의 조치를 걸어버리면 측정하고자 하는 것에 왜곡을 가져올 수 밖에 없는데 시험의 본질을 왜곡해가면서까지 공정성을 추구한다는 명목으로 공교육의 영향력을 키우는 것은 적절하지 않지 않나 싶네요,,

완벽히 O왜 평가원장은 안 잘랐는지 궁금하신 분은 쪽지주세요ㅋㅋㅋ
공무원 시험이 아닌데...
화작 기하 죽어요 제발 불수능 ;;
역대급 물로 나오면 만점 연의 불합 ㄱㄴ..
화작 1컷 97-100
기하 확통 1컷 92
탐구 47-50 진동
아마
이럴느낌이팍오긴함
오늘도 통통이는 죽어납니다...
왜 9수했는지 알겠다..
이 사람들 사시를 9수 한거지 누가 보면 9수해서 설법 들어간것처럼 말하네,,
ㄹㅇㅋㅋㅋ
학교에서 학생을 잘 가르치고 수능 문제에 대비할 수 있도록 교육 시스템을 개선하고 교사의 역량을 기를 생각을 해야지, 역으로 현재의 공교육의 현실에 맞게 수능 문제의 수준을 끌어 내린다면 더 큰 혼란만 가중할 뿐입니다. 즉, 수능을 공교육에 맞추지 말고, 공교육을 수능에 맞춰야 합니다.
2011년부터 공교육 살리겠다고 EBS 수능 연계, 반영 이런 정책 해봤자, 어차피 EBS 교재 내용도 사교육 강사들이 더 잘 가르치고 대비하기 때문에, 공교육 정상화(?)에는 아무런 효과가 없다는 것을 인정해야 합니다. EBS 연계든, 만점자 1% 맞추기든, 공교육 살리기를 명분으로 정부에서 억지로 시험 출제 과정에 개입하면, 수능의 본래 취지를 훼손하며 왜곡된 시험으로 '개악'될 뿐입니다.
좌·우 가리지 않고 경쟁, 줄세우기 자체를 부정적으로 보고 현행 입시 제도를 무력화하는 시도를 하는데, 애초에 타인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좋은 대학에 진학하여 높은 사회적 지위를 차지하고 싶은, 인간의 기본적 욕구 자체가 사라지지 않는 한(최소한 우리나라에서는), 어떤 제도를 가져와도 절대 해결되지 않습니다.
부작용 없는 이상적 제도를 찾기 보다, 그나마 부작용이 덜한 제도를 유지하는 게 낫습니다. 정부와 시민단체는 수능의 한계를 지적하기 이전에, 과연 수능을 대체하고자 하는 제도가 싱대적으로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지, 아니면 오히려 더 큰 문제를 야기하는지를 제대로 직시해야 합니다. 자꾸 교육을 정치 논리로만 보려고 하지 말고...
그리고 좌파 시민단체들 자꾸 암기식, 주입식, 문제 풀이 위주 교육 없애고 사고력, 창의력 중심의 미래 교육으로 가야 한다고 허수아비 때리면서 수능 비판하는데, 그런 논리라면 오히려 내신의 영향력을 약화하고 수능+대학별고사 위주로 가야지... 수능과 내신 중 뭐가 사고력 중심의 인지능력시험인지도 모르고 자기들 생각하고 싶은 대로 왜곡해서 억지 주장하니까 문제...
역대급 물수능보다 더한 물수능 나오는건가?
올해 컷 예측해 봅니다ㅜㅜ
수학: 15수능 b형
과학,사회: 16수능/22수능 물2
국어: 중학교 1학년 모의고사 (실제는 고교 모고밖에 없지만 중학교 모의고사도 있다고 치고)
영어: abcdefg_ijk 에서 _에 들어갈 글자로 알맞은 것은?

오르비의 힘을 보여주자120만 수험생의 무서움을 보여주자고
근데 현역들은 그냥 슬렁 슬렁 공부하다 물수능이면 거의 만점권으로 팍 튀는애들이
참 많이생겨서...... 재수 이상은 오히려 평소 잘하다 쉬운수능이면 머리꽈서ㅜ생각하다 하나씩 나가면 백분위 97숙이됨
수능 쉬우면 대역전극이 나오긴하죠
재수생인데 수시도 쓸수있게 내신챙긴 과거의 나한테 고마움을 느낀다,,
점수가 70점대까지 널뛰기하는 사람들은 차라리 쉬운 수능이 기조상 유리하지 않나요
진짜 오르비에서 서명 운동이라도 해야되는거 아닌가요,,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