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아송괄호 [1148349] · MS 2022 · 쪽지

2023-06-16 00:38:41
조회수 1,280

“일진저”라는 표현은 무슨 뜻인가요?(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383458

”내 이름은 청춘일진저“


”그대는 풍요로운 어머니일진저“


사용용례가 이런 것 밖에 없네요 ㅜ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나없망가학어국 · 1225447 · 23/06/16 00:39 · MS 2023

    어미 '-ㄹ진저' 검색해 보세요

  • 나없망가학어국 · 1225447 · 23/06/16 00:40 · MS 2023 (수정됨)

    (예스러운 표현으로) 해라할 자리에 쓰여, 마땅히 ‘-어야 할 것이다’ 또는 ‘-일 것이다’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장엄성을 띤 글에 쓴다.

    '조사 이-+-ㄹ진저'임

  • 푸아송괄호 · 1148349 · 23/06/16 00:41 · MS 2022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챗gpt인 줄.. 감사합니다 ㅜ

  • 푸아송괄호 · 1148349 · 23/06/16 00:42 · MS 2022

    앞에 ㄹ은 뭐예요?

  • 나없망가학어국 · 1225447 · 23/06/16 00:44 · MS 2023

    '할지(하-+-ㄹ지), '갈래(가-+-ㄹ래)'처럼 걍 어미가 ㄹ까지 포함하는 거예요. 굳이 따지자면 역사적으로 ㄹ은 미래와 관련된 어미에 흔히 쓰였으니 이와 관련됐다 할 수 있겠습니다.

  • 푸아송괄호 · 1148349 · 23/06/16 00:49 · MS 2022

    오 언매를 안 해서 ㅜㅜ 이해했어요

    근데 소원일진저, 싸울진저, 마땅할진저

    이런게 차이가 나는 이유는 소원이다+ㄹ진저리서 이 밑에 ㄹ 들어가서 소원일진저? ’다‘는 사라지고

    같은 맥락에서 싸우다.니까 다만 사라지면 싸울진저

    마땅하다에서 다는 사라지고 마땅하에서 밑에 ㄹ들어가서 마땅할진저 이렇게 된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 나없망가학어국 · 1225447 · 23/06/16 00:50 · MS 2023 (수정됨)

    그렇습니다. 어간에 어미가 붙는 게 한국어 동사, 형용사의 활용인데 어간이란 활용할 때 변하지 않는 부분을 의미합니다. '-다' 뺀 부분이 어간이니 그 뒤에 '-고, -지만, -(으)니, -ㄹ진저' 같은 어미가 붙는 거죠

  • 푸아송괄호 · 1148349 · 23/06/16 00:52 · MS 2022

    우와 님 언매 진짜 잘하시네요 감사합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