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공부 계획을 대학생 버전으로 작성해봤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370067
고등학생 3학년 때
<국어>
독서: 만점의 생각 (조경민T)
언매: 현강 (대치명인 김정연T)
화작: 그냥 모의고사 때마다 풀어보고 오답
<수학>
수학1: 한완수, 한성은T
수학2: 한완수, 한성은T
미적분: 한완수, 한성은T
확통: 한성은T
기하: 한성은T
<영어>
듣기: ebsi 풀서비스에서 기출 pdf, 듣기 파일 활용
비킬러: ebsi 풀서비스 기출 pdf 활용
킬러: 현강 (대치명인 황승훈T)
<한국사>
1월~9월: 유기
10월~: 대성 마이맥 권용기T
<물리학1>
대성 마이맥 방인혁T
<지구과학1>
1~6월: 메가 스터디 오지훈T
7월~: 유기
<물리학2>
3~4월: 메가 스터디 배기범T
<생명과학2>
4~6월: 메가 스터디 백호T
7월~: 현강 (시대인재 최수준T)
대학생 때
<국어>
독서 (수능 독서 지문 말고 진짜 책 읽기)
<수학>
미분적분학: Essential calculus Early transcendentals
선형대수학: 프리드버그
경제수학: 경제수학 책 (최적화 이론, 동차함수 담긴)
<영어>
토익: 이번 여름방학에 할 예정
토플: 이번 겨울방학 혹은 군대 가서
회화: 적당한 유튜브 영상 보며 따라 읽어보기, 들릴 때까지 들어보기
<한국사>
유기
<탐구>
미시경제원론: 여름에 복습 예정
거시경제원론: 오늘 시험 봄 (멘큐의 경제학 교재 활용)
미시경제학: 여름에 예습하고 다음 학기에 들을 거임 (태재대 불합격 전제)
거시경제학: 다음주 시험
일반물리학: 작년에 들었었고 이번 여름에 원서 복습 예정
일반화학: 작년에 찍먹하고 이번 여름에 원서 복습 예정
일반생물학: 작년에 들었었고 이번 여름에 원서 복습 예정
p.s. 스스로를 되돌아보게 되네요... 수학 공부랑 영어 공부를 좀 열심히 해야할 듯? 추가로 이번 여름방학에는 개발 공부 제대로 해서 앱 하나는 내봐야겠어요
p.s.2 고3 분들 대학 가서도 열심히 공부하시면 좋을텐데 어떤 식으로 뭘 공부할지 대충 살펴보는 기분으로 글 다시 읽어보시는 것도?
p.s.3 시작은 '하루 공부 계획' 이었는데 어쩌다보니 1년 공부 계획이 되어버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책참님도 기말고사 파이팅입니다!아 공부 너무 하기 싫습니다
혹시 선생님 실제 어려운 책 읽는게 수능국어에 많은 도움을 준다고 느끼시나요?
네, 근데 수험생 때 읽으며 효과얻기엔 평범한 사람 기준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장기간 책을 읽으면 당연히 이해할 수 있는 최대치가 늘어난다 생각하고 처음 접하는 정보에 대해 특정 수준까지의 이해도를 갖추는 시간도 줄어든다 생각합니다. 따라서 국어 실력 향상을 위해서, 100점 수렴을 향해서는 어릴 때든 지금이든 대학에 가서든 꾸준한 독서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때 에세이나 문학처럼 감상을 위한 독서도 좋지만 경제원론처럼 처음 접할 때 난이도가 있는 소재의 글들을 준비해놓고 꾸준히 읽어가는 것이 필요하다 생각해요
선생님, 심심할 때 대학교 미적분학, 일반물리학 시험 기출문제를 몇 개 봤는데 저희가 고등학교에서 열심히 공부한 과정이 도움이 되긴 하는 것 같더라고요. 그런데 대2 이후에 배우는 과목에서도 지금 해놓은 공부가 효용이 있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이공계열 대학 진학을 전제로 했을 때)
제가 이공계열 2학년 과정을 겪어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습니다. 현재 이과대 혹은 공대 재학 중인 2~4학년 분들이나 졸업하신 분들께 여쭤보시면 보다 만족스러운 답변을 얻으실 수 있을 것 같아요! (저는 상경계열이라 잘 모르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계획이 철저하시네요 ㄷㄷㄷ 역시 책참님!
가끔 계획 세우는 것을 좋아합니다 ㅎㅎ 문제는 완전히 마무리 해내는 때가 적었다는 것인데 이번 방학엔 적어도 이 글에 정리해둔 정도는 꼭 해봐야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