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 초고수 모십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342743
2번선지에서 불교사상에 따르면 삶 자체가 고통이므로 ‘고통없는 삶’ 자체가 비문이지 않나하고 생각했는데 해설에서 ‘고통없는 삶은 윤회를 벗어나는것‘이라고 알려주신 게 이해가 잘 안돼요..
답변이 단 한 줄도 이해가 안돼서 재질문하기도 뻘쭘해서 그런데 생윤고수분들의 설명 부탁드려도 될가요 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생사윤회란 깨닫기 전의 삶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문제가 좀 잘못된 듯 합니다
갑은 해탈하여 다시 태어나지 않는 것이 번뇌의 해방이라고 보는데 고통없는 “삶” ? 모순인 듯 합니다
국어문제가 아니니 21세물지선택자는 닥쳐주십시오.
생윤은 이게 맞아
윤회하기 위해서 만물의 실상을 자각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 부분은 이해하긴 했는데 문제와 별개로 ‘고통없는 삶’이란 단어에 대해 의문이 생겨서요…교육청 문항인지라 선지 자체가 엄밀하지 못한 부분이 있어 보이기는 합니다.
생로병사가 모두 고통인것이 맞습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생로병사는 고통입니다. 그렇게 고통스럽게 쳇바퀴 돌듯이 도는 과정을 윤회라고 하구요. 고통이 없어질려면 윤회가아닌 해탈을 해서 열반의 경지에 들어서야합니다.
감사합니다!!
님은 고통없는 삶이 불가능하다는 건가요?
넵.. 삶 자체가 고통이기때문에 언어적으로 모순이지 않나라고 생각했어요.. ㅠ
음....그렇다면
1. 해탈해도 삶은 고통이라는 건가요?
(아니면 해탈은 살아서는 불가능한가요?)
2. 님이 알고 있는 불교의 '고통'은 무슨 의미인가요? 혹은 고통을 번뇌로 바꾸어도 될까요?
위의 두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 보면 될 것 같네요.
살아가면서 해탈을 해낸 사람은 죽기전까지 번뇌가 없는 ‘고통없는 삶’을 살고 있다고 이해하는걸까요….!!
오호...님은 그렇게 해결하면 되겠죠^^...머리를 잘 굴리실 수 있는 분인듯...질문자마다 꼬이는 포인트가 달라서 그것만 해결하고 넘어가면 됨요

감사합니다 선생님,, 이것이 바나나제거의 맛?
열공즐공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