윽진이 [1211258] · MS 2023 · 쪽지

2023-06-08 23:53:13
조회수 1,039

현역 국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285305

 여태까지 국어 공부해본 적이 없어요… 고2까지는 항상 1 떴어서 국어는 많이 안해도 되겠지 싶었나봐요… 그러다가 3모 2, 4모 3 찍고 국어 공부하려했는데 진짜 어디서부터 뭘 어떻게 해야할지를 모르겠고… 6모는 97로 화작 1 간신히 걸쳤어요…

 공부를 해보려해도 어디서 뭘 모르는지 잘 파악이 안되고 뭘 해야할지 모르겠어요… 주위에서 인강에서 가르쳐주는 풀이법, 자신만의 행동강령 이런 얘기하는데 인강 들어볼까 했는데 지금은 늦은 거 아니에요? 아 짐짜 몰라 그냥 눈물나는 것 같아요 국어 공부 어떻게 해야해요…? 인강 안듣고 피램? 풀어볼까 하는데 괜찮을까요?


 국어 공부법 좀 알려주세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영화나볼래조조 · 1166431 · 23/06/08 23:54 · MS 2022

    비틱도 이렇게 하는구나 ㅋㅋ

  • 윽진이 · 1211258 · 23/06/09 00:12 · MS 2023

    혹시 비틱이 뭔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

  • 윽진이 · 1211258 · 23/06/09 00:13 · MS 2023

    어 자랑하는 사례라고 하는데 자랑했던 부분은 없었던 것 같아요… 할 것도 없고요…

  • 영화나볼래조조 · 1166431 · 23/06/09 00:16 · MS 2022

    근데 걍 공부안하고 97이면
    인강 안듣고 독학서 사서 푸는게 나을수도 있음
    맞는 강사 찾는 것도 오래 걸리고 또 체화하는 시간도 있으니까

  • 윽진이 · 1211258 · 23/06/09 00:29 · MS 2023

    네 의견 감사해요..! 혹시 독학서 피램이랑 홀수…? 중에 추천하시는 거 있는지 여쭤봐도 될까요…?ㅜㅜ 오르비에서는 두개가 제일 많이 보이길래…

  • 영화나볼래조조 · 1166431 · 23/06/09 01:46 · MS 2022

    유네스코도 괜찮은데 체화가 필요하니
    피램 ㄱㄱ

  • 윽진이 · 1211258 · 23/06/09 10:27 · MS 2023 (수정됨)

    넵 감사합니다…!

  • woood · 1195420 · 23/06/09 00:00 · MS 2022

    저는 인강 듣는 것보다 다양한 문제 많이 푸는 게 더 효과적이었던 것 같아요 !

  • 윽진이 · 1211258 · 23/06/09 00:11 · MS 2023

    그럼 기출문제집으로만 공부해도 괜찮을까요? 유튜브에서 인강이 도움이 많이 됐다는 평을 많이 봐서 불안해요… 그런데 이제와서 보자니 절대 다 못들을 것 같아서… 인강 보시면서 혹시 이건 기출 풀면서는 몰랐겠다 싶었던 부분들이 있으실까요…? 그리고 실례가 아니라면 공부하셨던 문제집 여쭤봐도 될까요…?ㅜㅜ 문제집은 알아봐도 종류가 너무 많아서 뭐로 시작해야할지를 모르겠어서요…

  • woood · 1195420 · 23/06/09 02:09 · MS 2022

    요즘 평가원 시험들은 기출문제집으로만은 한계가 있는 것 같습니다. 몇개년만 푸시면 될 것 같구요

    저도 굉장히 비슷한 상황이었던 것 같아요. 모고 점수가 나쁘진 않은데 엄청 오락가락하고 .. 인강은 너무 많아서 못 듣겠고 ..

    그래서 저는 막판에 독해력을 좀 키우려고 김동욱 인강을 조금만 들었어요. 메가 김동욱 쌤이 방법론이나 행동강령은 알려주시지 않고 ”반응하라“ 그리고 “궁금해하면서 읽어라” 이거 두 개만 강조하시고 어려운 지문 설명 위주로 하세요. 아무튼 저는 김동욱 교재 풀다가 설명을 좀 듣고 싶은 것들만 들었습니다!

  • woood · 1195420 · 23/06/09 02:17 · MS 2022

    그래서 덧붙이자면 국어는 개인적으로 인강보다 문제 많이 풀면서 고민해보는 시간이 있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용

    그리고 저는 문제집 다양하게 사서 풀었는데요! 상상 월간지, 이원준 LEET 교재, 김동욱 쌤 과학 기술 강화 (제가 과학 기술에 약해서), 김동욱쌤 부교재 연필통, 그리고 마지막엔 바탕 모의고사랑 상상 모의고사, 이감 모의고사 (아주 조금) 까지.

    저는 상상 월간지랑 바탕 모의고사가 (이건 좀 나중에 나옵니다) 제일 좋았던 것 같네요!!

  • woood · 1195420 · 23/06/09 02:22 · MS 2022 (수정됨)

    근데 저는 비문학이 약한 거였어서 작성자님이 만약 문학이나 화작에서 주로 틀린다면 다른 문제집을 알아봐야 될 수도 있어요

    말이 길어졌는데.. 궁금한 거 있으면 또 물어보세요!! 참고로 저는 작수 백분위 98이었습니다. 사실 국어황들이 여기 더 많을 것 같긴 한데 작년 저와 상황이 비슷해서 써봐요 !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ㅎㅎ

  • 윽진이 · 1211258 · 23/06/09 10:36 · MS 2023

    감사합니다ㅜㅜ 이렇게 잘 알려주실 줄은…ㅜㅜ 인강 없이도 잘하셨다는 말씀을 들으니 안심이 되는 것 같아요…! 우선 독학서로 기본적인 사고나 풀이방법을 공부하고 알려주신 모의고사와 문제집으로 사고하는 힘을 기르는 방향으로 공부해보려 합니다…! 정말 많은 도움이 됐어요 감사합니다:)

  • woood · 1195420 · 23/06/09 12:23 · MS 2022

    네! 국어 과목은 인강보다는 자기 자신만의 사고 방식을 만드는 게 가장 중요한 것 같아요. 억지로 강사의 풀이 방법을 따르려다 정작 중요한 내용은 안 읽고 형식에만 집착하게 되더라고요!

    그리고 인강 없이 혼자 공부하면 조금 느슨해질 수 있으니 매일 몇 시간 정도 하겠다 생각하고 공부하는 게 좋아요. 파이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