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노산이 20가지인 이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280706
4종류의 염기 중 3개가 모이면
총 4^3=64개의 종류를 만들수 있잖아요,
근데 20개뿐인 이유를 서술하라고 하면
정확히 뭐라고 해야하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280706
4종류의 염기 중 3개가 모이면
총 4^3=64개의 종류를 만들수 있잖아요,
근데 20개뿐인 이유를 서술하라고 하면
정확히 뭐라고 해야하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그게 이유가 있었음? ㄷㄷ
돌연변이 얘기를 하셨는데
인터넷에서 찾아보려니 잘 안찾아져서요….
이렇게 20종류 이외의 아미노산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는 폴리펩타이드 사슬을 공격해 구조적 불안정성을 야기하거나, 대사경로에서의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라고 나무위키에 있긴 있음
저도 그거 봤는데 학교샘이 말해준거랑 좀 다른거같아서….
걍 흘러가는 얘기로 하신거긴한데..
사실 64개중 20개가 아니라 20개를 만들어내기 위해서 3개의 염기서열이 하나의 코돈을 이루게 된거라서… 거꾸로 생각하면 이해가 될듯하네요
염기의 종류는 AUCG (dna에만 존재하는 T제외) 4개이고 2개가 하나의 코돈을 이룬다면 16개밖에 지정하지 못하고 4개의 경우 256개로 너무 낭비되기 때문에 3개로 진화했다는 설도 있을거에요
생명체를 구성하는 주요 아미노산이 20개가량인걸로 알아요
넓은 의미로 아미노산이라고 할 수 있는 분자는 많은데, 생명체가 만드는 단백질에서 공통적으로 많이 발견되는 아미노산이 20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유는 따지는 게 무의미할 것 같네요. 아미노산이 16개보다는 많으니 염기 3개가 코돈을 지정하게 된 거라고 보는 게 오히려 인과 관계는 맞을 텐데...
참고로 주요한 20개 외에도 이미 추가로 2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단백질이 생물에게서 추가로 발견되었습니다. 특수한 케이스에 합성될 수 있어요.
아미노산이 20개인 것이 지금까지 과학적으로 밝혀진 사실이고, 이 아미노산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를 봤더니 트리플렛 코드 (mRNA에 세 개씩 염기 짝 지어 대응되는 아미노산이 만들어지는 뭐 대충 그거) 관련한 원리가 있더라…
이렇게 이해하시면 될 듯요? 그런데 까고 보니 64가지 경우들 중 잘 겹치고 겹쳐 20개의 아미노산으로 딱 대응되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