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독해쓰는정석민 [1129548] · MS 2022 (수정됨) · 쪽지

2023-06-07 18:05:05
조회수 6,440

칼럼) 물1 기삼이들 필독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269245

안녕하세요 먼저 기삼이라는 표현 죄송합니다 ㅠ


처음으로 물리 칼럼을 들고 왔네요


일단 이 글을 읽었을 때 가장 도움이 되는 분들은

아마 3~4등급대 분들일 겁니다


저는 작년 쭉 기삼이(기껏해야 3등급)에서 현재 만점에 수렴하는 점수를 현장에서 계속 받고 있고 6평은 만점입니다


이 칼럼은 물1 점수를 빠르게 올리는 큰 틀만 설명할거고

세세한 스킬들은 다른 칼럼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긴 말 말고 칼럼 시작할게요



  1. 1. 비역학을 정복하라

여러분이 1등급에 접근하지 못하는 이유는

킬러 역학을 못 풀어서가 아닙니다


가장 큰 이유는 비역학을 못하기 때문입니다


6월 모의고사에서도 순수 뉴턴 역학 문제는 고작 6개였습니다


물리학1 시험은 나머지 14문제를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푸는가에 달려있습니다


저는 작년 현역때 이걸 모르고 물리를 하다보니

뉴턴 역학 실력에 비해 낮은 3등급에 머물렀습니다


혹시 자주 1페이지에서 개념문제를 틀린다거나

헷갈리는 비역학 개념이 있으면 다시 개념 공부하시고,

뉴턴 역학을 제외한 특상, 열역학, 파동, 전자기 등에 관한 내용을 30초~1분 안에 빠르고 정확하게 풀어내는 연습을 실전 모의고사 등을 통해 많이 하세요



  1. 2. 도구와 지식은 많을수록 좋다


여러분은 2022 수능 20번 킬러 역학 문제를

몇분 만에 풀 수 있으신가요?


저는 30초면 충분합니다


1) 높이차는 속력의 제곱의 변화량과 비례

2) 충돌 시 속도 변화량은 질량에 반비례

3) 등속도 운동하는 마찰 구간의 특징


등등 물리학1에서 요구하는 빠른 풀이를 위한 도구들을 최대한 많이 가지고 있으면서 적재적소에 꺼내 쓸 수 있도록 연습하세요


이런 도구들은 다음 칼럼에서 자세히 다뤄볼게요


그리고 기출 킬러는 거르지 마세요


이건 모든 과목 공통입니다



  1. 3. 뉴턴 역학 문제는 상황 파악을 잘하자


뉴턴 역학 문제가 나오면 어떤 상황이 펼쳐질 것인지 생각해보는 사고과정이 필수적입니다


쉬운 문제로는 올해 6월 평가원 모의고사의 충격량 문제를 들 수 있겠네요


한번 벽에 충돌하고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는게 끝이죠


이런 문제는 굉장히 간단합니다만, 예를 들어 작년 9월 평가원 20번 문제를 분석해 보시면 실이 연결되어 있을 때, 그리고 실이 끊어졌을 때의 역학적 상황 파악을 한 후, 에너지 식 위주로 상황을 풀어나가야만 맞힐 수 있었습니다


즉, 여러 물체에 실이 연결되어 있거나, 용수철이 사용되었거나,

두 물체가 시간차를 두고 같은 운동을 한다거나 하는 기출된 소재를 두고 상황 파악을 잘 할 줄 알아야 물1은 비로소 정복 가능해집니다



  1. 4. 과학탐구 선지 선택에 대하여


저는 물리가 작년에 3등급이 한계였지만

지구과학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런데 이번 6평에서는 지구과학도 48점, 백분위 99를 받게 되었습니다


왜 과탐 두 과목의 성적이 같이 올랐느냐 하면

선지 선택을 명확하고 실수 없게 고르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아시다시피 과학탐구영역은 ㄱㄴㄷ문제의 출제빈도가 가장 높죠


그리고 선지를 보면 A가 B보다 크다, A는 B의 n배이다 등이 자주 보입니다


이걸 활용해서 저는 대소 비교에는 무조건 부등호를, 비율 비교에는 무조건 관련 숫자를 꼭 적고 고릅니다


이렇게 계속 연습한 결과 실전에서 실수의 부담감도 덜어지고 정확도가 확연히 올라가는 것을 체감했습니다


읽어보면 뭔 당연한 소리인가? 하실 수도 있겠지만


이 당연한 걸 못해서 1등급~만점이 안 나오고 있다는 걸 자각하시고 겸손하게 하시면 1등급 쌉가능입니다 파이팅!


다음 물리 칼럼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개추 눌러주ㅓ..)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