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수는 일반적으로 스칼라가 맞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228257
고등학교 때도 그렇게 공부했고 대학 와서도 그렇게 공부했고 처음에 배울 때도 그렇게 배웠으며 누구한테 설명해줄 때도 그렇게 설명해서 제가 잘못 알고 있었나 싶었는데 검색해보니 실수는 일반적으로 스칼라로 다루는 것이 맞습니다.
단, 벡터로'도' 다룰 수 있으며 이는 선형대수학에 한정한 특수한 경우임을 밝히고 있습니다. 제가 이 부분을 몰랐습니다, 배움이 부족했네요... 가르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특히 푸아송괄호 님과 너만킷 님께 감사드립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실수를 벡터가 아닌 스칼라로 다루는 것이 맞습니다. 그리고 벡터에 속하는 대표적인 물리량이 위치, 변위 (=위치의 변화량), 속도, 가속도이며 물리학으로 조금 넘어가보면 힘, 운동량, 충격량 등도 포함됩니다. 스칼라에 속하는 대표적인 물리량은 시간, 속력, 이동거리가 있으며 물리학으로 조금 넘어가보면 일, 에너지와 모든 벡터로 분류되는 물리량의 크기 등도 포함됨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바라볼 때 이번 [2024학년도 6월 14번]은 '잘 생각해보니 뭔가 이상하지 않냐, 오류 아니냐'라는 생각을 충분히 할 수 있던 문제입니다. 물론 오류는 아닙니다. 수학2 교과서에서 1차원 운동에 도함수를 적용할 때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에 대해
위와 같이 각 물리량을 정의합니다. 이때 엄밀히 말하면 각 물리량이 벡터 혹은 스칼리임을 구분하기 위해 벡터에 속하는 물리량 위에는 화살표를 표시해주어야합니다.
이렇게 되면 '어떻게 벡터를 미분하냐'라는 의문이 드실 수 있습니다. 미적분학을 공부해보시면 n차원 벡터 함수의 도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따라서 고등학교 미적분에서 2차원 운동에 도함수를 적용할 때에도 다음을 소개하는 것입니다.
이때 벡터의 크기는 주어진 벡터의 시점 (initial point) 과 종점 (terminal point) 사이의 거리로 정의하기 때문에 속도함수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표현하곤 합니다.
그에 따라 이동거리를 구하는 식은 조금 복잡해집니다.
다시 수학2에서 다루는 1차원 운동으로 돌아와서 이번 [2024학년도 6월 14번]이 문제 오류가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온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위치의 변화량은 벡터이고 벡터에 관한 대소 비교를 하려면 벡터의 크기를 묻든 해야한다. 1차원 운동에서는 방향을 +와 -로 나타내곤 하는데 이 방향을 나타내는 + or -를 갖고 대소 비교에 써버리면 그것은 오개념 아닌가? 참고로 2차원 이상에서의 운동을 서술할 때는 방향이 무한가지이기 때문에 벡터를 이용해 방향을 나타내곤 합니다.
위에서 살펴본 내용에 따르면 이 질문은 자연스러워 보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오류가 아니고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실수는 벡터가 아닌 스칼라로 분류되지만 수학2 교과서에서 변위는 정적분값으로 정의한다. 정적분값은 실수다. 따라서 대소 비교가 가능하다. 또한 선형대수학 속 논리와 같은 일부 상황에서는 실수를 벡터로 분류할 수도 있다.
이 이유가 정확하진 않더라도 저는 현재까지 확인해본 설명 중 가장 타당하다고 느꼈습니다.
이 문항은 [2022학년도 수능 예시 문항 14번]인데 ㄷ 선지를 보시면 변위라는 벡터와 이동 거리라는 스칼라를 비교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또한 수학2 교과서에서 변위와 이동거리의 차이를 속도 함수를 그냥 적분했는지 절댓값을 씌워서 적분했는지의 차이 정도로만 다루고 있기 때문에 문제 없이 넘어갔던 것으로 생각합니다.
다시 말해 이번 6모 14번의 오개념과 관련한 논의는 아래의 결론으로 귀결됩니다!
1. 수학2 교과서에 기반할 때 오류 아니다.
2. 위치의 변화량은 크기만을 갖는 스칼라가 아닌 크기와 방향을 갖는 벡터로 분류되는 물리량이다.
3. 일반적으로 실수 (real number) 는 스칼라로 분류한다.
4. 선형대수학 속 논리와 같은 일부 상황에서는 실수를 벡터로 분류하기도 한다.
본문 설명에 오류가 있다면 댓글로 말씀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게이임?
-
ㄹㅇ..
-
씁 한의대로 될까
-
누군가를 뽑을거임 누군진 ㅁ?ㄹ
-
사실 여자임
-
무슨일인가요
-
너였구나 으으
-
실틴 사격장 가기.
-
억울하다 억울해 0
정말로 억울해
-
3주째 술을 먹는구만 흑흑
-
의도한 건 아니지만 2달동안 살이 7키로가 빠졌는데 인상이 완전히 달라짐
-
대학공부 너무 힘들다 10
3점대는 맞을수 있나
-
ㄱㄷ 메타 만들어보겠음
-
깝치지 마 8
너희 다
-
26학년도 6월 모의고사 성적 주작했습니다 죄송합니다 2
사실 신청하는거 까먹었습니다 ㅅㅂ
-
공통 수업을 듣고싶은데 제가 메가스터디 대성마이맥 이런거나 알지 시대인재를 잘 알진...
-
일요일이어서 가볍게 합니다ㅏ
-
사실 카데바전형으로 입학함
-
5모 성적 주작 0
이면 오히려 좋은데?
-
그럴 놈들임ㅋㅋ
-
[속보] 국힘 당원투표서 ‘한덕수로 후보 변경’ 부결 4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가 10일 한덕수 후보로 대선 후보를 교체하려고 했지만, 당원...
-
ㅂㅅ 3
ㅉ
-
ㅋㅋ
-
[속보] 국민의힘 당원투표서 ‘한덕수로 후보 변경’ 안건 부결 23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자격 즉시 회복…내일 공식 후보 등록” 권영세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은 사퇴
-
할거면 걸리지라도 말던가
-
똥타임 아침 9시로 고정되어 있는데 수능때까지 바꿀수 있나요 ㅠㅠ
-
희망을 얻었습니다 14
-
평소처럼 글 보고있는데 갑자기 클럽 의대게 둘다 흰 화면 띄면서 안들어가지길래 폰...
-
가능할까요 밈 이거 말고 다른거 있지않냐고 물어보지마라 진짜 죽는다 님드라
-
뭐냐?
-
(다 소싯적에 그렇게 한두번씩 연애합니다) 연애가 적성에 맞는 사람이 따로 있음...
-
가능할까요? 2
수면패턴 맞추기 진짜 가능할까요 의지의 문제다. 의자와 지능의 문제다 맞는 말인 것 같아
-
오르비에서 나의 용서를 받으려면 를 뿌려야한다는것을
-
미적 vs 기하 4
기하는 노베고 미적은 작수 28 29 30틀인데 기하런 어떤가요? 국어는 고정 99...
-
킬캠 0
시즌 2회 등급컷이 어떻게되나용 77점입니듀 ㅠㅠㅠ
-
가능할까요 14
워마2000 다 외우면 영어3 가능할까요..
-
안 들으면 되잖아 왜 굳이 찾아가서 시비털고 고소먹고 사과문 올림? 인생 레전드네
-
뭘 봐도 7화쯤이면 다질림
-
작년 수능보단 어렵고 작년 5모보단 훨씬 쉬운것같음요.. 수능이면 1컷 84쯤 나올...
-
설맞이 왔다ㅏ 8
-
증명하세요 2
프로브 잇
-
갑자기 좀 그렇네
-
쓴소리좀 bitter sound yeah
-
기하러 이번에 5모 72점 나왔고, 공통을 어케 공부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뉴런은...
-
이건 농담이 아님… 진심모드로 하는 게 아니라 깔짝하는걸론 절대 안될듯
-
* 자세한 문의는 아래의 링크를 통해 연락 바랍니다....
-
링크좀
-
기숙학원 처음 1
아니 내일 기숙 입소한다고 짐싸는데 원래 이렇게 짐이 많아요? 침구류, 책, 옷,...
처음에 문제 제기 하신 부분 충분히 생각해볼 만한 부분이고 수험생 분들도 얻어갈 것이 많은 고민이라고 느꼈는데 다들 너무 '교과서에 그렇게 나와있는데 왜 굳이 고민함?', '교과서도 똑바로 안 보고 왜 오개념 주장함?' 흐름으로 물타기 된 듯 ㅋㅋㅋㅋ 익명 커뮤니티와 대부분의 사람들의 성향에 대한 한계라고 생각해요
실수를 벡터라고 말할 수 있다니 신기하더라구요! 고등학교 기하에서도 제대로 학습을 하다 보면 벡터의 실수배를 배울 때 실수를 '스칼라'라고 밝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선형대수학에서 실수를 벡터로 취급하는 경우가 있음을 갖고 무작정 '실수를 벡터라고 할 수 있다'라는 이야기를 들으니.. 잘 납득이 되지 않더라고요
결론: 실수는 일반적으로 스칼라로 분류되며 경우에 따라 벡터로 분류할 수도 있다. 수학2에서는 변위라는 벡터를 정적분값이라는 실수로 다루기 때문에 '어떻게 벡터를 스칼라라고 하느냐'라는 의문이 들 수 있지만 실제로 실수는 스칼라뿐만 아니라 벡터로도 분류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고 말할 수 있다. 이는 [2022학년도 수능 예시 문항 14번] ㄷ 선지에서 평가원이 변위와 이동거리라는, 다시 말해 각각 벡터와 스칼라로 분류되는 물리량을 비교 가능함을 밝혔다 판단할 수 있는 부분에서 [2024학년도 6월 14번]의 변위도 하나의 스칼라값'처럼' 생각할 수 있다.
읽어봐도 수험생 신분인 저로선 실수가 왜 벡터가 될수도 있는지 등등은 이해가 잘 안되네요...
하지만 하나 확실한건 수2에서는 위치의 변화량=정적분=부호포함 이란거네요 그냥 외워야되겠네요
오히려 물리 선택해서 더 헷갈렷던듯 합니다 ㅋㅋ
그쵸, 저도 내신 때 물2 수능 때 물1 선택자였어서 그런지 처음 문제 제기 글 읽으며 '어 그러네?' 싶더라고요. 수학2에서 '위치의 변화량'과 '움직인 거리'의 차이는 속도 함수를 그냥 적분했는지 절댓값 씌워서 적분했는지의 차이 정도로만 바라보는 것이 적절해보입니다!
글 올려드렸어요 확인하세요
감사합니다, 확인했습니다! field와 vector space를 정의하면 실수가 '벡터 공간의 원소이기 때문에' 벡터로 분류될 수도 있는 것이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