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대컴공25학번 [1153065] · MS 2022 · 쪽지

2023-06-03 22:26:08
조회수 1,198

물리황분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216551


문제 오류아닌가요…?

정답은 5번이라 나와있는데 아무리봐도 3번인 거 같아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20348329 · 1187193 · 23/06/03 22:31 · MS 2022

    B의 관성계에서 빛도착,우주선도착=한장소 따라서 고유시간이고 그게 4c분의L
    우주선관성계에선 팽창시간

  • 하 쿠 · 1123949 · 23/06/03 22:32 · MS 2022

    고유시간과 고유시간이 아닌 시간으로 접근해보시면 좋을거같내요
    한 장소(B)에서 일어난 두 사건(빛 도착, 우주선 도착)에 대해 정지해 있는 관찰자(A)가 측정한 시간간격=고유시간=L/4c
    ㄴ선지는 고유시간이 아니니까 고유시간보다
    큰 시간값을 가지겠네요

  • 설대컴공25학번 · 1153065 · 23/06/03 22:48 · MS 2022

    메가스터디 손지호쌤 강의 봐도 그렇고 제 생각에는

    관찰자가 가는 거리는 길이 수축이 일어나서 0.6L이 되는데

    그러면 0.6L/0.8c - 0.6L/c = 3L/20c 가 되지 않나요?

  • 하 쿠 · 1123949 · 23/06/03 23:01 · MS 2022

    빛이 B에 도달한 시간은
    고유시간X로런츠 인자=L/c X 5/3 =5L/3c가 나옵니당

  • 하 쿠 · 1123949 · 23/06/03 23:03 · MS 2022

    우주선이 B에 도달한 시간은 너무 확실하게
    0.6L/0.8c라는 확신이 들었는데,
    빛이 B에 도달한 시간은 그렇지 못해서
    어라피 로런츠 인자 구한 김에 써먹었어요

  • 하 쿠 · 1123949 · 23/06/03 23:04 · MS 2022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이걸 정량적으로 계산하는 거보단 고유시간을 이용하면 계산량이 0이라 더 편할거같은데.. 손지호T가 그렇게 설명하셨다면 나름의 이유가 있으실거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