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맞다면 연고대 버리고 교대가는거 ㅇㅈ합니다.
-
서강vs성균관 경제 21
어디가 고시준비에 더 좋을까요? 절대 특정대학 편들려는 의도는 없습니다ㅠ 고민이 되서리
-
성대 글로벌학과 3
고시준비하기 괜찮나요?
-
어젠가 누가 1일 1롤 해도 되냐고 물어보시길래우연히 이 글 오늘 봐서 올립니다...
-
조금은 멍청한 질문으로 여겨질 수도 있겠지만판검사나 행시와 같은 공무원에 왜이리...
-
한번 도전해봐도 좋은 직업인가요? 검사 때문에 힘들다는 얘기가 많아서 고민되긴...
-
어그로가 아니라 정말 궁금해요학점관리해서 삼성 현대 들어가면 초봉 5 6000인데...
요즘은 거의 쓸 일 없긴하죠 ㅋㅋ
20사관 가형 30번 기출이던가용
19던가
그 이전에는 엄청많이 나왔었죠
작년 6평 20번에 비슷한 소재 있었던 거 같음
옹 그렇군용
아 넓이함수 말씀하시는건가요??
아뇨 변화량 볼 때 구분구적법처럼 작은 사각형 그려서 변화량 보는거요
그게 뭐죠...?? 차영진이 230620 넓이함수로 설명하던데 그거랑 비슷한건가요?
아뇨 저기 보면 저 곡선을 가르는 직선이 상하로 움직이고 직선 좌측과 곡선이 감싸는 영역을 A, 우측과 직선의 상단이 감싸는 영역을 B라고 하고 A+B가 있을 때 극댓값을 구하는 방법인데요
직선이 아래 혹은 위 방향으로 dy만큼 움직인다고 가정했을 때 각각이 저 직사각형만큼 바뀝니다. 다만 좌측이 줄어드는 방향일 때 우측은 늘어나는 방향일꺼고 vice versa이죠.
따라서 극값이려면 해당 두 직사각형의 넓이가 같아야합니다. 따라서 해당 예의 경우 저 직사각형의 가로길이가 같을 때 극값입니다.
아아.. 그렇군요 설명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