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윰 3회 가나 지문 질문(다른분들도 ㄱㄱ)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158737
해설지엔 대다수가 보편적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하는거 같은데…(사실 잘 이해안댐)
대다수=보편아닌가용?
틀린 이유는 시제 때문에 그런거 같은데 맞졍…ㅜㅡㅜ슬픔..손가락걸어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뭐하는게 나을까요 메디컬목표사탐런이라 만백 중요하고 사문은 끼고가려구요
-
내신 잘한 애들한테 살짝 유리하게 해쥬는건 좋은거같다..
-
Y로 1씩 평행이동한 log2x 함수 세개에서 직선 -1인 함수와의 교점 비교...
-
못 하는 것도 맞긴한데;; 이젠 보내줄 나이 아닌가 아 갑갑해 자취하길 잘한듯
-
보통 성공이라고 봄?
-
아침에 눈뜨면 바로 보이개 붙임 4일째인데 효과 ㄱㅊ음
-
어차피 결국은 다 노력해야 하는 건 같지만 걍 궁금해서ㅓ
-
C-B 보다 B-A가 작나요 y좌표 차만 비교했을때 저거 로그함수 1씩 y로 평행이동함
-
수학을 대놓고 교과서 연습문제 30문제 복붙한다거나 국어를 16 15 이 시즌처럼...
-
심심띠 4
오늘도 놀아야지
-
레전드
-
귀찮다...
-
공통, 미적 쉽고 확통 어려우면 되는거임?
-
ㅠㅠㅠㅠ 5
한국가기싫어
-
시험끝!!! 6
-
다들 귀여우심 ㅋㅋㅋㅋㅋ
-
일본어 : 고등학교 내신 다 1등급 받음 한문 : 초딩 때 한능검 3급 땀 근데...
-
교재 사거나 레어인가?
-
대충 어느정도로 봐야하나요? 사탐 하나 껴있으니까 지원한다면 인문쪽으로...
-
https://youtube.com/shorts/KcFj_XxvvWU?si=srT3d...
-
일단 시드 26000까지 꾸역꾸역 펌핑했음 고민되네...
-
중간고사 성적표가 안나왔는데 연휴동안 뭐 어떻게 쉬란거지 학교 너무하네
-
기하 0
시발점 괜찮나요?
-
사교육 없애는법 15
리트처럼 만점안나오고 대놓고 재능빨받게 출제하면 안될애들은 자가진단 딱딱해서...
-
물론 저도 내신반영으로 인해서 기회가 박탈되는 사람들이 있다는건 동의함. 그리고...
-
연고대 가긴 글른거 같다 ㅈㅈ
-
학생이 게시판 답변들 보면 랜덤으로 답변되잖아요 띄엄띄엄 답변되어 있는 상태요...
-
레서 어플 인증 1
글을 자주 접하니깐 늘기는 하네요
-
모든 대학 수시 최저를 전과목 1등급으로 맞추는거 어떰? 3
정시 이월만 수십만명 ㄷㄷ
-
첫번째는 진짜 연예인급이네..이영애 닮은듯
-
문제 풀고 해설까지 보면 왠만하면 기억 나는 것같은데 그냥 눈으로 전에 했던 풀이...
-
작수82 영어 1 무조건 필요함
-
뭐먹지
-
왜 잘 지내냐고
-
콘나토키니키미노아이시테루가키키타이야
-
ㅠ
-
책 추천 0
국어 1등급 ㄷㄱㅈ
-
515 ㅋㅋㅋㅋㅋㅋㅋ 내신 국영 ㅈ같은 건 한결같네요 ㅋㅋㅋ
-
갑자기 생각났음 8
알파피메일 대 영 미
-
안녕하세요 5
반갑습니다
-
독재에 틀어박혀 공부만 하는게 최고지
-
화1 지1 n제 추천 부탁드립니다!!
-
다른나라는 이렇게 대학생이 뻗댈수있나
-
그분 대통령 되시면 ㄹㅇ 예의가 없어 이러면서 밀어버리고 공공의대 세우실지 아님...
-
교재패스 샀는데 오류인가요? 교재 목록이 안 뜨네요
-
난 보통 종이책 사서 봤는데 종이책 품절이라 e북으로 볼려는데 뭘로 볼지 고민되네
-
왜 대답이 없노?
-
거기 너. 18
"사형"
-
재밌다.
문맥상 성스러움은 보편적이 아니다 라는 비판에 대해서 -> 아니야, 모든 사회는 성스러움에 대해서 인지하고 있었는데, 대다수가 이를 말로 할 수 없었을 뿐이야 라고 대응하고 있죠.
특히 본문에서 호주 원주민의 경우 성스러움을 언어로 표현했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그러면 언어의 보편적 한계로 보기 어렵겠죠.
보편성은 절대성을 함축하는 개념이니까요. 말하자면 인간은 보편적으로 IQ 80이 넘는다 -> 대다수의 인간은 넘지만, 그렇다고 이게 옳은 진술이 되는 것은 아니지 않습니까.
근데 혹시 스포...!?일까봐 그러는데 질문은 카페에서 해주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일단내렷어용 넵넵
보편성은 절대성인가요? 사전검색해보니 대다수래서 헉.넵
넵 우리말사전에 의하면
모든 것에 두루 미치거나 통하는 성질. 이라고 합니다.
넵넵
아 저그리고 또 궁금한게 통시적 선지 나올때
시간이 역순행적 혹은 뒤죽박이여도 시간표지만 잇으면 상관없나요?
통시적은 통할 통에 때 시인데
시간을 종적으로(세로로) 보는 게 사전적 정의입니다.
근데 그냥 간단히 얘기해서 원래 알고 계실 '시간순'으로 이해하셔도 좋을 거 같아요
저희 모의고사에 오토는 ~ 그 뒤를 이어 나온 엘리아데는 ~ (이후에 등장한) 그를 비판하는 사상가는 ~
이런 식으로 나왔던 걸로 기억합니다!
선생님 24번 출제의도는 산과 중실을 구분하는건가요? 사실 정답선지가 아닌 2번선지도 엉클어질 앞일을 생각하고 중실은 ‘차라리’ 하직하고 나온것이었다 때문에 자,타의 둘 다 가능하다고 보여서 2번찍엇눈데 ㅠㅡㅠ 생각해보니 산이 이치가 없는건 아니니까…중실에 마음에 없는거니까..그런건가요
일단 24번의 경우 정답은 해설 논리 그대로이고 (고민도 해보았다 를 통해 생각을 한 것이 드러남.)
생각은 해봤는데 딱히 이유는 없는 걸? 이 느낌이라고 보시면 되고
저게 애매했어도 24-2는 억울하게 쫓겨난 상황이라 자의라고 판단하기 어려운 거 같아요
이미 쫓겨난(나가라고 들은) 상황에서 에이씨 그래 나가면 될 거 아냐
이 느낌인데 이걸 내 발로 나간거니 자의다 로 해석하기는 조금 무리일 수 있을 듯합니다!
그리고 26번두 마을의주인(왕소나무)이 세상에 뜬 지 오래라니~보면 본게ㅡ아니라 들은거라고 내는게 좋앗을거 같은데 의도가잇나용?
26번의 경우 단순히 죽은 걸 들었다 하기에는 숱한 소음과 매연, 철로가 이런 것들이 직접 보지 않으면 하기 힘든 이야기인 듯합니다. 이젠 완전히 타락한 동네구나ㅡ 같은 감상이 제시된 걸로 볼 때도요..
왕소나무는 죽었고, 철로가의 소음과 매연으로 인한 것이고, 이는 해수욕장이 개장된 여름에 피서지로 쓰여서 그렇다 라는 얘기를 모두 다 전해들었다고 보기는 어려울 거 같아요 (가서 목격을 했다는 근거로 보는 게 적절할 듯합니다)
그런데 어디가 느낌이 애매하신 건지 알 것 같고, 의견 감사합니다!
일단 보편적의 사전적 의미는 모든 것에 두루 미치거나 통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대다수 = 보편이라고 많은 사람들이 쓰기 때문에 이걸로는 부족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본문에서 보시면 '호주 원주민 토속 종교이지 보편은 아니다'라고 나오는데, 이를 통해서도 "호주만 빠져도 보편이 아니라고?" 이렇게 생각할 수 있었고
위의 모든 것을 다 생각하지 못했어도 인간 언어의 보편적 한계라면
예를 들어 현대 사회에 와서도 전부 다 표현하지 못하고 있어야 한다는 거라서 그 부분도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정리드리자면
1. 사전적 정의
2. 지문 속 설명
3. 현대 사회에는 성스러움이 표현이 가능한데 그렇다면 이것은 인간이 지닌 언어의 한계로 보기 어려움.
정도일 것 같습니다!
맞져맞져 무조건 틀리긴한듯용 시제차이때메 ㅠㅠ
네 이게 해설 지면 이슈 때문에.. 다음에 2쇄 찍을 때 다른 부분 자간 조절 같은 걸로 어떻게든 칸 확보해서 1 2 3번 설명 다 넣어두도록 하겠습니다.
아무래도 다들 선생님처럼 대다수 = 보편으로 쓰긴 하니까요..
개인적으로 전 사전적 정의로 답을 도출하는 건 퀄리티가 진짜 떨어지는 문제라구 생각해서 저 2번 설명이 없었으면 좀 별로였을 거 같아요 3번 설명도 그렇고요
의외로 이거 판정이 킬러로 작용한 듯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2번 방식의 추론이 가능은 하지만 수능 기준으로는 조금 어렵다고 생각하는데, 검토진 분들이나 팀 내부 의견 들어보면 충분히 낼 만하다고 하더라고요
(2회의 논리학 지문 문제도 전 어렵다고 생각했는데 충분히 가능하다고 했던..)
매번 리뷰 이렇게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더 노력하겠습니다..!
논리학은 거의 평가원수준지문이엿다는 ㄹㅇ
리트엿음 이해해서 맞게 하는 선지냇을텐데 관계구분으로만 풀어도 맞게하는거 ㄷㄷ 저는 그 존재상정x일때 하나하나 다해보고 풀엇어요 ㅋㅋ 오히려 깊은 이해가 풀때 더 느리게만든
오 저두 이문제 틀렸어요
님개고수던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