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102801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원순열 풀이 팁 0
항상 기준점을 우선으로 생각하기 원으로된 탁자에 A라는 사람을 배치한 순간 A는...
-
성대 가고싶다는 생각을 올해초까지도 했던 내가 ㅂㅅ이지 0
5월에 이런 성적 받으면서 무슨 망상인지~
-
진짜 맨발키로 172는 넘어야함 사회가 너무 각박하고 불경기에 비관주의가 팽배하니까...
-
내가 왜 공부했는데 이정도 했으면 필요도 좀 있고 덕도 봐야지 ㅅㅂ ㅋㅋ 하여튼 심보들 고약해
-
딱 두 부류임 너무 잘나서 학벌로 득을 볼 수준이 아니거나 걍 병신이거나
-
5모 사문 4
14분 컷 50점인데 잘하는건가요
-
국어 95 수학 36 영어 64 사문 41 생윤 39 응응... 수학 노력하자
-
이거 어케끊냐 초엘리트들이 모여서 뭐하시는 건지 모르겠지만 재미따
-
현재 키 169고, 1년째 안 크고 있음. 병원에서는 5cm 정도 남았다는데, 내...
-
6월 편입이랑 반수반 중에 6월 편입이 커리큘럼 말곤 괜찮은거 같아서요 6월...
-
용기가 없다 6
그만 살 용기가 없다
-
5모 29번 1
방금 다 풀었고 30번은 시간 없어서 못 풀었는데 이거 제가 도입한 각 k가 6분의...
-
미적 29,30만 못풀어서 92 기대했는데 어김없이 22번 수열 틀려버림 ㅠㅠ 어째...
-
문법의 혁신 0
-
누가 이번에 국어 몇점이래 > 알빠임? 누가 이번에 수학 1등급이래 > 알빠임?...
-
비와ㅓㅅ ㅋㅋㅋ큐
-
항상 오픈형만 쓰고 너무 만족하는데 소리는 너무 잘 들려서 아쉬움……. 남들...
-
국어(화작) 과외생 고3 3모 5등급에서 5평 80점으로 오름! 3~4등급일 텐데...
-
학부만 나와서 뭘 알음 10
대학원 까지 가서 공부를 해봐야 이게 학문이구나를 자세히 알지 라고 한다네요
-
미적러라 확통 버리고 공통만 풀어봤음. 3점은 무난했음 14번: 4항 기준으로...
-
분탕도 확실히 의뱃이나 설뱃이 효과가 좋음. 분탕치려면 학벌 좋아야 되는 세상이거늘 쯧.
-
미적89 백분위 98뜸... 99.초중반 예상했는데.
-
...
-
누가 2개 가져간거야
-
한문: ㄹㅇ 기초한자 정도는 암, but 대충 배운거라 무슨 한자인지 알아도 그...
-
미적 기하 둘다 베이스 없어요 수1 수2도 심각해요.. 수능얼마안남아서 급하게 미적...
-
아직까지 소위 명문대라 불리는 라인은 학벌이 유의미하게 작용한다 생각하나...
-
1시간도 안되는듯..
-
어제 어버이날인데 뭐 감사 인사나 선물 이런 거 아무것도 없었다고 엄청 혼이 났는데...
-
이해가안되네
-
수능이면 낮3쯤 되나요 아니라면 몇등급쯤 되나요 확통 2틀 공통 4틀이에요
-
공부하자
-
명륜진사갈비 2인 식사권을 댓글 쓴 전원에게 주는 것을 신중하게 검토해서 내부에서...
-
수험생 느그들이 학벌과 수험판에서 몸비틀며 뭔짓을 해봐야 586 아파트 기보유자의...
-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
-
뭐 시켜먹지 13
제육도 먹고싶고 돈가스도먹고싶고 뜨끈한 국물도 댕겨
-
5모보고 나니 느낀건데 14 15 21정도의 문제를 풀 순 있는데 한눈에 안들어와서...
-
잘래 3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
-
이 레어 너무 싫어요
-
이과는 취업이라도 잘하잖아
-
요근래 학생들 중간고사가 끝나 과외를 많이 알아봅니다!! 과외알바를 생각하시는...
-
221122 8
수학 교육청 2등급인데 이거 맞춤 칭찬해주세요
-
사설 컨텐츠(이감)vs교육청 국어 기출 하면 걍 이감하다가 자료 부족할 때나 교육청...
-
6번 - 각도 범위 안봄 레전드 능지이슈 30번 - 6 aa bb 나열을 잘못계산함...
-
과제밀려서 분량조절 실패 단과 있어서 오늘은 여기까지
-
지금 시작한거 자이 중등 독해력 기르기 문학,독서(배송중) 수특 문학,독서 읽고...
-
노력마저 재능이고 노력해서 얻은 학벌은 무쓸모에 존잘존예 금수저로 태어나야 인생 쉬워지는게 맞으면 8
아무것도 안하고 무기력하게 살거임? 전부터 느끼는건데 자신의 의지력과 용기가 부족한...
-
그래프를 그릴 땐 무지성으로 찍찍 긋는게 아니라 기준점과 무조건 지나야 하는 지점을...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가), (나) 조건을 통해 f(x), g(x) 결정 가능. 직접 식을 작성해보면 정의역에서 무한 번 미분가능한 함수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이계도함수를 구해보면 정의역에서 f''(x)>0가 항상 성립하고 g''(x)<0가 항상 성립하므로 f(x)는 아래로 볼록한 함수이고 g(x)는 위로 볼록한 함수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g'(x)를 조사해보면 x=-11/48에서 극댓값이자 최댓값을 가집니다. 따라서 g(-1/2)과 g(1/2)를 조사해봤을 때 g(-1/2)=0이고 g(1/2)=-1/2이므로 주어진 구간에서 g의 최솟값은 -1/2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a) t=-1/2일 때 구간 [-1/2, 0]에서의 g의 최솟값을 보는 것인데 앞서 g는 x=-11/48에서 최댓값을 갖는 함수임을 확인했기 때문에 g(0)의 값만 추가로 조사해보면 됩니다. 확인해보면 g(0)=0이 되어 g(-1/2)과 같은 값을 지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h(-1/2)=g(0)=0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b) g의 그래프를 예쁘게 그릴 수 있으면 편합니다. 하지만 위로 볼록하다는 사실과 x=-11/48에서 최댓값을 갖는다는 정보만 갖고는 그래프를 통해 무언가를 파악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다행히 g(-1/2)=g(0)=0이고 h(t)가 간격이 1/2인 구간에서 g를 살펴보는 셈이기 때문에 t=-1/2를 기준으로 더 클 때는 g(t+1/2), 더 작거나 같을 때는 g(t)가 h(t)의 값이 될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g(t)는 t<=0에서 미분가능한 함수이기 때문에 연속입니다. 따라서 h(t)의 연속성 및 미분가능성을 조사할 때 우리는 함수식이 바뀌는 t=-1/2에만 관심을 가져도 되겠습니다. t=-1/2에서 h(t)는 연속입니다. g(-1/2)=g(0)=0임을 3-a)에서 발견했기 때문입니다.
미분계수의 정의에 따라 혹은 도함수의 연속성에 따라 미분가능성을 조사해보면 h(t)의 t=-1/2에서의 평균변화율의 우극한은 g'(0)이고 좌극한은 g'(-1/2)입니다. 계산해보면 g'(0)=-1/5이고 g'(-1/2)=1/7이기 때문에 두 값은 일치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함수 h(t)는 t=-1/2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습니다.
<풀며 든 생각>
0. 정의역을 통해 이차방정식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도록 한 후 하나를 f, 하나를 g로 배정한 아이디어가 재밌었습니다. 다만 수리 논술 문항을 여러번 접해본 분들이라면 익숙한 상황이라 느꼈을 듯합니다.
1. 어떤 함수 위의 점이라 함이 (x, f(x)) 꼴을 의미함을 발견하지 못했다면 f, g의 함수식을 결정하는 곳에서부터 어려움을 겪었을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물론 이는 수리 논술 문항을 몇 개 접해본 분들이라면 쉽게 넘어갔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2. (다) 조건에서 왜 이계도함수가 존재함을 밝혔는지 궁금합니다. (가), (나)를 통해 f와 g의 함수식을 결정했다면 이계도함수가 존재함은 당연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1)과 2)에서 g의 개형과 g(-1/2)=0을 발견하게 해두고 3-a)에서 g(0)=0을 발견하게 한 후 3-b)에서 1/2 간격으로 g를 관찰하도록 한 빌드업이 좋다고 느꼈습니다. 또한 [2023학년도 수능 22번]의 수식 풀이처럼 크게 머리 굴릴 필요 없이 계산으로 밀어버렸을 때 상황이 파악되고 답이 나온다는 점에서 전형적인 수리 논술 문항 감성의 문항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오르비에서 수학 자작 문제 살펴보다보면 대부분 수능 수학 감성의 문항들이 많이 보이는데 오랜만에 (수험생 분들도 시도해볼 만한) 논술 감성을 보아 반갑네요!! 재밌게 잘 풀었습니다
참고로 저는 g(-1/2)=g(0) 이용해 생각하기 귀찮아서.. 그냥 그래프 그려 직접 간격 관찰했습니다 ㅋㅋㅋㅋㅋ 현장에서는 불가하지만 재미삼아 풀어보는 것이니! ㅋㅋㅋ
풀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제가 생각한 답안은 댓글로 올려놓았습니다.
먼저 1번 문제에서 볼록성을 구한 이유는 위로 볼록인 함수의 최솟값은 양 끝점에서 얻어진다는 성질로 2번 문제를 간단히 풀도록 하기 위함이였습니다
이계도함수가 존재함을 조건으로 준 이유는 음함수의 도함수가 잘 존재함을 보장할 수 없다고 생각해서 조건으로 넣었습니다! 대학 해석학에서 음함수 정리라는 것이 있는데, 음함수가 잘 존재하는것, 도함수가 존재하는것은 당연한 것이 아니라 증명이 필요한 것이라서 논쟁의 여지가 없게 하기위해 조건을 넣었습니다
또한 3번에서 그래프가 볼록함을 통해서 그래프의 개형을 그려보면 함수 h는 함수 g의 그래프에서 -1/2부터 0까지의 부분이 없어진 그래프이고 개형에서 -1/2는 증가 0에서는 감소이므로 h의 그래프는 연속이지만 중간 부분이 뾰족한 그래프가 되어 미분 불가능한 점을 구할 수 있다는 문제였습니다! 전체적으로 잘 풀어주신것 같아요
다시한번 풀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ㅎㅎ
저의 답안입니다!
문제의 의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1번에서는 함수 f와 g를 음함수의 꼴로 준뒤, 각각을 음함수의 미분법으로 이계도함수를 구해 볼록과 오목임을 보이는 것이였습니다.
2번에서는 1번에서 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함수 g가 볼록이기 때문에 최솟값은 구간 양 끝점에서 존재하고, 양 끝점의 함숫값을 비교하여 푸는 문제였습니다.
3번에서는 g(-1/2)=g(0)을 이용하여 그래프의 개형을 그릴 수 있고, 이를 통해서 함수 h의 그래프의 개형 또한 그릴 수 있습니다. 함수 h의 개형을 그리면 결과적으로 연속이며 뾰족한 그래프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볼록성의 특징과 볼록한 그래프의 개형을 떠올려서 문제를 풀 수 있는지를 물어보는 문제였습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음함수는 포물선을 회전변환한 그래프이고, 그 때문에 f, g가 오목, 볼록합니다

오 포물선을 회전변환한 그래프인 줄은 몰랐네요! 제가 아직 선형변환, 회전변환에 익숙하지 않아서 발견하지 못한 듯합니다. 이계도함수 존재 조건을 준 이유는 f와 g의 식을 직접 작성하지 않고 f'와 g'를 바로 구하라는 이유에서였군요! 음함수를 떠올린다면 저는 문제 상황을 그나마 [2022학년도 6월 30번]처럼 '음함수처럼 보이나 직접 양함수로 정리 가능한 상황'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직접 f와 g의 식을 작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과조건을 지워낸다'라는 맥락에서는 (다) 조건이 필요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풀이 잘 확인해봤습니다, 큰 틀에서는 비슷한 방향인 것 같네요! 개인적으로는 f와 g를 음함수로 해석해 f', g'를 바라보기보다는 (다 조건이 없었다면 음함수 정리를 적용해봐야하는) 직접 f와 g를 구해 접근하도록 하는 것이 수능 수학-수리 논술 문항의 맥락에서 더 자연스럽지 않았나 싶어요. 저는 처음에 (x, f(x))를 주어진 관계식에 대입해 정리하는 식으로 f, g를 구해내며 [2017학년도 수능 나형 30번]과 [2023학년도 수능 22번]도 떠올랐습니다. 덕분에 문제 재밌게 풀었습니다! 출제 의도와 출제자 풀이도 남겨주셔서 감사드려요
ㅎㅎ 좋은 피드백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