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재용 [1227239] · MS 2023 · 쪽지

2023-05-25 10:09:40
조회수 2,072

지구과학 고수님들 도와주세요 ㅜ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088686


질량이 6배, 해설들을 들어보니, 질량이 크면 온도변화가 크고, 질량이 작으면 광도변화가 크다고 하고,


주계열이후 표면온도가 작아지므로, 왼쪽 위부터 시간이 흐른다고 볼 수 있다고 한다,

여기까지는 납득.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1. 빨간색이 질량이 더 크다고 했는데, 그럼 왜 A의 반지름이 B보다 작은 순간이 존재하는 것임?

주계열부터 시작이면 A의 반지름이 항상 더 커야하지 않나? (시작할때 (주계열에서 빠져나올때)의 반지름이 왜 더 작은가?)


2 질량이 큰 녀석은 SR도에서 오른쪽 move가 크고, 질량이 작은녀석은 위쪽 move가 더 크다고 하는데,

이것민으로 반지름의 변화량이 질량이 큰게 더 크다고 말 할 수 있나?


애초에 큰 주계열에서 초거성의 반지름 변화


작은 주계열에서 적색거성 반지름 변화를 비교할 수 있나? (SR도에서 등반지름 선 그어봐도 애매하지 않나?)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Si리우스 · 1127498 · 23/05/25 10:19 · MS 2022

    1. 질량 이 크면 클수록 중력이 훨씬 쎄서 정말 작은 사이즈까지 수축 가능 작은 별의 최후인 백색왜성 보다 큰 별의 최후인 중성자별의 반지름이 훨씬 작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