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브
오르비
아톰
내 태그 설정
육포가좋으니까육포세대 [1215696] · MS 2023 · 쪽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919668
이완때는 못묻지않음?가물가물하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쪽지 보내기
알림
스크랩
신고
헛똑똑아
진짜임 이완할 때<<시체 팔 까딱거리는건지, 맞은편 근육이 수축해서 그런건지 어케암 전자면 atp 안 쓸거고 후자면 쓸 텐데
ㄹㅇ로 그래서 요즘애안나오는선지아니냐
수축할때는 마이오신 머리부분이 ATP와 결합하고 ATP를 ADP랑 인산으로 가수분해하면서 액틴필라멘트랑 결합해서, 이완할때는 ATP랑 만날 수가 없어요
님 윤리에 생명까지... 못하는게 뭡니까
저도 순간 의아해 했네요.
헐;;춘쌤이애매하다햇던거같은데 왜곡됏네기억
생리학...배워야겠지?
아이거물어볼수잇어요 개마님?
개마 ㅇㅈㄹ ㅋㅋㅋㅋㅋ
개마 ㅋㅋㅋㅋㅋ 센독이 낫네요 차라리... 일단 물어보셔도 되긴 됩니다...생리학 A+출신
그 근수축선지에서 수축할때는 atp소모맞다배우는데 대학과정에서 이완할때 atp에 저장된 에너지가 소모된다 이걸 틀리게 낼수없다고 재종에서 배운기억이
닉넴 레만으로 바꾸죵
대충맞다는소린가(영어 찍맞1컷)
이 얘기를 하고 싶은 것 같은데...중간절차 생략하고 설명하면 근수축할때 ATP랑 칼슘이온이 필요함. 근육은 그걸 SR(일종의 소포체)에 저장해둠. 그걸 필요해서 꺼내 썼는데 이완하려면 다시 SR에 집어넣어야 함. 근데 그 집어넣는 과정에 에너지(ATP)가 필요함.
아 그리고 SR에 저장해두는건 칼슘입니다...ATP는 어디선가 났겠죠
복잡한 과정을 요약하면 결국 근육의 수축과 이완에는 모두 ATP를 사용하는 것이 맞는데 위치가 다르죠(수축에서의 ATP사용은 actin과 myosin안에서, 이완에서는 세포 내 매끈면소포체에서)... 근데 수능 수준에서 이정도까지 나오나요? 사설 잡스러운문제에서 변별력 주겠답시고 내는 문제면 거르시면될것같습니다
제 생각에도...고등학교 생1은 그냥 근육을 쓸 때 에너지가 필요한데 그걸 ATP라고 부른단다~하는 느낌인데 너무 많이 알 필요는 없는듯
다른 과목은 안그러는데 유독 생1이 이렇게 대학 세포생물학, 생리학 수준의 선지를 많이내더라구요. 내분비부분도 그렇고.. 사설 출제자들이 고등학교 범위 안에서 변별을 할 역량이 부족한건지.. 대부분 생물학전공도 아닐텐데 수험생들 혼란만 주는듯
차라리 대학교 내용을 고등학교로 제대로 끌어내리고 기괴해진 근수축, 유전이 좀 줄어들면 어떨까 생각해봅니다...
그 위치를 안배워서 무조건 수축시에만 맞는선지 로 물어봐용 사설도 ㅡ렇구
미오신 머리 떨굴때도 atp붙여놓긴 하는디 붙여놓는거라 사용이라 하기 애매함
이완때사용함요
미오신 머리가 액틴에 붙은 cross bridge cycle에서 미오신 떨어뜨릴때도 atp를 atp binding site에 갖다 붙이기는 하는데 이걸 사용한다고 하기엔 붙여놓은 채로 덜렁거리고?있다가 나중에 수축할때 쓰는 느낌이에요
그럼 모임...ㅠㅠ 이완할때물어보면 어캄?
생1에선 안물어봐요 그래서
2026 수능D - 261
국어 영어 -언어를 책임져 드립니다.
수능수학 미적분 / 수1 수2 미적분 과외합니다. 2-3등급-->1등급 목표
과외 선생으로써 학문을 가르칠 뿐더러 '수능'의 파훼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자사고 1등급 출신의 국어 내신/수학 모의고사 과외
화상 영어 과외
진주시 영어과외
헛똑똑아
진짜임
이완할 때<<시체 팔 까딱거리는건지, 맞은편 근육이 수축해서 그런건지 어케암
전자면 atp 안 쓸거고 후자면 쓸 텐데
ㄹㅇ로 그래서 요즘애안나오는선지아니냐
수축할때는 마이오신 머리부분이 ATP와 결합하고 ATP를 ADP랑 인산으로 가수분해하면서 액틴필라멘트랑 결합해서, 이완할때는 ATP랑 만날 수가 없어요
님 윤리에 생명까지...
못하는게 뭡니까
저도 순간 의아해 했네요.
헐;;춘쌤이애매하다햇던거같은데 왜곡됏네기억
생리학...배워야겠지?
아이거물어볼수잇어요 개마님?
개마 ㅇㅈㄹ ㅋㅋㅋㅋㅋ
개마 ㅋㅋㅋㅋㅋ 센독이 낫네요 차라리...
일단 물어보셔도 되긴 됩니다...생리학 A+출신
그 근수축선지에서 수축할때는 atp소모맞다배우는데 대학과정에서 이완할때 atp에 저장된 에너지가 소모된다 이걸 틀리게 낼수없다고 재종에서 배운기억이
닉넴 레만으로 바꾸죵
대충맞다는소린가(영어 찍맞1컷)
이 얘기를 하고 싶은 것 같은데...중간절차 생략하고 설명하면 근수축할때 ATP랑 칼슘이온이 필요함. 근육은 그걸 SR(일종의 소포체)에 저장해둠. 그걸 필요해서 꺼내 썼는데 이완하려면 다시 SR에 집어넣어야 함. 근데 그 집어넣는 과정에 에너지(ATP)가 필요함.
아 그리고 SR에 저장해두는건 칼슘입니다...ATP는 어디선가 났겠죠
복잡한 과정을 요약하면 결국 근육의 수축과 이완에는 모두 ATP를 사용하는 것이 맞는데 위치가 다르죠(수축에서의 ATP사용은 actin과 myosin안에서, 이완에서는 세포 내 매끈면소포체에서)... 근데 수능 수준에서 이정도까지 나오나요? 사설 잡스러운문제에서 변별력 주겠답시고 내는 문제면 거르시면될것같습니다
제 생각에도...고등학교 생1은 그냥 근육을 쓸 때 에너지가 필요한데 그걸 ATP라고 부른단다~하는 느낌인데 너무 많이 알 필요는 없는듯
다른 과목은 안그러는데 유독 생1이 이렇게 대학 세포생물학, 생리학 수준의 선지를 많이내더라구요. 내분비부분도 그렇고.. 사설 출제자들이 고등학교 범위 안에서 변별을 할 역량이 부족한건지.. 대부분 생물학전공도 아닐텐데 수험생들 혼란만 주는듯
차라리 대학교 내용을 고등학교로 제대로 끌어내리고 기괴해진 근수축, 유전이 좀 줄어들면 어떨까 생각해봅니다...
그 위치를 안배워서 무조건 수축시에만 맞는선지 로 물어봐용 사설도 ㅡ렇구
미오신 머리 떨굴때도 atp붙여놓긴 하는디 붙여놓는거라 사용이라 하기 애매함
이완때사용함요
미오신 머리가 액틴에 붙은 cross bridge cycle에서 미오신 떨어뜨릴때도 atp를 atp binding site에 갖다 붙이기는 하는데 이걸 사용한다고 하기엔 붙여놓은 채로 덜렁거리고?있다가 나중에 수축할때 쓰는 느낌이에요
그럼 모임...ㅠㅠ 이완할때물어보면 어캄?
생1에선 안물어봐요 그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