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즐리 [1084527] · MS 2021 (수정됨) · 쪽지

2023-05-07 02:57:15
조회수 6,959

이중차분법 지문을 풀어 보았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907674

'사건 후의 결과와 사건이 없었을 경우에 나타났을 결과를 비교한다.'

시행집단: 사건을 경험한 표본

비교집단: 사건을 경험하지 않은 표본

실험적 방법에서는 시행집단과 비교집단의 결과를 비교한다.

그러면 14번의 답은 ①번이 바로 나옵니다.

1문단의 마지막 문장을 보면 '사람을 표본으로 하거나 사회 문제를 다룰 때에는 이 방법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라고 되어 있는데, '적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고 했지, '적용이 전혀 불가능하다'고 한 적은 없으니 ②번은 맞는 말입니다. 이런 뉘앙스 차이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중차분법에 대한 설명이 계속 나오고...

15번 문제입니다.

㉠의 내용을 요약하면

시행집단: 일자리가 급격히 줄어드는 산업에 종사하는 노동자

비교집단: 일반적인 노동자


노동자 교육 프로그램이 없으면, 시행집단에서는 일자리가 급격히 줄어드는 산업에 종사하니 고용률 증가가 비교집단보다 작아야 정상입니다. 그리고 이중차분법을 적용한다면...

평행추세 가정이 충족되면 시행집단과 비교집단이 모두 일반적인 노동자일 것이고, 시행집단이 일자리가 급격히 줄어드는 산업에 종사하는 노동자로 바뀌면 고용 증가 효과가 뚝 떨어질테니 작아야 합니다. 정답은 ⑤번.

시행집단: P주 저임금 식당

비교집단: P주 고임금 식당/Q주 식당


4문단에서 고용처럼 경기변동에 민감한 변화의 경우 집단 간 표본의 통계적 유사성보다 변화 발생의 동시성이 평행추세 가정의 충족에서 더 중요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그러므로 비교집단의 변화를 시행집단의 1991년 1년간 변화로 파악할 때 신뢰도가 높아진다는 건 말이 안 되죠. 정답은 ④번입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