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국원과 학교문법의 내용은 어째서 다른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894849
아래는 국국원 온라인가나다의 답변글 요약
질문자: 왜 학교 문법이랑 국립국어원 입장이 다름?
국립국어원: 문법의 개념은 학자마다 다를 수 있고 의견 차이도 있음. 국립국어원은 표준 국어 대사전에 올라 있는 풀이를 중심으로 안내해주는 곳임. 국어 교과나 문법 설명을 해 줄 수는 없음. 우리는 견해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하여 어떤 한 가지 입장을 따르지 않음. 그러니 교육과정에서 통용되는 학교 문법은 그 교과의 문법서를 살펴보는 것이 가장 명확할 것.
질문자: 그게 뭔 소리임? 국립국어원 설립 취지가 "1991년 초에 국가의 어문 정책 관련 연구를 주관하는 기관(국립국어연구원)으로 설립되고, 2004년 말에 국가의 어문 정책에 관련된 총괄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국립국어원’으로 발전했다."라고 되어 있는데, 왜 학교 문법은 총괄하여 관리하지 않음? 학교 문법은 국어의 어문 정책에 속하지 않는다는 말??
국립국어원: 문법 이론에 관한 표준국어대사전의 관점과 교과서의 관점이 일치한다면 편할 거라는 건 우리도 앎. 실제로 국립국어원에서는 교육부와 업무 협정을 체결하여 다른 부분을 통일해 나가는 작업을 하고 있음. 그러나 현재의 이론에 대한 모든 학문적 이견을 하나로 통일하는 건 아직 어려움. 그리고 무엇보다 학문적으로 이견이 있는 교육 내용을 학생들에게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의 문제는 교육의 측면에서 고민해야 할 문제임.
아래는 나찬연 교수의 글
"<국어 어문 규정>과 <학교 문법>은 둘 다 규범 문법입니다. 곧, 주로 국가(교육부)가 주체가 되어서 어문 규정을 제정하고 학교 문법의 내용을 선정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학교 문법은 초, 중, 고등학교의 학교에서 문법의 교육을 위하여 제정하였다는 점에 중심적인 의의가 있는 반면에, <국어 어문 규정>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여, 표준어(국어의 입말 사용), 한글 맞춤법(국어의 글말 적기), 외래어 표기법(외래어 입말의 적기),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국어 입말의 로마자 적기) 등에 대한 규정을 법률로서 정한 것입니다.
물론 <국어 어문 규정>을 제정할 때에는 학교 문법을 기반으로 하지만, 학교 문법의 내용과 다른 점도 많습니다. 이는 학교 문법이 수시로 개정되어서 지속적으로 교육 내용에 변화가 있지만, <국어 어문 규정>은 한번 제정되면 함부로 바꿀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곧, 교육과정을 개정할 때마다 변화하는 학교 문법의 교육 내용을 <국어 어문 규정>이 제때에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용어나 개념, 용례 등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기술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국어 어문 규정>은 전체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말과 글의 사용 방법을 법률로써 규정한 것인데, 이를 제정할 때에는 기본적으로 학교 문법의 내용과 체제를 따르게 됩니다. 그런데, <국어 어문 규정>을 수시로 개정할 수 없는 한계가 있어서, 시간이 지날수록 교육과정의 개편에 따라서 수시로 변경되는 학교 문법과 용어나 용례, 설명의 방법에 차이가 생깁니다. 아무튼 큰틀에서 보면 <국어 어문 규정>이 독자성을 띠는 것은 맞지만, <학교 문법>의 내용을 기반으로 하는 것은 분명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실전적구문 완강기념으로 씁니다 이명학쌤 syntax강의를 듣고 있었는데...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