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아이드잭 [521447] · MS 2014 (수정됨) · 쪽지

2015-07-22 13:00:35
조회수 26,268

바보가 아니라면 합격하는 경희대논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72509

인문계열 논술 Theory

1번 문제 유형 [501자 이상 600자 이하 : 배점 30]

2016 모의 인문

제시문 [][]의 내용을 요약하고, 논지의 차이를 서술하시오.

2015 인문

제시문 [][]의 내용을 욕망을 핵심어로 하여 요약하고, 그 욕망의 유사성을 논하시오.

2015 모의 인문

제시문 [][]의 내용을 비교하시오.

2014 인문

제시문 [][]의 내용을 비교하시오.

-> 두 개의 제시문을 각각 요약하고 유사점 혹은 차이점을 밝히도록 요구하는 문제

2번 문제 유형 [1,100자 이상 1,200자 이하 : 배점 70]

2016 모의 인문

제시문 []가 함축하는 의미를 서술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시문 [], [], []에 나타난 관점을 설명하시오.

2015 인문

제시문 []의 관점을 바탕으로, 제시문 [], [], []에 나타난 삶의 태도를 설명하시오.

2015 모의 인문

제시문 []를 기반으로, 제시문 [], [], []에 나타난 공감의 양상이 어떻게 다른지 논술하시오.

2014 인문

제시문 []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서술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시문 []의 주인공, []의 화자, []현자의 태도를

비판하시오.

-> 평가의 기준이 되는 제시문을 조건화하여 요약한 후 이를 바탕으로 세 개의 제시문을 평가하도록 요구하는 문제

사회계열 논술 Theory

1번 문제 유형 [401자 이상 500자 이하 : 배점 30]

2016 모의 사회

제시문 [][]를 비슷한 주장을 담은 내용끼리 두 가지로 분류하고, 그 내용을 각각 요약하시오.

2015 사회1

제시문 [][]를 비슷한 주장을 담은 내용끼리 분류하고, 각 제시문을 요약하시오.

2015 사회2

제시문 [] []를 비슷한 주장을 담은 내용끼리 분류하고, 각 제시문을 요약하시오.

2015 모의 사회

제시문 [][]를 비슷한 주장을 담은 내용끼리 두 가지로 분류하고, 그 내용을 각각 요약하시오.

2014 사회1

제시문 [][]를 비슷한 주장을 담은 내용끼리 분류하고, 각 제시문을 요약하시오

2014 사회 2

제시문 [] []를 비슷한 주장을 담은 내용끼리 분류하여 비교 요약하시오.

-> 제시문 다섯 개를 두 입장으로 분류한 후 각각 한 문장씩으로 요약하도록 요구하는 문제 [성균관대식 1번 문제 유형]

2번 문제 유형 [601자 이상 700자 이하 : 배점 40]

2016 모의 인문

제시문 []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서술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제시문 [][]의 논지를 비판하시오.

2015 사회1

제시문 []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서술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제시문 [], [], []의 논지를 평가하시오.

2015 사회2

제시문 []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서술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제시문 [], []를 비판하시오.

2015 모의 사회

제시문 []의 논지를 근거로 하여 제시문 [][]의 논지를 비판하시오.

2014 사회1

제시문 []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서술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제시문 [][]의 논지를 비판하시오.

-> 평가의 기준이 되는 제시문을 조건화하여 요약한 후 이를 바탕으로 세 개의 제시문을 평가하도록 요구하는 문제 [글자 수만 다를 뿐 경희대 인문계열 2번 문제와 유형이 같음]



안녕하십니까. 원아이드잭입니다.
위는 The논술 시리즈 마지막 편인 경희대편의 작업 중 일부입니다.
경희대는 항상 똑같은 문제유형만을 출제합니다.
저번주에 실시한 모의논술에서도 같은 유형이었습니다. 
바보가 아닌 이상 출제의도와 출제기준과 예시답안을 토대로 해서
만점을 받을 수 있는 답안의 구조를 도출해낸 후 이것만 외워간다면
반드시 합격합니다. 
가위바위보를 하는데 상대방이 항상 보만 낸다면 이쪽에선 가위만 내면 되겠죠.

경희대 논술에서는 
두괄식 글쓰기니 유려한 표현이니 맞춤법이니 다 필요없습니다.
답안구조만 외워가면 됩니다.

그리고 여기서는 공개하지 않았지만 수리논술도 항상 똑같습니다.
이것 또한 거기에 따라서 쓰면 됩니다.

The논술 경희대편에서는 이런 각 유형에 대한 모범답안 구조를 가지고서
모든 문제를 풀이해놓을 예정입니다. 

--------------------------------------------
[하나의 예시로서 인문계열의 1번 문제에 대한 풀이를 추가합니다.]

1. 인문계열 논술 Theory

1-1) 1번 문제 유형 [501자 이상 600자 이하 : 배점 30]

2016 모의 인문

제시문 [][]의 내용을 요약하고, 논지의 차이를 서술하시오.

2015 인문

제시문 [][]의 내용을 욕망을 핵심어로 하여 요약하고, 그 욕망의 유사성을 논하시오.

2015 모의 인문

제시문 [][]의 내용을 비교하시오.

2014 인문

제시문 [][]의 내용을 비교하시오.

-> 두 개의 제시문을 각각 요약하고 유사점 혹은 차이점을 밝히도록 요구하는 문제

1-1) 1번 문제 공략법

STEP1) 문제가 항상 요구하는 것은 아래와 같은 세 가지이다.

[]의 내용을 요약

[]의 내용을 요약

유사점 혹은 차이점을 요약

STEP2) 이를 문제가 요구하는 분량인 600자를 바탕으로 구체화시켜보자.

[]의 내용을 요약 [200]

[]의 내용을 요약 [200]

유사점 혹은 차이점을 요약 [200]

STEP3) 서강대 발표기준에 의하면 수험생의 평균 문장길이는 65~70자이다.

[]의 내용을 요약 [200- 3문장]

[]의 내용을 요약 [200- 3문장]

유사점 혹은 차이점을 요약 [200- 3문장]

STEP4) 예시답안을 기준으로 한 모범답안 골격의 완성!

Critical Point

[항상 예시답안에서 나오는 한 문장 형태의 서론을 추가]

일반론적인 서술을 통해 한 문장으로 서론을 작성하시오.

[]의 내용 중 핵심적인 내용이 무엇인가를 주장하시오.

그에 대한 근거로 []의 제시문 내용을 중립적으로 서술하시오.

그에 대한 근거로 []의 제시문 내용을 중립적으로 서술하시오.

[]의 내용 중 핵심적인 내용이 무엇인가를 주장하시오.

그에 대한 근거로 []의 제시문 내용을 중립적으로 서술하시오.

그에 대한 근거로 []의 제시문 내용을 중립적으로 서술하시오.

[][]의 유사점 혹은 차이점이 무엇인가를 주장하시오.

[]가 왜 []와 유사점 혹은 차이점을 가지는가에 대한 근거로서 []의 제시문의 내용을 중립적으로 서술하시오.

[]가 왜 []와 유사점 혹은 차이점을 가지는가에 대한 근거로서 []의 제시문의 내용을 중립적으로 서술하시오.

STEP5) 그렇다면 실제 문제를 한 번 풀어볼까?

2016 경희대 모의 인문계열 논술 [2015720일 시행]

제시문 ()

그런데 정화(淨化)는 아까부터 논의 속에서 이야기되었던 바로 그것이 된 셈이 아닌가? 최대한 몸으로부터 영혼을 분리하고, 영혼이 모든 면에서 몸으로부터 떨어져서 그것 자체로만 한데 모이고 서로 뭉치도록, 그리고 현재에도 미래에도 마치 사슬로부터 풀려나듯 몸으로부터 풀려나 가능한 한 오직 그 자체로만 살아가도록 길들이는 것 말일세.”

물론입니다.” 그가 말했습니다.

그러면 이것이 죽음이라 불리는 게 아닌가? 몸으로부터의 영혼의 풀려남과 분리.”

전적으로 그렇습니다.” 그가 말했습니다.

그런데 그것을 풀려나게 하기를 늘 열망하는 건, 우리가 말하는 것처럼, 누구보다도 그리고 오로지 올바르게 철학을 하는 사람들 뿐이고, 철학자들이 수행하는 바로 이것이네. 몸으로부터 영혼의 풀려남과 분리. 그렇지 않은가

그래 보입니다.”

그러면 내가 처음에 말했던 것처럼, 어떤 사람이 살면서는 죽어 있는 것과 최대한 가까운 상태로 사는 준비를 하다가 막상 그것이 자신에게 닥치자 노여워한다면, 그건 우스꽝스러운 일이 아니겠나

우스꽝스러운 일입니다. 어찌 아니겠습니까

그럼 심미아스, 실제로 올바르게 철학을 하는 사람들은 죽는 것을 수행하는 것이고, 죽어 있는 것은 그 사람들에게 가장 덜 두려운 일이군. 이런 관점에서 한번 살펴보게. 만일 그들이 몸과는 모든 점에서 반목하면서 영혼 자체를 그것 자체로 가지기를 열망하는데, 그 일이 일어나자 겁을 내고 노여워한다면, 그건 엄청나게 불합리한 일이 아니겠냔 말일세. 그곳에 다다르면 일생을 통해 사랑해 온 것을-그들은 현명함을 사랑하지-얻게 되고, 서로 반목하며 함께 지내온 것으로부터 해방될 희망이 있는 바로 그 장소에 그들이 기쁘게 가지 않는다면 말일세. 연인들과 아내들과 아들들이 죽었을 때 실로 많은 사람들이 기꺼이 하데스로 가려 했네. 그곳에서 그들이 열망했던 사람들을 보게 되고, 그들과 함께 있게 되리라는 희망에 이끌려서 말일세. 그런데 누군가가 정말로 현명함을 열망하고, 동일한 희망, 즉 하데스가 아니면 어디에서도 현명함과 제대로 만나지 못하리라는 확고한 희망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죽게 되자 노여워하고 그곳에 즐거이 가지 않을 거라고? 벗이여, 진정으로 철학을 하는 사람이라면, 그는 그렇게 생각해서는 안 되네. 그에게는 그곳을 제외하고는 어디에서도 현명함과 순수하게 만나지 못하리라는 확고한 믿음이 있을 테니 말일세. 그런데 만일 사정이 이러하다면, 방금 내가 말한 대로, 그런 사람이 죽음을 두려워한다는 건 매우 불합리하지 않겠나그가 말했습니다.

제시문 ()

인간은 기계에 불과하다. 물론 일반적인 기계가 아니라 놀라운기계다. 우리는 사랑하고, 꿈꾸고, 창조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기계다. 계획을 세우고 이를 다른 사람들과 함께하는 그런 기계다. 우리는 인간이라는 기계다. 그리고 기계가 작동을 멈추는 순간 모든 게 끝난다. 죽음은 우리의 머리로 이해할 수 없는 거대한 신비가 아니다. 죽음은 결국 컴퓨터가 고장 나는 것과 다를 바 없는 현상이다. 모든 기계는 언젠가는 망가지게 되어 있다. 인간이 모두 죽는다는 사실이 결코 슬퍼할 일이 아니라고 말하려는 건 아니니 부디 오해하지 말기 바란다. 삶이 우리에게 제공하는 마지막 축복을 누릴 때까지 우리가 살아갈 수 있다면 그건 분명 좋은 일이다. 오래 사는 것이 전체적으로 내게 좋은 것인 한 죽음은 나쁜 것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죽음은 너무나 일찍 찾아온다. 하지만 영생을 좋은 것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사실 영생은 우리에게 축복이 아니라 저주에 가깝다. 죽음을 바라보면서 이를 거대한 미스터리, 너무 두려운 나머지 감히 마주할 수 없는 압도적이고 위협적인 대상으로 바라보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다. 결코 합리적인 태도라고 볼 수 없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나는 부적절한반응이라고 생각한다. 한편으로는 너무 빨리 죽는다는 사실에 슬퍼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삶의 기회를 부여받은 게 얼마나 놀라운 행운인지 이해함으로써 우리는 인생의 균형을 잡을 수 있다.

경희대 예시답안

Critical Point

[항상 예시답안에서 나오는 한 문장 형태의 서론을 추가]

일반론적인 서술을 통해 한 문장으로 서론을 작성하시오.

->

죽음은 현세와 내세가 구분되는 시점으로, 죽음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현재의 삶과 미지의 내세에 대한 우리의 인식은 달라질 수 있다.

[]의 내용 중 핵심적인 내용이 무엇인가를 주장하시오.

그에 대한 근거로 []의 제시문 내용을 중립적으로 서술하시오.

그에 대한 근거로 []의 제시문 내용을 중립적으로 서술하시오.

->

제시문 []는 육체와 영혼으로 구성되어 있는 인간이 죽음을 통하여 이 둘의 분리를 경험하게 되는데, 죽음은 육체의 욕망으로 점철되었던 인간이 마침내 육체로부터 풀려나 영혼의 자유를 얻고 참된 선의 세계로 들어가게 되는 순간이라고 주장한다.

[]의 내용 중 핵심적인 내용이 무엇인가를 주장하시오.

->

반면 제시문 []는 인간은 기계와 같이 영혼이 없기 때문에 죽게 되면 모든 것들이 소멸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그에 대한 근거로 []의 제시문 내용을 중립적으로 서술하시오.

그에 대한 근거로 []의 제시문 내용을 중립적으로 서술하시오.

->

따라서 죽음은 곧 모든 것이 끝나버리는 것이므로 누구에게나 공포의 대상이지만, 그로 인해 오히려 현재의 삶이 더욱 소중하다는 것이다.

[][]의 유사점 혹은 차이점이 무엇인가를 주장하시오.

->

제시문 [][]는 상이한 관점에서 죽음에 대한 의미를 탐색하고 있다.

[]가 왜 []와 유사점 혹은 차이점을 가지는가에 대한 근거로서 []의 제시문의 내용을 중립적으로 서술하시오.

->

제시문 []는 인간은 죽음을 통해 육체에 갇혀 이르지 못했던, 이상적인 상태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사후의 세계를 두려워 할 필요가 없다고 한다.

[]가 왜 []와 유사점 혹은 차이점을 가지는가에 대한 근거로서 []의 제시문의 내용을 중립적으로 서술하시오.

 

->

반면, 제시문 []는 모든 것이 끝나버리는 죽음 이전의 현세만이 우리에게 부여된 소중한 기회인데, 필연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죽음의 특성이야말로 우리들의 삶을 아름답게 만들어 준다는 것이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