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잠녀 [1175390] · MS 2022 · 쪽지

2023-04-10 11:56:38
조회수 2,981

지1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653998


해양지각보다 대륙지각이 더 두꺼우니까 A가 a이고 B가 b인 건 납득이 되긴한데, 해양지각이 대륙지각보다 밀도가 높으니까 지진파의 속도가 더 빨라서 해양지각 A가 (나)의 b에 해당하고 대륙지각 B가 (나)의 a에 해당한다고 해석했는데 왜 틀린 걸까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농어촌03년생 · 1106814 · 23/04/10 12:03 · MS 2021

    그럼이거 답이ㄱ임?

  • 경잠녀 · 1175390 · 23/04/10 12:09 · MS 2022

  • 농어촌03년생 · 1106814 · 23/04/10 12:10 · MS 2021

    밀도가 크면 파 속도가 느려지는거아닌가요 그래서 전 ㄱ 나옴

  • 경잠녀 · 1175390 · 23/04/10 12:12 · MS 2022

    기출을 보면 차가운 풀룸하고 뜨거운 풀룸하고 지진파 속도 비교하는 문제 있는데 거기서 차가운 풀룸이 밀도가 더 크니까 지진파의 속도가 더 빨랐던 걸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 농어촌03년생 · 1106814 · 23/04/10 12:12 · MS 2021

    그러고보니 맞네 뜨거운 플룸에선 느린데

  • 쌈채원 · 1160634 · 23/04/10 12:12 · MS 2022

    부분용융된 곳은 지진파가 느려짐

  • 쌈채원 · 1160634 · 23/04/10 12:12 · MS 2022

    그러니까 저 위에 느려지기 시작한데가 더 깊은데가 대륙판

  • 쌈채원 · 1160634 · 23/04/10 12:13 · MS 2022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경잠녀 · 1175390 · 23/04/10 12:13 · MS 2022

    지각은 부분용융된 곳이 아닙니다.

  • 쌈채원 · 1160634 · 23/04/10 12:14 · MS 2022

    저기 아래 연약권이요

  • 쌈채원 · 1160634 · 23/04/10 12:15 · MS 2022

    ㄱ.번이 그거 힌트주고 있는거에요

  • Ry3zn · 1050951 · 23/04/10 12:12 · MS 2021 (수정됨)

    교과서 찾아봤는데
    밀도랑 지진파 속도는 선생님들이 암기 잘되게할려고 설명해주신거고
    교과서에는 밀도랑 지진파 속도에 관한 설명이 없었어요
    그래서 그냥 두께를 이용해서 더 얕은 지점에서 처음으로 지진파 속도가 변하는 a가 A라고 판단하는게 맞는듯한
    (밀도와 지진파 속도는 여러 가지 다른 변수들을 고려해야 되는듯?)

  • 경잠녀 · 1175390 · 23/04/10 12:13 · MS 2022

    그렇군요.

  • 라플레시아 · 1208224 · 23/04/10 12:28 · MS 2023

    지진파의 속도의 특성은 두 가지입니다.
    밀도가 큰 곳에서 빨라지고, 액체에서 ㅈㄴ 느려집니다.
    뒤에꺼는 확실한 요인이라서 이거 때문에 말씀하신대로 A가 a인 거고요
    앞에꺼는 영향이 크지 않아 다른 요인 (강성률) 등에 따라 밀도가 커도 속도가 느려질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일반적인 조건이 없으면 밀도가 크면 빨라진다고 보는게 맞지만 저 경우에는 다른 확실한 조건이 있으므로 굳이 이 규칙이 성립하지 않아도 되는 거죠.

  • 라플레시아 · 1208224 · 23/04/10 12:28 · MS 2023

    지진파 속도를 결정하는 요인은 밀도 뿐만 아니라 온도, 강성률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 proco rosso m · 1221832 · 23/04/10 13:33 · MS 2023

    해양지각이 두께가 얇음 -> 연약권이 시작되는 깊이가 대륙지각에 비해 얕음 -> 비교적 온도가 높은 즉, 지진파 속도가 느린 지점이 해양지각 하부가 더 먼저 나타남

    이렇게 풀었는데 이게 맞지 않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