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그날플래너 [578871] · MS 2015 · 쪽지

2015-07-20 20:20:20
조회수 729

아세틸콜린의 분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65329

시냅스 후 뉴런의 가지돌기 막의 수용체를 자극한 뒤 작용을 마친 아세틸콜린은 다시 축삭돌기로 흡수되어 시냅스 소포로 포장되거나 "가수 분해 효소에 의해 시냅스 틉에서 분해, 제거"되잖아요?

(섬개완 p.201)
그런데 여기서 질문이 있어요.

1. 아세틸콜린을 분해하는 가수분해효소는 혹시 리소좀인가요?
리소좀의 역할은 가수분해효소로 백혈구에 많이 존재한다고 알고 있는데요.
혹시 아세틸콜린을 분해하는 가수분해효소가 리소좀인가 해서요...
고교과정을 훨씬 뛰어 넘는거라면 그냥 가수분해효소가 분해하는가보구나 하고 넘어갈게요.

2. 가수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된다고 했는데 가수분해"효소"는 세포 내에 있어야 하잖아요..?아닌가
그런데 어떻게 뉴런이라는 세포와 세포 사이의 틈 (시냅스 틈)에서 분해,제거가 되는 건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련 · 494862 · 15/07/20 21:13

    1.
    단백질이요 리소좀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리소좀이라면 아마 언급을 했을듯..
    2.
    ₩₩가수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된다고 했는데 가수분해"효소"는 세포 내에 있어야 하잖아요..?아닌가
    그런데 어떻게 뉴런이라는 세포와 세포 사이의 틈 (시냅스 틈)에서 분해,제거가 되는 건가요?

    ☞ 시냅스 전 뉴런의 축삭돌기말단에서 다음뉴런으로 전해질때 시냅스 전 뉴런의 축삭말단에는 시냅스 소포라는 게 있습니다 이 안에 신경전달물질(아세틴콜린)이 있고요 흥분이 축삭말단에 도달하면 시냅스 소포에서 신경전달물질 이 시냅스 틈으로 확산됩니다 이 물질은 다음뉴런의 가지돌기나 신경세포막에 있는 「수용체」에 결합하게 되면 그다음 뉴런의 이온통로가 열려 탈분극이 일어나게 됩니다

    그리고 신경전달물질과 같은 아세틴콜린이 분해되게 됩니다
    만약에 분해를 시키지 못한다면? 계속 탈분극을 일으켜 뉴런은 흥분상태가 지속되게 됩니다

    그러나 시냅스 틈에 있는 효소(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스)에 의해 아세틴콜린이 분해되어 시냅스 전 뉴런으로 재흡수하고 거기서 재합성해 아세틴콜린이 만들어집니다

    이 부분은 지극~~히 지엽적인 부분입니다
    자세히 알 필요 없습니다
    저 효소 아세틴콜린에스터레이스 이런거 전혀 모르셔도 되고요(책 뒤졌네요ㅠㅋ)
    그냥 아~ㅇㅇ 아세틴콜린이 확산되서 다음 뉴런으로 흥분이 전달되는구나~(전도와 전달은 다릅니다 이건 아셔야 해요 전달은 뉴런에서 뉴런) 이정도로만..받으들이시면 됩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흥분의전도(맨 처음에 질문주신거)이부분 열심히?공부하세요

  • 그날그날플래너 · 578871 · 15/07/20 21:31 · MS 2015

    또 이련님이시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