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익대 한의대 간 꿈을 꾼 사람 [850790] · MS 2018 · 쪽지

2023-04-07 20:49:22
조회수 4,426

지1)위성영상 필기노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626372

D.일기예보

(1)위성영상

원리:온도가 있는 모든 물체는 빛을 방출한다

인공위성은 지구로부터 오는 전자기파를 측정한다

그리고 물체의 온도를 기준으로(빈의 변위법칙)

복사에너지를 분석한다(태양,지구)

1.가시영상-가시광선(visible ray)-태양복사에너지

5800k인 태양의 복사에너지 대부분은 가시광선이므로

가시광선 영역에서 관측한다.

낮에’ 태양복사에너지가 도달한다

태양광의 반사되는 정도

구름이 두꺼울수록 불투명성이 커져 하얗니까 반사

태양복사에너지->하얗다


2.적외영상-적외선(infrared rays)-지구복사에너지

상온인 지구의 복사방출은 대부분 적외선이므로..

적외선 영역에서만 관측한다.

인공위성이 지구를 보고있기 때문에

밤낮상관이 없다.

많이 방출될수록 어둡다 그래서 지표(지표복사에너지어둡다

기권(대류권성층권,중간권)의 대류권은 고도가 높을수록 기온이 낮다.

그래서 높은 곳의 구름일수록 기온이 낮다->복사에너지가 적다(슈테판-볼츠만 법칙

복사에너지의 크기는 절대온도의 4제곱에 비례)->더 밝게보인다.

차가우면 차가울수록 다 하얗다그렇다면 적도의 지표보다 시베리아의 지표가 

더 밝게 보이겠네같은 생각을 해볼 수 있다.

적도보다 남극이 더 밝게 보일 것이다.

일교차가 매우큰 사막은낮에는 어둡게밤에는 밝게 보일 것이다.


더 많은 복사에너지가 더 밝다고 직관적으로 이해되는 가시광선 영상과는 달리

적외영상은 더 많은 복사에너지일수록 더 어둡다는 것에 혼란스러울 것이다.

그 이유는우선 구름과 지표를 구분하는데 있어서지표의 복사에너지 방출량이 더 크기 때문에지표가 밝고 구름이 어두우면 이상하다그래서

더 적은 복사에너지를 방출하는 구름을 하얀색으로 표시한 것이다.

x레이 사진을 생각해보면 된다. x레이가 적게 방출될수록 하얗게 보인다.

(이빨에 충치가 생기면 구멍이 생기므로 치아가 어둡게 보인다ㅜㅜ)

적외선이 적게 방출될수록

지구복사에너지->어둡다

추울수록 밝다!


위의 사실들을 바탕으로 위성영상 분석을 해보자

온대저기압 위성영상에서

가시영상으로 온대저기압을 보면

한랭전선은 뚜렷히 보이고온난전선은 안보일 것이다(기출140618)

적외영상으로 온대저기압을 보면

한랭전선은 뚜렷히 보이고온난전선은 상당히 앞쪽(800km)정도의 구름(권층운)만 보일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위성영상에서 온대저기압의 전선을 찾는 법은

“‘가장 뚜렷해 보이는 구름이 한랭전선 뒤쪽이다

라고 생각하며 풀어야 한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