곱/몫/합성함수 미분법 증명 by 미분계수의 정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603676
해봅시다.
우선 이건 도함수의 정의입니다. 미분계수의 정의를 일반화하는 식으로 우리가 공부했었죠!
<곱의 미분법>
미분가능한 함수 f(x), g(x)에 대해 f(x)g(x)의 도함수를 구해봅시다.
우리는 함수 f(x), g(x)가 미분가능함을 알고 있기 때문에 아래의 두 극한이 수렴함을 알고 있습니다.
그럼 이를 활용해서 lim를 분배해볼 생각을 할 수 있으니 극한식의 분자를 다음과 같이 조작해봅시다.
그럼 이렇게 식을 정리해볼 수 있겠고
이제 각각이 수렴하니 lim를 분배해주면
다음과 같이 수렴할 것입니다.
곱의 미분법 증명 끝!
<몫의 미분법>
미분가능한 함수 f(x), g(x)에 대해 f(x)/g(x)의 도함수를 구해봅시다. 참고로 이는 수학2에서는 나오지 않고 미적분에 나옵니다.
뭐 일단 아까와 마찬가지로 f'(x), g'(x)가 존재함을 아니 이를 활용하기 위해 식 조작 해봅시다. 분모 분자에 g(x)g(x+h)를 곱해주면
이렇게 됩니다. 이제 극한식 써먹기 위해 또 분자에 식 조작을 해주면
여기서 이렇게 묶어줄 수 있겠죠
그럼 이제 각각이 수렴하니 lim를 분배해주면
다음처럼 수렴함을 알 수 있습니다.
몫의 미분법 증명 끝!
<합성함수 미분법>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f(x), g(x)에 대해 f(g(x))의 도함수를 구해봅시다.
마찬가지로 f'(x), g'(x)가 존재함을 아니 활용하기 위해 식 조작을 해봅시다. g(x+h)-g(x)를 나누고 곱해주면
말이 헷갈리니 잠시 x=a에서의 미분계수로 바라보면
함수 f(x)와 g(x)의 정의역 내의 임의의 실수 a에 대해 함수 f(x)는 x=g(a)에서 미분가능하고 g(x)는 x=a에서 미분가능하니 우리가
이렇게 lim를 분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죠. 다시 말해
로 lim를 분배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럼 왼쪽의 식은 점 (g(x), f(g(x))와 점 (g(x+h), f(g(x+h)) 사이의 평균변화율의 극한이니 x(독립변수)=g(x)(상수값)에서의 f(x)의 미분계수를 의미하고 오른쪽의 식은 점 (x, g(x))와 점 (x+h, g(x+h)) 사이의 평균변화율의 극한이니 x(독립변수)=x(상수값)에서의 g(x)의 미분계수를 의미하겠죠! 즉, 정리하면
가 될 것입니다. 합성함수 미분법도 증명 끝!
자 이렇게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마주하는 미분계수의 정의를 통해 증명 가능한 세 가지 미분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특히 확률과 통계 선택자 분들 중에 증명 과정 없이 결과만 외우며 학습하시는 분들이 많다 느껴서 이 글 확인하시고 적어도 곱의 미분법에 대해서는 증명 과정을 익혀두시면 좋겠습니다. 몇 번 따라해보시고 반복 학습을 통해 스스로 유도해보면 어렵지 않게 기억하실 수 있을 거예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다들 공부하느라 고생했어요 이제 저랑 놀아줘...
-
수능 끝나고 나한테 고마울거다 얘들아
-
이것때문에 남자든 여자든 상대방 이성 보는 눈높이가 쓸데없이 높아짐ㅠㅠ
-
잇올 끝났어요! 7
오늘 진짜 맛있게 공부한거 같네요 빡공 약속지켰습니다 이제 놀래요
-
올오카 오리진이 아니라
-
옛날에는 저기서 국수 바뀌었었음
-
이신혁 ㅋㅋㅋ 2
택배비 한번 보내면 750만원 든다던데 또 다시 보내나보네
-
국어 6등급이고 노베입니다. 김승리 오리진 다듣고 지금 올오카 theme4...
-
내일은 월급 날 25
갖고 싶은 거 말해 언니가 사줄게
-
“미인계 우려”... 美, 중국인과 ‘연애·성관계 금지령’ 6
미국 정부가 중국 주재 정부기관 직원들에게 ‘중국인과 연애 및 성관계 금지령’을...
-
퇴근 0
앗싸엘지이김
-
여기다가 영어1에 사문50 정법 47이면 어디갈지 궁금하노
-
암은 왜있는걸까 17
암에걸린사람이 다죽었다면 암에 안걸리는 유전자만 남아서 암에 안걸리는 사람만 있어야하는거아님?
-
연관성이 있음?
-
흑흑
-
좌파 한국 우파 한국으로 나누자
-
지문은 그냥 읽히는데 문제가 그냥 뭔소린지 모르겠음 ㅠ
-
본인이 언매 92라면 실제 수능에서는 86이 뜬다는 건가요, 아니면 언매 86이...
-
아니 근데 ㄹㅇ 똑같이 쓴거 같은데 광탈임;; 수리도 다 맞았는데
-
도달할수도 없고 도달해도 죽을뿐..
-
아니 무ㅏ 당연히 중요한건 알겠는데 얼마나 영향을 끼치는지..
-
2026학년도 국민대 논술 예상문제(논술가이드.. : 네이버블로그
-
안녕하세요 :) 이번 칼럼에서는 부정적분에 대해 다뤄볼게요. 적분 개념을 정확히...
-
제발 나를 납득시켜주셈뇨
-
감이 안잡혀요..
-
사쿠라가 3
후루마데
-
뭐로 기초떼는게 더 나을까요
-
쟤는 중간 보고 기말 보고 수행보고 중간보고 기말보고 수행보고 중간보고 기말 보고...
-
진짜 다년간의 경험이었는데 오늘 성공할거같음 포인트는 낮에 잠깐잠깐만 자고...
-
입시 뭐시기 해봣자 큐브 만원번게 단데 ㅋㅋ
-
다시 처방받으려면 낮은용량부터 시작해야할까요?
-
내 가 반 드 시 [모든것이 존재함] 을 증 명 할 것 이 다 1
LOGICAL MAGIC
-
내가 그렇지 뭐 0
살아오면서 은따 아닌적이 없었던거같음 나는 왜 사회에 섞일수 없는걸까
-
국어 33번 ㅇㅁ 없음?
-
확통 특성상 실수확률이 ㄹㅇ 높음 객관식이면 객관식인대로 검토가 가능하고...
-
ㅇㅈ?
-
책 읽는거처럼 보면서 공부해도되나...?
-
슬슬 영어 해야하는데 뭐하지..
-
으흐흐흐 맛있겠지 저거 7900원이야
-
곧 올릴테니 많관부
-
같은과 애들이 술먹는 중에 딴 애들이 와도 되냐고 물어볼때는 빨리 오라고...
-
찍었다고 판단하는건 다 틀리게 처리하는거임 이것이 공정한 성적 배분의 원칙
-
ㄴㅏ랑은 아무도 안 만나줌 이게 머선일...
-
11시라... 2
대한민국의 명운이 걸린
-
안녕하세요. 경북대학교 의예과 23학번 지니입니다. 생명과학 1을 어려워하는...
-
삶이 안정될때까진
-
기쁜 마음으로 숙면 가능
-
젠장 또 늦어졌어
-
[서울경제] [속보] 안동 하회마을서 불…집 2채 전소
-
왜클릭
합성함수 미분법 증명 틀렸어요..
1. f(g(x+h))를 f(g(x+h)로 표기했던 것 수정했습니다
2. 미분가능한 함수 f(x), g(x)라 할 때 일반적으로 정의역을 실수 전체의 집합으로 잡는데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라는 워딩을 추가함으로써, 함수 f(g(x))의 g(x)=g(a)에서의 미분가능성을 조사할 때 'f(g(x))를 정의한다'는 표현을 명시하지 않은 부분이 문제 될 수 있음을 고려해 g(a)가 f(x)의 정의역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는 경우를 배제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아뇨 근본적으로 틀렸습니다.. 많이들 하는 실수긴 해요 이거
g(x)가 x=a를 포함한 어떤 열린 구간에서 상수함수일 때 g(x+h)-g(x)=0이기에 본문의 과정처럼 식을 조작할 수 없음을 말씀해주신 건가요?
이외의 증명 과정 자체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고등학교 미적분에서 합성함수 미분법은 저렇게 g(x+h)-g(x)를 나눠주고 곱해준 후 각각의 평균변화율이 수렴함에 따라 lim를 분배하는 방식으로 증명합니다. Essential Calculus Early Transcendentals: Metric Version 2nd edition International Edition by James Stewart 에도 y=f(g(x))를 y=f(u), u=g(x)로 바라본 후 lim를 분배하는 방식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고등학교 미적분에서 주로 다루는 대부분의 미분가능한 함수의 경우 특정 구간에서 상수함수일 때가 없기 때문에 위와 같이 증명을 보였는데, 말씀하신 것처럼 엄밀하게 합성함수 미분법 다시 말해 연쇄 법칙 (chain rule)을 증명하려면 아주 작은 오차 입실론_1, 입실론_2를 잡아 설명해야하긴 할 것입니다.
스튜어트 칼큘러스도 체인룰 챕터 보시면 그 챕터 끝에 제대로 된 증명을 따로 소개 하긴 합니다.. 물론 전 스튜어트가 좋은 책은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어쨋든 고등학교 교과서나 정석같은곳에 있는 증명은 틀린것이 맞습니다.
오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하나 배웠습니다! 스튜어트 미적분학 연쇄법칙 뒤에 나오는 제대로 된 증명은 저도 처음 봤을 때 신기해서 익혀둔 상태였습니다. 위 답글의 마지막 부분에서 언급한 아주 작은 오차 입실론들을 이용한 증명이 이를 언급한 것이었어요, 다만 함수의 극한을 직관적으로만 정의하는 고등학교 과정에서 '오차'라는 개념을 갖고 오는 게 어려울 것 같다는 점과 위의 곱미분과 몫미분에서 미분계수의 정의에서의 식 조작을 통해 공식을 증명한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고 싶던 점에서 본문과 같이 증명을 남겼었는데 잘못되었을 경우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못했었네요 ㅋㅋㅋㅋ 감사합니다
증명이라는 것이 엄밀해야하는데 g(x+h)-g(x)=0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증명 과정에 오류가 있다고 말하는 것이 적절하겠네요. 교과서와 한완수에서도 본문과 같은 방식으로 극한을 증명해둔 것을 확인했기 때문에 '고등학교 미적분 수준에서는' 크게 문제가 없다고 봐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증명 대충 스케치 해봤어요
오 저렇게도 증명할 수 있군요!! 감사합니다 신기하네요 아래 말씀해주신 책도 지금 공부하고 있는 책 마친 후에 찾아볼게요
g가 분모에 가면서 오류가 발생하는 거긴 한데.. 제대로 증명하려면 극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해요
Stephen Kenton The College Mathematics Journal Vol. 30, No. 3 (May, 1999), pp. 216 읽어보시면 재밌을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