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582359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에라둔] 물리1 돌림힘 정말로 어렵고 힘든 유형일까?? (스압) 19
이 글은 포만한에 쓴 글과 내용이 거의 같으며(4편을 1편으로 다 줄이느라 중간중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582359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에라둔] 물리1 돌림힘 정말로 어렵고 힘든 유형일까?? (스압) 19
이 글은 포만한에 쓴 글과 내용이 거의 같으며(4편을 1편으로 다 줄이느라 중간중간...
목표가 뭔가요
수학과를 전공할 경우
1. 학사 졸 후 취업
- 의미없음. 수학 공부할 시간에 학회 및 인턴 등 대외활동에 집중하는 게 나음
2. 경제직렬 시험 준비
- 의미없음. 한은 아니고서야 경제직렬 시험에 쓰이는 수학은 고등학교 수학에 기껏해야 편미분, 전미분 더한 거임
3. 미국박사
- 좋은선택. 미국박사를 가려면 학부 수학 수업에서 좋은 성취 (A 이상)을 거둬야 함. 근데 1전공이 경제여도 미박을 생각하는 경우, 수학 과목을 거의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해서 두드러지는 차이는 1전공으로서 받는 학사 학위 정도 뿐인 듯함. 이게 큰 의미가 있냐? 잘 모르겠음.
주류 경제학이 수리적 도구를 크게 활용하는데, 새로운 수학이 사용되는 분야가 발전되면 수학과 학생들은 기존에 배웠던 전공 내용을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지만, 경제학과에서 필수적인 수학만 골라 수강한 뒤 공부하는 학생들은 수학 공부를 새로 해야하기 때문에 부담이 크다는 차이는 있을듯.
계량에서 메리트가 크다고 들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