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철 [1132943] · MS 2022 (수정됨) · 쪽지

2023-03-01 13:26:20
조회수 2,458

<이해시켜주면 5000덕> 통화량 증가하면 단기적으로는 금리가 감소하는데, 장기적으로는 금리가 증가한다는데, 왜 그런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263563

통화량 증가하면 단기적으로는 금리가 감소하는데, 장기적으로는 금리가 증가한다는데, 왜 그런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유영철 [1132943]

쪽지 보내기

  • 얼각이 · 1186511 · 23/03/01 13:28 · MS 2022

    국어 비문학 지문에 나와있지 않을까요?

  • 유영철 · 1132943 · 23/03/01 13:28 · MS 2022

    이유가 안적혀잇어요

  • 얼각이 · 1186511 · 23/03/01 13:29 · MS 2022

    그냥 받아들이세요 그러면

  • 얼각이 · 1186511 · 23/03/01 13:29 · MS 2022

    원래 국어가 그런거임

  • WEN · 1116686 · 23/03/01 13:36 · MS 2021 (수정됨)

    개인적인 생각은 통화량 증가는 국가가 돈을 풀었다고 볼 수 있고 이에 따라 단기적으로는 돈을 풀기 위해 금리를 낮추지만 장기적으로는 다시 돈을 회수하기 위해 금리를 높이기 때문이 아닐까 추측함

  • thyart · 1167644 · 23/03/01 14:00 · MS 2022

    통화증가에 의한 단기 시장유동성증가 ㅡ 금리하락 ㅡ 통화가치하락 ㅡ 환율상승 ㅡ 물가상승 ㅡ 금리동반상승
    결국 숏텀의 충격ㅡ 금리하락ㅡ은 흡수되고 통화량증가만 남게되어 물가환율상승이 금리도 끌어올림

  • 유영철 · 1132943 · 23/03/08 21:37 · MS 2022

    물가가 상승하는데 왜 금리도 동반해서 상승하나요?

  • thyart · 1167644 · 23/03/08 21:49 · MS 2022

    은행입장에서 물가안정시 대출금리가 1.0프로라면 물가상승국면에선 화폐가치가 떨어지는것을 만회하기위해 금리를 인상해야하죠. 이게 채권시장에서도 동일하게 형성되고 결국 물가와 금리는 일반적으로 정의 상관관계가 형성.게다가 정부가 기준금리 결정시에도 물가상승압력을 금리인상으로 제어하려고 함

  • 수헌 · 1186775 · 23/03/01 17:50 · MS 2022

    금리 낮아지면 대출이 늘어서 그런거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