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 [1136953] · MS 2022 · 쪽지

2023-02-25 14:55:16
조회수 5,095

주관적인 출산율의 문제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208494

난 절대 집값,고용안전 이런게 아니라고 생각함


근본적인 문제는

1. 여성들이 양육자로 자라나지를 않음


2. 초혼연령자체가 높음


3. 남자들의 초식화 



이거임


작년에도 글썼었는데 삭제되서..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木星 · 1155675 · 23/02/25 14:56 · MS 2022

  • BJ 태중 · 1093690 · 23/02/25 14:57 · MS 2021

    4. 여성 우대 정책 및 페미니즘으로 인한 남자들의 능지상승

    아 이게 3번이구나

  • 한양대수리논술로입학 · 1179402 · 23/02/25 15:01 · MS 2022

    ㄹㅇ저랑 같은생각 집값이 문제인게 말이안되는게 어느나라던 경제가 좋을수록 출산율은 떨어짐

  • 한양대수리논술로입학 · 1179402 · 23/02/25 15:02 · MS 2022 (수정됨)

    그리고 결혼제도 자체가 남자한테 불리해서 남자가 결혼을 피하는것도 맞고 sns의 대중화로 서민들삶의 눈높이가 너무 높아진것도 있고 복합적인 이유인듯

  • 산수러 · 950018 · 23/02/25 15:04 · MS 2020

    절대 하나의 문제는 아닌건 확실한듯 복합적으로 너무 많은게 안좋은 방향으로 흐르고있음

  • 초밥맜있져 · 1085133 · 23/02/26 21:23 · MS 2021

    나는 집값 급등과 일자리 감소가 저출산의 가장 큰 요인이라고 생각함. 왜 초혼 연령이 증가했는가 생각해보면 결국에 집값 급등과 일자리 감소가 그 원인이기도 함. 결국 저출산은 결혼이 감소한 것에 큰 영향을 받고 왜 결혼이 감소 또는 늦어졌느냐 생각해보면 집값 급등과 일자리 감소임.

  • 초밥맜있져 · 1085133 · 23/02/26 21:24 · MS 2021

    집값 급등한 시점과 출산율 급락하는 시점이 거의 일치함. 일본의 85년부터 90년까지도 그렇고. 한국의 2016년 즈음부터 지금까지도 그렇고.

  • 다이어 · 1136953 · 23/02/26 21:26 · MS 2022

    그럼 집값이 낮아진지 1분기정도됬는데 언제쯤 출산율이 올라갈까요?

  • 초밥맜있져 · 1085133 · 23/02/26 21:35 · MS 2021

    보통 당해 결혼이 2년 정도 후의 출산율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 내 생각에 집값안정화 기조가 유지되면 2년내지 3년 뒤인 2026년부터는 다시 상승할 수도 있다고 봄. 일단 향후 결혼이 증가하는지 지켜봐야됨. 근데 문제는 집값안정화와 함께 경기는 계속 부정적으로 흐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일자리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해서 내 생각에는 출산율이 상승하더라도 엄청 높아지지는 않을듯. 일본이 집값이 안정화 됬음에도 일자리 쪽에서 과거에 비해 문제가 많았던 것이 2005년까지 출산율이 하락했던 요인이라고 난 봄.

  • 초밥맜있져 · 1085133 · 23/02/26 21:43 · MS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