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124312
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우주배경복사 모두가 아니고 일부만 옵니다
선지에서 말한 '모두'가 'A와 B 둘다'를 의미하는것 아닌가요? ㅠㅠ
그렇게 해석될 수도 있네요...
졸렬한 낚시긴 하네요... 우주배경복사가 전방향으로 다 퍼져가는데 지구에 도달하는 건 극히 일부예요
아! 그렇게 생각해도 틀린선지가 되겠군요... 만약 문제에서 의도한 게(제가 알순없지만) 'A와 B에서 지구방향으로 출발한 우주배경복수 모두'를 의미하는거라면.. 그래도 여전히 틀린 보기인가요?
님께서 해석하신 부분도 맞는 게
우주의 지평선 끝이
우주 탄생 직후 지구로 오는 빛인데
우주배경복사가 탄생한지
38만년 지나서 오는 빛이기 때문에
완전히 끝에서 출발한 빛은
38만년이 지나야 지구에 옵니다
한마디로 현재 지구에서 관측이 안됩니다
감사합니다!
처음 읽고 저도 모두를 A와 B 모두라는 뜻으로 해석했네요;
저랑 같이 보셨군요 ㅎㅎ 지평선 '상'에서 출발한건 (지구입장에서) 영원히 제자리 걸음할테니까 도달 x, 지평선 보다 매우매우 살짝이라도 안쪽이면 언젠가는 지구 도달o... 맞나요?
혹시 문제 출처가 어떻게 될까요?
문제 너무 쓰렉이 아닌가요 ;;
사실 위에 영웅님이 해석하시는 것 처럼 보려면 모두라고 저따위로 쓰면 솔직히 너무 중의적이라 ’모든 우주배경복사‘라고 표현해야 더 명료한데 사실 어떻게 보든 너무 구린 보기라고 생각이 듭니다…
동의합니다.. 제가 푼 문제는 아니라 출처는 모르겠네요 ㅠㅠ 근데 영웅님이 보신 해석이든, 제가 생각한 해석이든 (쓰레기 같지만) 지구에 도달 안하는건 맞는거죠..? 제가 아직 n제를 안풀어봐서 잘 모르는데 '지평선 상 or 지평선 위'라고 표현해서 팽창속도=광속이니까 도달 못해! 라고 묻는경우도 있나요..?
저도 사실 올해 지2에서 지1으로 넘어온 입장이고 아직 1회독이긴한데 지금 저는 춘식쌤 교재 쓰고있어서 확인해보니까 ‘우리가 현재 우주 배격 복사를 관측한다는 것은 우주의 지평선 근.처.에 있는 지점의 정보를 관측하는 것이고’ 라고 써 있는 걸 봐서 출제자 의도는 우주의 지평선상에 있는 게 틀리다는 걸 말하고 싶었던 거 같습니다..ㅋㅋ 일단 하나 배워가긴 가네여
아아 너무 감사합니다 춘식쌤 교재에는 '근처'라고 명확하게 선을 그어놨군요 ㅎㅎ
저도 이파트는 사실 기출분석도 제대로 된 상황은 아니라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ㅎ핳ㅎ
문제오류인듯? 우주의 지평선 거리의 정의 자체가 "빛이 관측자에게 도달하기까지 이동한 거리"인데, 이 정의에 따르면 A와 B의 우주배경복사는 지구에 도달합니다... 쓸데없이 꼬아 내려다가 오류를 범한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