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빙​ [889877] · MS 2019 · 쪽지

2023-02-14 13:29:56
조회수 2,553

연산공 19학번 질받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035570

19학번인데 이제 3학년 1학기인..

복수전공으로 응용통계학과 듣고 있고

졸업하고 뭐할지는 생각하고 있는중


23학번 연린이들 어서오세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창무의 마지막 정리 · 1134092 · 23/02/14 13:32 · MS 2022

    타학교 산공인데 산공 진짜 학벌 많이 타요?

  • ​설빙​ · 889877 · 23/02/14 13:34 · MS 2019

    학벌 많이 탄다 = 교내 학회에서만 도는 고급 인턴 자리가 있거나, 회사에서 학교가지고 카트를 한다.
    위 두가지가 보통 성립하진 않으니까 그렇게 학벌 타지는 않아요. 보통 좋은 대학에선 혼자서 열심히 찾아서 공부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그렇게 보이는거 뿐이에요

  • 프사귀여운듯 · 953058 · 23/02/14 13:36 · MS 2020

    제 친구 지템 갔다네요
    개간지템

  • ​설빙​ · 889877 · 23/02/14 13:37 · MS 2019

    토둔 goat ㄷㄷ

  • 프사귀여운듯 · 953058 · 23/02/14 13:38 · MS 2020

  • 오징어 물회 · 682349 · 23/02/14 14:48 · MS 2016

    산공 아싸면 힘든가요?

  • ​설빙​ · 889877 · 23/02/14 15:31 · MS 2019

    코딩 잘하면 에이스

  • Yesman! · 1020714 · 23/02/15 12:34 · MS 2020

    산공이 다른 과에 비하면 ex.기계공 신소재 어떨까요?

  • ​설빙​ · 889877 · 23/02/15 17:40 · MS 2019

    전 좋다고 생각하는데 어디쪽으로 좋은지 궁금하신가요?

  • Yesman! · 1020714 · 23/02/15 19:00 · MS 2020

    네 비교요!!

  • ​설빙​ · 889877 · 23/02/15 19:29 · MS 2019

    1. 과제 로드가 적다. 과제량은 상대적인 지표이긴 하지만 실험과목, 역학을 배우는 기계공, 신소재보다 평균적으로 산공이 학교에서 공부해야할 양이 적다고 생각합니다. 학교에서 공부를 시키면 그 커리만 어느정도 따라가기만 해도 진로가 정해진다는 pros도 있지만, 다르게 생각하면 그 커리가 맞지 않거나 다른 진로를 생각할때 생각보다 쓰일 공간이 많지 않다는 얘기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산공은 상대적으로 과제량이 적은 대신 extracurricuular activities를 찾아서 하는게 좋고, 그것을 찾는 데 배우는 내용이 도움이 되어서 더 wider한 application이 가능한 느낌이에요. 그 예시로 저도 지금 NLP 쪽을 공부하고 있지요

  • ​설빙​ · 889877 · 23/02/15 19:38 · MS 2019

    2. 대학원 혹은 취업같은 진로는 대놓고 좋은 전문직이나 전전같은 경우를 제외하면 개인의 성향에 따라 크게 변화되기 때문에 어느 학과가서 어디 세부전공을 들으면 취업 잘된다, 대학원 무조건 가야한다 단정하기 힘든 부분이 있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공이 좋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제가 대학에 와서 여러 활동들을 찾아서 하거나 공부를 하는 도중 이 학과에 있으면서 한 생각들이나 배운 내용들이 decision making에 있어 여러모로 도움을 줬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네요 이번에 대학에 가셔서 여러가지 찾아가지고 활동하다 보면, 학과에서 있었던 경험들이 도움을 줄거고 그러다보면 정말 귀중한 인재로 거듭나실 거에요 :D

  • Yesman! · 1020714 · 23/02/16 21:37 · MS 2020

    아 감사합니다 혹시 제가 금융권쪽으로 취업하고 싶은데 통계학과 경제학과 이런 쪽에 비해 산경공이 가장 적합한지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금융쪽이 학벌을 많이 본다던데 경희대 정도면 디메릿이 있을까요?

  • ​설빙​ · 889877 · 23/02/16 23:29 · MS 2019

    금융권에서도 여러 직렬이 있는데 개발자/데이터/통계에서는 산공이 관련전공으로 취급되어서 통계/컴공 비슷한 위치에 있습니다.
    또 금융권이라고 포괄적으로 설명하기에는 개발/리서치/재무 등 여러가지가 있는데, 산공이 주로 가는 개발쪽은 코테 공부하시면 되고 리서치쪽은 학교 가셔서 알짜 경영학회에서 인턴자리 알아보세용

  • 펜트하우스 · 879728 · 23/02/15 21:31 · MS 2019

    산공가면 창업에 유리한가요?

  • ​설빙​ · 889877 · 23/02/15 22:09 · MS 2019

    컴공가세요

  • Pa · 916065 · 23/02/16 17:20 · MS 2019 (수정됨)

    데이터사이언티스트로 빠지는데 그쪽으로 데이터사이언스학과가서 대학원가는 거랑 산공가서 대학원가는 거랑 차이가 있을까요? 데이터 쪽은 학부졸로는 안된다고 들어서 데이터쪽으로 무조건 가겠다는 확고한 건 아니라면 어디로 가는게 나은 지 궁금합니다 글고 산공에서 it, 금융권으로 빠지시는 분들은 본인이 다 따로 준비 하신건가요? 학교수업이랑 그 쪽 취업이랑 연관이 있는 지도 궁금합니다

  • ​설빙​ · 889877 · 23/02/16 23:34 · MS 2019

    대학원 진학은 거의 차이 없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산공 데이터쪽은 데이터사이언스 최적화쪽 세부전공이라고 생각하면 편해요
    데이터 학부취업은 컴공 개발자 취업과 동률이라고 생각하면 되요. 좋은 회사들은 전부 코테있어서 취업 준비할때 코테 준비해야해요.
    금융쪽에 optimization research쪽이 있어서 이쪽은 산공이 주요분야긴 한데 나머지 케이스는 따로 준비해서 가는거 같아요 학교수업은 학바학

  • Pa · 916065 · 23/02/17 10:30 · MS 2019 (수정됨)

    그렇군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긍금한게 하나 더 있는데요...석사출신이랑 박사출신이랑 데이터사이언티스트가 되고나서 차이가 있는 지 궁금합니다!

  • ​설빙​ · 889877 · 23/02/19 13:32 · MS 2019

    석박 차이 = 투고 논문 수준 차이일거라 자신이 얼마나 학계에서 알아주는 논문의 저자인지, 세부분야가 업계에서 알아주는지에 따라 다를거 같아요

  • Pa · 916065 · 23/02/21 11:40 · MS 2019

    혹시 전과하면 과동기들이랑 친해지는데 어려움은 없나요? 산공은 조별과제가 많아서 괜찮을려나...

  • ​설빙​ · 889877 · 23/02/21 11:49 · MS 2019

    군대갔다오니까 암도 모르겠더라구요 전과는 1학년 이후에 하고 군대까지 갔다오면 하드리셋되는거 같네여

  • 성보고5학년 · 1052956 · 23/02/19 11:49 · MS 2021

    혹시 산공에서 erp(sap) scm 관련 취업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설빙​ · 889877 · 23/02/19 13:31 · MS 2019

    삼하대기업 공정 취업한다면 거의 이쪽이라 붙여주면 넙죽 절하면서 갈거 같아용

  • 우루옹 · 538165 · 23/03/26 15:13 · MS 2014

    성대랑 한양대중엔 어디가 더 나은가요? 산공 기준으로 차이없을까요

  • inin8474 · 1039361 · 24/01/11 17:56 · MS 2021 (수정됨)

    중경외시 라인 전자공에서 연대 응통으로 옮길까 싶은데
    연대 응통 수업들 어떤가요?
    교과목만 봤을땐 거의 이과같긴 하던데, 그래도 학교 내에서의 분류 자체는 상경계열이다보니 문과 성향이 좀 짙을까 싶어 걱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