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영어 문장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021915
Three years olds are shown a picture of robin and aretold that has a hidden property.
4형식이 수동태가 되었다고 보는게 맞을까요?
수동태가 되었는데도 뒤에 목적어가 남아있어서요,
shown 뒤에 a picture이랑 told 뒤에 that절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설득이너무 되더라구요…. 문제 읽고 문제의 목적이 뭔지 파악이 안돼서 항상...
-
평가원 모고 기준 낮2~높3 받는 재수생입니다. 뉴런이랑 강윤구 point 3,...
-
왜 기적을 바라면서 기적같은 노력은 하지 않는가 핑계거리는 어디서든 찾아내면서...
-
윤구쌤 엿모음 7
ㅋㅋㄹㅋㅋㄹ 계속 모으는중
-
어흑흑… 4공법 에센셜 대가리 깨부수면서 이악물고 듣고있습니다 아니 강의 들어보면...
-
배성민 풀커리 다탐(드n제 다품) 이제 n제벅벅 하려했는데 강윤구 바이럴당해서...
-
거의 박광일급 ot 실력.. 유대종보다가 잠깐 봤는데 공부법부터 수1 전체로 보여주는데 질질 쌋다
Three years olds are shown a picture of robin and are told that has a hidden property.
→ People show three years a picture of robin.
사람들은 3살짜리 아이들에게 Robin의 사진을 보여준다.
따라서 4형식 문장입니다. 간접목적어인 'three years olds'가 수동태의 주어로 사용되면서 직접목적어인 'a picture of robin'은 그대로 내려온 겁니다.
and
→ People tell three years old (that①) that② has hidden property.
사람들은 3살짜리 아이들에게 그것(사진? Robin? 아니면 그밖의 것일 수도 있음)이 숨겨진 특성(특성이라면 Robin의 특성일 수 있으나 property는 사물의 속성을 가리키는 것이 일반적. 따라서 재산일 수도 있음)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이 문장 역시 4형식입니다. 4형식 직접목적어로 명사절 that(②)이 왔으나 명사절 접속사 that은 생략됐고, that절 안에서 주어로 사용된 지시대명사 that만 남아 있는 형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