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젠 진짜 국어 통달했다 생각할 시점에 상상 모고 치고 상성이 안좋은지 70점대...
-
4시간 자고 공부하면 붙고 5시간 자면 떨어진다 가 아니고 7시간 자고 공부라면...
-
조아하는 기출 2
231122 기울기함수
-
머야 ??? 2
어제 저녁에 한완기 시켰는데 지금 왔네 오ㅑ케 빨라
-
그저 goat
-
4개 5000원해서 히힣하고 사왔는데 하나에 130mg이네... 조금씩 마셔야겠다...
-
네
-
사탐 선택하려고 하고 완자를 푼 이후에 어떤 문제집을 풀면 좋을까요?
-
넘 늦었나요ㅠㅠ
-
42같은 문제 맞으려면 어떻게 공부 해야함 능지문제인가? 아무리 개념듣고 해도...
-
?!
-
문재인 "트럼프는 때가 되면 다시 북한과의 대화에 나설 것…평양 방문 전격적으로 이뤄질 가능성 높아" 1
문재인 전 대통령은 17일 " 비록 프란치스코 교황은 선종하셨지만, 새 교황의...
-
개쩌는 4
체크셔츠가 갖고싶어졌다
-
얼굴 인플루언서급 키 168 뼈대 얇고 비율 좋음 바꿔살 수 있으면 돈 얼마까지 빚지기 가능?
-
제곧내 본인 87점
-
화작 검더텅 풀려고 하는데 개정 후인 22학년도부터 풀면 될까요 어디서는...
-
사탐런 질문 1
한과목 사탐런 생각하고 있는데 사문 생윤중에 어떤 과목이 더 괜찮을까요?
-
제 지인 (친구X) 은 항상 과외20분전에 무인프린트샵 가서 국어 기출시험지 하나...
-
미적분이었나 수2였나 기출이었는데 h(t)가 무슨 교점의 개수고 g(t)도 무슨...
-
수능실모에 도움되었던 실모들 추천좀 해주세요. 히든 강대x라든가
-
강사 이력 연세대 경영학과 최초합 연세대 심리학과 최초합 고려대 경제학과 최초합...
-
개체수 10000 멘델집단이니깐 총 유전자수 20000 일텐데 D:d=1:2로 합이...
-
모두 다 비닐 안뜯은 새책입니다 수1 코어앤 모어25000 수2 코어앤...
-
핵형 문제 풀 때 종 판단할 때 요즘 일부 염색체를 표시하지 않거나 미지수로 주고...
-
반수 시즌이 아니라 그런가
-
탈릅할까 말까 9
.
-
어느 정도로 공부해야 되나요? 많이 어려운가요??
-
요근래 학생들 중간고사가 끝나 과외를 많이 알아봅니다!! 과외알바를 생각하시는...
-
전에 올렸던 문제의 정답은 9입니다! [난이도 : 쉬운 4점 ~ 평이한 4점]...
-
5등급제 0
혹시 설명해주실 분... 화석이라 지금 고1 애들이 뭘 배우고 있는지 읽어봐도 잘...
-
기생집4점 점프 빼고 다 풀엇는데 다음 커리로 넘어갈지 점프 끝내고 시작할지...
-
흠흠 7
오늘 석촌호수 다녀올가 메타몽도 오늘까지내
-
풀고 어떤지 휭까점...
-
세특 관련해서 질문드려 봅니다.. "하나의 송신기에서 동일 주파수로 전송할 때,...
-
[속보]이재명 "4년 연임제 도입으로 대통령 권한 분산…국무총리는 국회서 추천" 10
제21대 대선 공식 선거운동 일주일째인 18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대통령...
-
헬스갔다 피아노 가야지 16
기분좋게 휴일을 시작하자
-
고3 (수시최저러)이라 내신시험기간이랑 세특도 있고 3모전후로 탐구과목바꾸고...
-
[속보]이재명 "감사원 국회로 이관…공수처장·검찰총장·경찰청장 국회 동의 받아야" 1
후속기사가 이어집니다
-
후속기사가 이어집니다
-
이거보고 함수로 푼 사람들은 어떻게 함수로 풀 생각을 떠올리셨나요?
-
수능까지 같이 가고싶다고 해줘서 넘 기뻐용 여기에 대단한 쌤들 많지만 ㅎㅅㅎ 한가지...
-
도야 2
훗
-
다 휴릅하면 12
여긴 내가 지배한다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여름방학 때 시킬건데 국어는 고등학교 공부가 처음인데 바로 강의 듣게해? 아님 고1...
-
제가 미래에 살곳이랍니다.
-
건동홍라인 공대 1학년 마치고 육군 입대했습니다. 마지막 수능은 재수때인...
아이큐 ㄷㄷ
아이큐 ㄷㄷㄷ 인간이 아닌
아이큐가 키보다 높다............넘사다..
그럼 아이큐가 도대체 몇이죠? ㄷㄷ
한국남자 평균 키입니다!
예에에? 173?
부럽다ㅠㅠ 150간신히넘는데
170,150 이거 나오는 수치냐 ㅋㅋㅋ 저정돈 돼야 뭐 하는구나 초2때 109 나왔던거같은데
글 잘 읽었습니다!
질문도 혹시 가능할까요..ㅠ
저는 노베인데 성적 올리려고 똑같이 한과목씩
조지는 식으로 하고있습니다.
수1 기출>수2기출>기하기출>생명(개념,기출)>지구(개념,기출)>국어기출>영어기출>
이후에 n제,실모도 날 잡고
한권씩빠르게 끝내면서 양치기
(1주안으로 잡고 책 한 권씩 끝내는 식)
이런식으로 대충 머릿속계획은 잡았는데
베이스가 없는 사람도 이렇게 해도 될까요?
짜잘짜잘하는 것보다 하나씩 조지는게 성적 빨리 올리기엔 더 좋을것같아서 이렇게 하려는데
불안감에,, 한 번 여쭤봅니다.
그리고 요새 계속 풀어지는 느낌이 나서..
공부시간을 측정하는 방법도 괜찮나요?
그냥 흘러가는대로 공부하는데 잡생각이 생겨서
집중이 잘 안되네요. 개인적인 팁이나 방법이
궁금합니다.
(좀 기네요.. 죄송합니다)
독학재수하는 과외생들한테도 시켜봤는데, 노베가 해도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다!!
공부시간... 열품타로 하셔도 되고 타이머로 재셔도 돼요. 예를 들어, 하루 10시간 꾸준히 한다는 목표를 세우시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ㅠ
저도 본받겠습니닷
넵 응원하겠습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수능 만점 못 받은게 아쉬운 실력이네요ㄷㄷ
저도 평소 한과목씩 길게 시간을 투자해 공부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었는데, 독재를 시작하고 매일 전 과목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머리에 잘 남는 느낌이 들지 않고 시간이 분산되어 하루가 빨리가는 느낌이 든다면 평소 방법으로 돌아가는게 맞을까요?
특정 기간을 한 과목에 집중하면 나머지 과목에서 감각이 떨어질까 걱정되는데, 선생님께선 지능과 고등학생 시절 쌓아온 경험으로 이를 극복하지 않았을까 싶어서요;; 일반적인 지능을 가진 저에게도 괜찮은 방법일까요? 혹시 과외생들에겐 어떻게 조언해주셨는지 궁금합니다.
하 ㅅㅂ기훈이 형 안녕하세요!
제가 옛날에 기타를 배울 때, 하루에 한 곡만 몰아서 연습하는 게 좋은지 여러 곡을 골고루 한번씩 연습하는 게 좋은지 선생님께 여쭤본 적이 있고, 선생님께서는 둘 다 맞는 방법이라고 말씀하셨어요. 공부에는 어떻게 적용될까요
우선, 저처럼 1주에 1과목씩 조지는 방법과 보통 수험생이 하는 하루에 여러과목을 골고루 하는 방법 중에서 어떤 것의 '공부효율'이 더 높을지가 중요할 거예요. 교육학이나 학습심리학 분야에서 충분히 연구될 만한데, 제 지식이 짧아서 연구결과가 있는지는 모르겠어요. 저의 경우는 그저 경험으로 이 방법이 저에게 효율적이고 주위의 독학재수생들에게도 효율적이었다고 깨달았을 뿐입니다. 다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다르게 적용될 수도 있어요. 그래서 기훈이형한테는 어떤 것이 더 효율적일지는 제가 알 수 없고, 직접 경험으로 깨달으셔야할 거예요. 일단 저는 1주에 한과목씩 조지는 방법을 강력추천드리겠습니다.
저는 공부를 크게 실력을 기르는 것(1번)과 그 실력을 실전에 적용하는 감을 기르는 것(2번)으로 나눠요. 한 과목만 조지다보면 다른 과목이 약해지지 않을까 걱정을 하실 텐데, 자세히 보면 1번 즉 기본실력은 떨어지지 않아요. 하지만 2번 감은 죽겠죠. 그래서 제 경우 수능 2주전까지는 저런식으로 국어,수학,물리학,지구과학 실력을 폭발적으로 쌓은 후 2주 동안 각 과목의 실전모의고사를 골고루 풀면서, 실력 상승은 그만두고 감을 날카롭게 하는 데에 집중했네요.
오… 마지막 문단이 인상깊네요 고맙습니다 열심히 해볼게요!!!
응원하겠습니다ㅎㅎ
첫줄 개웃기네ㅋㅋㅋㅋ
불면증 우울증 환자로서 무릎탁 치고가요
쪽지확인부탁드려요 :)
남은 마지막 수험생활을 이 방법에 쏟겠어요
응원하겠습니다!!
선생님 혹시 어떤 계기로 학생설계 전공인 인지생물심리학을 해야겠다고 생각하셨는지 (그런 루트는 어떻게 아셨는지)
진로 탐색은 어떻게 진행하셨는지 등등
알려 주실 수 있을까요?
요즘 진로에 대해 고민이 많은데, 평생 인생을 수동적으로 살아온 터라 막막합니다.. 이렇게 묻는 것도 참 수동적이네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