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과 신입학은 기준이 많이 다른것같아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1627734
예를들어
전적대가 서성한 자연대 출신의 A군과 건동홍 (혹은 인하아주 등등) 전전 출신의 B군이
똑같이 연고대 전기전자 편입시험을 봤다고 했을때
합격률이 유의미한 차이가있을것같지만 사실 큰 상관관계는 못느꼈습니다.
시험과목이 수학(미적,공수), 전공(일물,일화) 등 두어과목뿐이라 수탐황+국어고자 테크로 하위대학을 간 사람들 VS 골고루 잘해서 상위대학간 학생들을 비교해볼때 연고대 공대의 시험과목 경쟁력은 사실상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자신의 현 대학(전적대)이 높다고 "이정도면 붙겠지?" 했다간 떨어지기 십상이더라고요
그리고 진짜 하고싶은얘기는 따로있는데
연고대는 뽑을때 은근 동일(전공) / 비동일(전공)을 많이보는것같아요
제가 느끼기로는 학교레벨 최소 두어계단 정도(그거보다 더할수도 있음) 동일이 비동일보다 유리한것 같았어요
예를들면 연고대 전전 교수들 선호도상 건동홍 전전 > 서성한 자과 이런식이죠,
(인아 전전, 국숭 전전도 서성한 비동일보단 평가가 후할겁니다 아마...)
한마디로 낮은대학 동일계가 높은학교 비동일보단 편입판에선 절대적으로 유리합니다.
이게 단적으로 느끼는게 편입합격후 전적대 학점인정과정인데요
이게 전적대 2학년까지 들은 과목으로 인정여부가 결정나는거라
당연히 다른곳 전전에서 온친구들이 전전아닌곳에서 온 친구들보다 훨씬 많이 인정받습니다.
보통 동일과 비동일 인정학점(전공)이 대략 15-20학점정도 차이가 나고요.
그 이상 차이가 나는경우도 봤습니다.
전공 15-20학점 차이면 연고대 전전에 편입한 건동홍 전전 학생 → 2년만에 칼졸업
같은과 편입한 서성한 비동일 학생 → 2.5-3년걸려 졸업
이런 얘기가되는겁니다.
덤으로 학과 적응도, 학점도 동일계 학생들이 비동일 학생보다 낫더라고요
(3학년 수업을 수강하는데 아무리 상위권 대학이라도 쌩짜 비동일이 공대 3학년 전공과목을 이해하기란 무리일수밖에 없는 구조죠....물론 그전에 2학년 전공과목부터 강제수강각이긴합니다. 인정받은 전공과목이 거의없어서...)
그래서 자기는 인서울 A과를 다니는데 2년후 연고대 B과로 편입하고싶다 한다면
1-2학년때 자기학교 B과에 해당하는 전공과목들을 몇과목 정도 선수강하는게 유리합니다.
그러면 연고대 B과로 편입성공했을떄 전공학점인정도 많이받을수있고,
혹여 편입 실패하더라도 자교 B과로 복전 및 이중전공에 유리하기도 하고 그렇게 되겠죠
암튼 저도 편입전엔 몰랐던 사실들을 겪게되니 여러가지로 신기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학 기출문제집 추천 13
현우진(뉴런, 드릴)이랑 강윤구 (point3,4공s,point2) 커리 타고 있는...
-
빡빡 기출 후기 3
그냥 자이 사세요 환불하러 갑니다
문과.이과가 또 다른거 같네요.이대이과에서 고대문사철로 편입한 경우도 봤구요.그리고 학교 레벨도 안보는 것은 아닌듯요
안보진 않는것같아요. 하지만 동일비동일도 굉장히 중요한 요소긴합니다.
그리고 편입합불은 가장 중요한게 시험점수라 점수만 높으면 거의 붙습니다.
문제는 합격이후죠
편입합불에도 동일계가 은근히 영향력이ㅣ 있다는건가요
합불만 생각한다면 시험점수가 가장 큰거같아요. 다만 엇비슷한 점수라면 전적대수준 만큼이나 동일비동일을 따지는 학과들도 있다더라고요. 아무래도 같은 전공으로 편입하면 적응도 빠르고 수업이해도도 비동일보단 좋을수밖에 없으니까요
확실하게 유불리를 느끼는건 합격후 전적대 전공학점인정과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