섣달 어휘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1503432
오늘은 음력으로 한 해의 마지막 날인 섣달그믐이다.
현대 국어 '섣달'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섯ㄷㆍㄹ'로나타난다. 일반적으로 16세기 후반에 제2음절 이하의 ㆍ는 'ㅡ'나 'ㅜ'로 변하였는데 '섯ㄷㆍㄹ'은 '섯달'로 변하였다. '달(月)'에서 왔다는 어원 의식을 반영한 표기이다. 17세기에는 ‘섯달’이 쓰였는데 여전히 아래아가 쓰인 표기는 존재했다.
현재의 어형인 '섣ㄷㆍㄹ'은 18세기에 등장하였는데 이는 종성에서 ㅅ과 ㄷ의 음가가 변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원래 중세국어에선 '섯'과 '섣'은 다르게 발음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근대로 넘어오며 그 구별은 무의미하게 되었다. 결국 '섣ㄷㆍㄹ'이라는 표기가 18세기에 등장하고 아래아의 제2차 음가소실로 인해 'ㆍ'는 'ㅏ'로 변해 '섣달'이 쓰였다.
'섣달'의 옛말 '섯ㄷㆍㄹ'은 '설+속격조사 ㅅ+ㄷㆍㄹ'로 구성된 말로 '섨ㄷㆍㄹ'에서 선행 명사의 말음 ㄹ이 탈락한 형태이다. '이틄날(이튿날)'이나 '믌결(물결)', 등에서도 보이는 현상이다. 속격조사 ㅅ이 붙어 합성어가 형성될 때 앞의 ㄹ이 탈락하는 것은 자주 일어나는 일이다.
설이 드는 날이라 하여 이러한 단어가 생겼다. 19수능의 숟가락 지문의 내용과 같은 음운 변화를 겪은 단어이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설일 것 같다고는 생각했는데 섨이었군요 님 글 자주 보다 보니까 ㄹㅅ받침도 눈에 익는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