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고대 '호랑이/범'의 어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1397500
고려대를 상징하는 '호랑이'와 '호랑이'의 고유어 '범'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호랑이'의 어원에는 여러 설이 있으나 범을 뜻하는 '호(虎)'에 이리를 뜻하는 '랑(狼)'이 붙고 그 뒤에 접미사 '-이'가 붙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실제로 여러 훈민정음 문헌에는 '虎' 또는 '虎狼'이 '범'의 의미로 쓰인 기록이 여러 있으니 한자어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한자 구조에서 보이듯이 원래는 호랑이와 이리를 두루 부르는 말로 육식 맹수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이는 한문의 풀이 표기를 보면 알 수 있다. 능엄경언해의 "虎狼獅子와"는 "虎와 狼과 師子와"로 표시되었는데 이는 각각이 호랑이, 범, 사자(*추정)를 뜻하는 별개의 단어임을 나타낸다. 그리고 구급방언해의 "虎狼"는 "범과 일ㅎㆎ와"로 언해되었다. 즉 원래 '범과 이리'를 뜻하던 말로 '호랑(虎狼)'이 쓰였으나 '호랑'이 굳어져 쓰이며 점점 '범'을 뜻하는 어휘로 그 의미가 좁혀졌다고 할 수 있다.
'호랑'으로 쓰이던 단어가 현재와 같은 어형을 갖게 된 것은 접미사 '-이'가 붙기 시작한 19세기부터다. '-이'라는 접미사는 '고슴도치'나 '원숭이' 등에서 보이는 접미사로 기존 음절로 말할 때보다 의미 전달과 청각적 효과를 강화하기 위해 주로 쓰인다. 이때부더 '범과 이리'라는 원의미는 잃어버리고 '호랑이'만 지칭하게 되어 현재까지 쓰이게 됐다.
다른 설로는
1. 호랑이를 뜻하는 '호(虎)'에 접미사 '-랑이'가 붙었다는 설. 그러나 '-랑이'라는 접미사가 없다는 점이 문제이다.
2. 호랑이를 뜻하는 몽고어 'hol'에 접미사 ‘-앙이[aƞi]’가 붙어서 된 것이라는 설. 그러나 15세기부터 [호랑]으로 읽히는 '虎狼'이 쓰였고 19세기에도 한불자전이나 기타 문헌에서 虎狼이란 한자를 쓴 기록이 존재한다. 한자 '虎狼'에 접미사 '-이'가 붙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가 붙은 표기는 근대에 가서나 등장하고 기존에는 '虎狼'이란 말이 쓰였으므로 갑자기 몽골어에서 그 어원을 찾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
현재는 '호랑이'라는 용어가 '범'을 아예 대체했지만 원래는 '범'이라는 말이 훨씬 압도적으로 많이 쓰였다. '호랑이'는 앞서 말했듯이 한자어인데 '범'이 바로 '호랑이'의 고유어이다.
'범'은 '호랑이'의 고유어로 15세기부터 '범'으로 쓰였다. 어형의 변화 없이 계속 '범'이 쓰여 왔는데 계림유사에는 "虎日監蒲南切(범은 監蒲南切이라고 읽는다)"라는 문장이 있다. 여기서 아래첨자(가독성을 위해 씀. 원래 문헌에서는 아래첨자로 나타나지 않음)는 반절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어병음이 생기기 전 두 한자를 빌려 한 한자의 음을 표현하는 것을 '반절(反切'이라 한다. 예를 들어 '文無分切'은 '文'이란 한자를 '無'의 성모(ㅁ)와 '分'의 운모(ㅜ)을 합쳐 반절(切)하여 발음하란 뜻이다.
따라서 계림유사의 '監(감)'은 '범'의 옛말이 /k/의 음을 가졌다는 걸 나타내는 증거가 아니므로 반절하여 읽는 표기가 맞는 발음이다. 이때는 앞의 성운과 뒤의 성모를 따서 읽으므로 '팜' 또는 '밤'과 비슷하게 발음했을 것이다.
이 '범'이라는 어휘의 어원을 조사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고려 이전 문헌에서 '범'이라는 어휘가 보이지 않고 1음절 단일어이기 때문이다. '범'과 '밤'과의 발음상의 유사성으로 어둡다를 뜻하는 어근에서 왔다는 말도 있고 '범'을 아예 동사의 활용형으로 본 글도 보았다. 그러나 아직 근거는 불충분하다.
또 하나 재밌는 표기는 '저우롬/저우룸'이다. 간이벽온방의 "正月初上寅日"라는 부분은 "져ㆁ월 첫 저우름날'로 언해되는데 '寅'은 자축인묘 할 때 그 '인'이다. '日'는 '날'이란 뜻이니 '날' 앞에 붙은 '저우름'이 寅 즉 호랑이를 뜻하는 말임을 알 수 있다. 십구사략언해에는 '寅月'을 '저우롬ㅼᆞㄹ'로 표기했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조선관역어에는 12지와 관련된 부분에 '寅 則卜論苔 引'라는 글이 있는데 '즉복론(則卜論)'을 '저ㅸㅡ룸'으로 읽기도 한다.
적어도 12~13세기부터 호랑이의 고유어인 '범'과 '저우룸'이 공존하였다가 18세기 이후 '저우룸'은 서서히 그 쓰임이 줄어들며 언중에게 잊혔을 것이다. '저우룸'과 '범'에는 어떠한 음운론적 유사성도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 흥미롭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구해서 풀까 고민중
-
인터넷에서는 필연적으로 자극적이며 다수의 분노 혹은 집단 간의 갈등을 야기하는...
-
수학은 확실히 개념 / 기출 ( 교사관평) / 정도면 0
잘파고 어느정도 벽깨면 1등급컷에서 그이상은 무난하게 보장되는거같음
-
수1 수분감 2
수1 뉴런 끝나고 수분감하는데 풀만한문제들은 다뉴런 회독하며 풀었던거고 나머지는...
-
사문 경제 1
같은학교 정시파중에 사문 경제있음… ㄷㄷ
-
브릿지 0
브릿지 난이도가 수능으로 치면 몇 번 전 정도 되려나요? 오늘 처음 풀어봤는데...
-
문제를 잘 읽자 0
수학은 그런경우 잘 없긴한데 탐구는 빨리풀려다가 조건 많이놓침 특히 탐구는 보기...
-
복귀싫다 0
나도민간인할래
-
레전드 커리어로운데 씨발.. 내 여름방학 경험치 어디갔지 혹시 쉬웠나요??
-
수학 서바 5회 0
12번 28번 틀려서 92점인데 수능이었으면 1컷이 몇점인가요? 엄청 어렵던데요
-
자연과학 I (생명과학) 자연과학 II (일반화학+유기화학) 전년도 문제:...
-
강기원 모 2회 0
22 28 틀 92 20 21 29 30이 되게 쉬운느낌인데 14 15가 좀...
-
엄마랑 할머니가 2학기 때부턴 프로젝트 발표나 무슨 봉사 활동, 진로 활동 이런 거...
-
롤체에메달성 2
마스터찍고공부할게
-
서라운딩으로 팝콘소리 ㅅㅂ
-
뭐가 더 수준높음?
-
존맛
-
ㅈㄱㄴ
-
고1 때부터 지금까지 계속 3등급만 받고 있는 재수생입니다 날마다 꾸준히 국어에...
-
드라마나 웹툰 추천해주세요!
-
이게30이야?
-
천우신조 2회 0
천우신조 2회 맵다길래 얼마나 매운가 풀어봤는데 69점 운지 ㅋㅋ ㅈㄴ게 맵네
-
실전개념 배운거로 어떻게 풀리긴 풀리는데 풀어냈다 해도 비효율적으로 돌아돌아 풀거나...
-
미3누 보닌등판 영상이 되게 애매해지겠네
-
이사람도 혼자 왔나바,,,같은 열에 나랑 이 사람 둘만 딱 붙어 있고 아무도 없음...
-
문단7 4번문제 갑이 채무(무효되기 전에 의무) 이행했으면 원상회복청구권이...
-
솔직히 6모 9모 1등급은 받기 꽤 쉬움 나 재수할 때도 과목 바꾸고 3달 만에...
-
오르비 글에서 본건데 답이 뭔지 모르겟어요
-
오래앉아있으면걸리는병중에하나가있음...
-
멋있다 1
독재 옆자리 물화임 근데 그 앞자리도 물화임 캬
-
ㅊㅊ좀
-
ㅠㅠ...존나 우울해
-
100-100-99-100이던데 컷은 88-88-88-90이고 큰욕심은 아니겟지
-
나중에 가서 또 수업거부하면 어쩌잔거임
-
운동도 잘 하고 싶은데 다 못 함 어카지..
-
임정환 림잇 사야되나 고민됩니다.. 마더텅 개념만으로는 부족한가요? 생윤 사탐런...
-
교육청은 최근 3~5개년 뽑아서 모의고사 형식으로 푸려는데 사관학교도 해야할지 고민이되네요..
-
이건 좀 심한 거 아닌가..... (배성민쌤 힘내세요)
-
글이랑 문제가 막 어렵지 않지만 2분은 빡센디 저런 문제 40개를 90분 내에 ㄷㄷ...
-
실모랑 비교해서 앞페이지+준킬러+킬러 전부 현장 체감으로도 쉬운 느낌인데 절대로...
-
간단하게라도 하셔야죠? 1등급 만들어 드리겠습니다. 지금 바로 합류하세요....
-
국 영 수(공통) 한국사 과(물/화/생1) 사(세지) 중에 ㅊㅊ해줘
-
14=> 내신틱한 지로함(지랄맞음) 15= > 무난한 미분 킬러 21 =>...
-
어떤 펌 할지 27
추천받아요!!!!!!
-
다 푸는 것보다 푼 걸 확실하게 맞는 능력이 더 중요하다... 실력적인 의미에서는...
-
한여름에 선풍기로는 힘들다
-
사려고했는데 기하 없는거보고 포기 ㅠ
-
이제서야 느껴 우리 공간
언매황 추

언매황 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