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1 기초베이스를 잘못 쌓은 걸까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127359
제가 화학1을 배우고 있는데 .. 1단원 4단원 개념을 다 들었음에도 성적이 잘 안나와요.
(다른 사람들은 인강만 들어도 31점 나온다던데 . )
2단원 3단원도 다 들었거든요 .. 그래서 여러가지 생각이 들어가지고 ...
저는 김철준 선생님 인강을 들었거든요 ??
그런데 김철준 선생님 평이 그리 좋지 않더라구요 ..
그래서 궁금해서 질문합니다. 김철준선생님 인강이 좋지 않은건가요 ??
1단원 문제 풀때 너무 문제들이 새롭더라구요 .. 개념은 알고있는데도 못풀고 .
이것이 당연한 건가요 ?? 아니면 .. 인강을 잘못 들은걸까요..?
(물론 제 머리가 부족한것도 잇지만 .. 인강 위주로 판단해주셨으면 해요 ㅠㅠ )
문제풀이하면서 해설을 하는데 .. 왜 그러는지 이해가 안가는 부분도 너무 많더라구요 ..
강의에서는 당연하듯이 풀고 ..
화학 하는 사람들은 다 원래 힘들어 하는 걸까요 .. ?
아님 인강 안좋은거 들어서. 개념이 잘 안쌓여서 못 푸는 걸까요??
답변 부탁드려요 ㅠ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네 할복하겠습니다
-
못생기면 좋은점 1
공부에 집중할수있음
-
잘생기면 좋은점 1
술집,호텔뷔페에서 혼밥해도 눈치안보임
-
뭐지
-
무물보 5
암거나
-
조기졸업으로 카대간 친구..
-
엔제나 실모 컨텐츠가 많나요???
-
먼저, 정말 고생 많으셨습니다. 올해 입시는 예년과 비교해 유독 길고 험난한...
-
방음 확실히 효과있나요??
-
6모 전까진 작수 기준 89>>95점까진 올려놓고 싶은데
-
카이스트 가려면 0
보통 세특이나 창체활동 이런거 ‘어느정도 수준’이면 됨? 뭐 논문 분석하기 이런...
-
신기하네요.
-
아무리 생각해봐도 개꿀인데
-
구웨에엑
-
제목이 곧 투표
-
무려 2분이나 계시네
-
이번에 지거국(상위지거국x) 사범대 들어간 06년생입니다 딱히 선생이 꿈은 아니고...
-
저녁 먹고 오늘은 할일 별로 없으니까 빨리 끝내고 일찍 자야겠다라고 생각한 뒤로...
-
통화녹취는 뱃지 안해주시는것같더군요...
-
ㅈㄴ 두꺼운노트인데 수학에만 10권넘게씀
-
왈왈크르릉
-
(서울대 합격 / 합격자인증)(스누라이프) 서울대 25학번을 찾습니다. 0
안녕하세요. 서울대 커뮤니티 SNULife 오픈챗 준비팀입니다. 서울대 25학번...
-
요즘 인증안함? 2
노잼
-
1월 8일부터 31일까지인데 동사를 세지로 바꿨으니 결과적으로 수학만했네ㅋㅋㅋㅋ
-
본적이업음
-
이게 무슨 감정일까 영상 보고 애 키우는 느낌 남...
-
이제할거임
-
갑자기 궁금한데 메이저 의대가는게 어려울까요 인서울 로스쿨 들어가는게 어려울까요..?
-
나스닥 건강한 조정 ㄹㅇ굿.
-
ㅈㄱㄴ
-
한국에 1a형 초신성갈길게 딱기다려
-
5초만 자고 1
오르비해야지
-
수학이고 확통합니다 목표 낮1이긴 합니다.. 공통은 쉬사 정답률 50프로정도고 확통은 노베입니다
-
엑조디아 완성
-
열심히 노력해서 자리 잡고 경제생활 하고 있을 때 내 직업이 ai에게 위협당하지...
-
사문+한지하는데 한지는 정말 너무 안맞는거같아서..(지도,지형 이런거에 약함+무지성...
-
지구 더러워서 못하겠는데 생명 한지 or 생명 세지 머가 더 나음?
-
이이디어(실전개념)했구 기출 킬러까지 풀었고 뉴런 정답률 80퍼 시냅스는 거의...
-
현금관망충은 웃고있다
-
아 글쓰려했는데 8
까먹었네,,,,
-
4규 문해전 시즌 1 풀었는데 바로 들어가도 괜찮을 정도의 난이돈가요? 앞 두 권...
-
군입대 + 취준 + N수(선택) 까지 고려하면 개쌉에바아님?
-
저는 비슷비슷한거같은데 여러분은 어케느낌요
-
초등학교 3학년때 절 좋아한다고 엄청 따라다닌 남자애가 나오는 꿈이었는데 걔가...
-
현대소설이고 대충 겨드랑이 어쩌고
-
안할 이유가 있나..? 미확 표점 걱정은 공통까지 다맞는 확통 만점권들이 할...
-
아기 1
아기
-
사탐런 ㅜㅜ 2
25 수능 화 미 사문 지1 86 90 92 80 (백분위) 재수로 연고공 이상...
-
선생님??
그건 아마 개념이 부족해서 그럴겁니다.
인강에서 개념강의 같은데서 하는 그런 개념 말고 문제를 풀면서 터득할 수 있는 실전개념 말입니다.
이걸 구체화해서 강의를 찍는다면 아마 따로 강의를 찍어서 팔겠죠. 애초에 교과서에 적힌 내용으로는 알 수가 없는 거니까요. 어느 교과서에서 w = Mn을 가르치고, PV=nRT를 가르치겠나요?
그리고 대체 어느 교과서에서 문제에 17의 배수가 나왔을 때는 NH3인지 의심해보라고 하나요?
이런건 교과서로 얻는게 아니라 제일 좋은 방법은 직접 문제를 많이 풀어보는 거지만, 시간이 없거나 죽어도 이해를 하지 않겠다하는 마음가짐이 있다면, 아까 위에서 말한 이러한 실전개념을 따로 정리한 인강같은 걸 들어야겠죠. 전 인강 안 듣고 공부해서 딱히 추천은 못 해드리지만, 제가 작성자 분이 써주신 글만 읽고 판단했을 때는 지금까지 교과서 개념을 쌓아온게 확실하다면,
예를 들어서 남들에게 가르칠 수 있는 정도가 되었거나, 책을 보지 않고 개념 단권화를 할 수 있을 정도라면, 문제를 풀면서 아직 못 배운 실전적인 개념에 대해 직접 터득하는 수 밖에 없을 듯 합니다.
아 .. 답변 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
실례지만 하나만 더 여쭐게 있는데,
우선 화1 개념은 다 똑같을 테고..
님께서도 개념을 처음 훑고 문제풀이에서는 저와 같이
개념을 알고도 못푸는 경우가 많았었나요 .. ?
전 이게 보편적인건지 저만 그런건지 궁금하거든요 ..
(제가 남들과 비교를 많이 하는 성격인지라 .. )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