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y 서성한 중경외시 차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0994633
예를들어 경희대에서 연세대로 한번더 도전 과가동일하거나 안좋은과로 바뀐다고칠때 의미있는 도전일까요? 사실 세상사람들입장에서는 다 비슷해보일텐데요 계약학과로 간다해도 어짜피 이정도되면 대기업 잘 들어갈거같은데 돈들여가지고 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나를 표현하는 수단 아니면 취업에서 조금 유리한 위치 이런거같은데 무언가 제가 알지 못하는 이득이 있을까요? 저도 한번더할지말지 고민이라서 이런 질문을 하게 되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경희에서 연세면 크지 않나요?..
물론 저도 오르비 보다보니까 이렇게 된 것 같기도..
어떻게 경희랑 연세랑 비슷하죠
입시판에서는 다른데 경희대는 스카이는아니지만 명문으로 치고있구요
제가 컴공 지망이라 컴공 기준 한급간 재수는 굳이 싶긴함 두급간은 1년더해서 된다는 보장 이 있으면 할것 같아여
1년 투자하고 중경외시->서성한이면 의견이 꽤 갈릴거같은데
중경외시->연고대면 거의 대부분은 연고대 선택할듯
대기업다니시는 분이 딱 서성한까지라고..
문이과 다른듯
문과 경희대- 한양대 굳이..? 문과 연고랑 서성한이랑 차이가 많이남 로스쿨이나 고시 등등
이과 경희대-한양대 차이 ㅈㄴ큼 충분히 가치있음
채용설명회나 대기업 계약학과 딱 한성서까지임
문과 - 솔직히 sky/비sky 차이 큼 비sky에서 sky는 충분히 가치 있는데 비sky내에서 한급간 올리는 거는 딱히 메리트 없을 지도?
이과 - 마지노선 서성한 서성한까지 대기업 설명회 잡히고 취업 100% 계약학과같은 특수 과들도 서성한까지만 있음 이과면 무조건 서성한 이상으로 가는 거 추천 그 미만은 솔직히 경쟁력 딸림
이게 현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