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1월부터 시작할 수 있는 "전과목 공부법(feat. 한의대생)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0986923
안녕하세요, [휘랩연구소] 박재휘 & 김강민T입니다.
지금쯤이면 대부분의 고등학교들은 방학 중일 겁니다.
방학을 어떻게 보내는지에 따라서 다른 사람보다 앞서나갈 수도 있고,
뒤처질 수도 있습니다.
방학이라는 시간은 학기 중보다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이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에
오히려 학기 중보다도 더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칼럼에서는 방학 때 해두면 좋을 것들에 대해 써보고자 합니다.
1. 규칙적인 생활하기
방학은 학기 중에 비해 본인만의 시간이 필연적으로 더 많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기에 너무나도 위험합니다.
오로지 공부에 전념하고 싶다면 본인에게 예외를 두지 말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6시에 기상, 7시 30분까지 독서실 도착, 10시까지 국어 공부 ……
이러한 식으로 철저한 계획 속에서 방학 생활을 해나가야 나태해지거나 안일해지는 불상사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저는 고2에서 고3 올라가는 겨울방학 기준, 대체로 다음과 같은 일정대로 생활했습니다.
∙06:30 : 기상
∙07:30 ~ 09:30(국어) : 국어 비문학 기출 3지문 이상, 문학 기출 2지문 이상 공부하기, 가끔 문법 공부
∙09:30 ~ 12:00(수학) : 수학 인강 듣기
∙12:00 ~ 12:40 : 점심 시간
∙13:00 ~ 14:00(영어) : 단어 공부 및 지문 10개 보기
∙14:00 ~ 17:00(수학) : 오전에 들었던 인강 복습, 기출 분석
∙17:00 ~ 17:40 : 저녁 시간
∙17:40 ~ 19:30(수학) : 기출 분석 및 문제 풀기
∙19:30 ~ 22:30(과탐) : 수능 대비를 위한 과탐 인강 듣기 및 복습
∙23:30 : 취침
놀 수 있는 시간은 수능 이후에 충분히 많습니다.
2. 수학 선행
논란이 될 수도 있는 수학 선행...
본인의 역량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참 애매한 부분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행은 어느정도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단, 현행에 대한 깊은 이해가 전제가 되어야 합니다.
수학이란 과목 자체가 논리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이전 과정을 바탕으로 설명하는 내용이 많습니다.
무턱대고 하는 선행 학습은 피상적으로는 빨라 보이나, 결국에는 다른 사람보다 느려질 수 있습니다.
이전 내용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를 한 후에 선행 학습을 통해 한 바퀴 돌려놓으면
해당 개념을 어느 정도 잊게 되더라도
다시 그 궤도에 오르는 데 걸리는 시간이 아예 하지 않은 사람보다 훨씬 짧게 걸립니다.
특히, 과탐을 선택한 고3들은 과탐에 많은 양의 시간을 써야 하기 때문에
선행 학습이 되어 있지 않다면 나중에 힘들 수 있습니다.
여러 매체 및 사람들과 접하면서 제가 추천하는 수학 선행 학습 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확통 선택자의 경우
확통 수업이 2학년 때 있다면 수1, 수2는 물론이요,
확통도 어려운 3점, 쉬운 4점 문제는 자연스럽게 풀 수 있도록 공부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확통 수업이 3학년 때 있다면 확통 선행 학습이 필수적이지는 않습니다.
다만 수1, 수2는 바로 시험칠 내용일뿐더러, 수능에서 22개의 문제가 출제되므로 필수적으로 하셔야 합니다.
(2) 미, 기 선택자의 경우
미, 기 수업이 2학년, 3학년 때 있는지 관계없이 선행 학습을 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3. 수학 기출
고3 기준, 이쯤되면 현강이든, 인강이든 커리큘럼이 나왔을 겁니다.
이 시기면 기출에 관한 커리큘럼이 시작될 때죠.
괜히 1~2월에 기출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기출 분석이 굉장히 중요한데, 이것을 하기에 방학이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또한, n제 및 수능은 기출에서 사용된 원리에 따라 새롭게 문제들이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으니
본인이 다니는 학원, 혹은 인강 강사의 커리를 따라 기출을 꼼꼼히 분석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분석법은 나중에 칼럼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4. 과학탐구
곧 고2가 되실 분들은 고2 내신 시험에 과탐이 포함되어 대부분 3과목 이상 시험을 치게 될 겁니다.
고2가 되면 고1에 비해 시험치는 과목들이 더 많아집니다.
그래서 학기 중에 과탐을 시작하기에는 나중에 내신 때 시간이 부족해 킬러 문제들을 대비하지 못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방학 때 미리 공부해두는 것을 추천합니다.
저는 고2 1학기에 물리학1, 고2 2학기에 화학1, 생명과학1 시험이 있었기 때문에
해당 학기 직전 방학에 위의 과목들을 공부했습니다.
개념 공부는 인강을 활용했습니다.
5. 국어, 영어
이 과목들을 엮어서 설명하는 이유는 감각이 중요한 과목들이기 때문입니다.
하루라도 쉬면 이상하게 지문이 잘 읽히지 않는 느낌이 드는 요상한(?) 과목들이죠.
또, 국어는 가장 먼저 치는 시험이고,
영어는 밥 먹은 후 가장 피곤할 때 치는 시험이기 때문에 공부하는 시간대도 매우 중요합니다.
국어는 아침에 최소 비문학 3지문 이상,
영어는 점심 먹고 난 후에 10지문 이상은 매일 보도록 합시다. 반드시 하도록 합시다!
국어 문법 개념은 인강을 통해서 공부했고,
영어는 20 ~ 24번 중 2문제, 어법 1문제, 어휘 1문제, 빈칸 2문제, 순서 1문제,
삽입 2문제, 장문 독해 1지문 이렇게 공부했습니다.
우리에게는 ‘관성’이란 것이 존재합니다.
여기서 얘기하는 관성은 물리학적 개념의 관성이 아닙니다.
습관에 있어서의 관성입니다.
방학을 성실하게 보내지 못하면 결국에는 학기 중에도 이 흐름이 이어져 좋지 않은 결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방학을 알차게 보내면 그대로 탄력을 받아 쭉쭉 뻗어나갈 수 있습니다.
제가 괜히 ‘규칙적인 생활하기’를 가장 먼저 설명한 것이 아닙니다.
<휘랩연구소 휘라노의 이전 칼럼 보고 1월 1일부터 점수 5점 확 올리기>
1. 졸음 쫓는 법 총정리 https://orbi.kr/00058527928
2. "실수"를 줄이는 초고속 실천 방법 https://orbi.kr/00058435969
0 XDK (+10)
-
10
-
확통 29 0
형들 아직 확통 감잡는중인데 내 풀이한번만봐줘 3528나옴 ㅋㅋㅋㅋㅋ
-
공부잘하고싶움 6
하방이 96이면 조켓다
-
잔다 4
다들 잘자라 새르비가 ㄹㅇ 평화롭고 좋은듯
-
얘는 수학 실모를 1시간컷함 수능은 당연히 100..
-
완전 꿀잠임, 피로 회복 레전드
-
살면서 모고 본 적 없엇고 중학교 때 내신 할 때는 서술형도 컴싸로 적어서...
-
나만 모름 2
고1 3모 를 안쳐서 그때 국어 문제 뭐 나왔는지도 몰라 ㅋㅋㅋㅋ
-
드릴 가격 반토막내게
-
바나나 관세 그거였나요 예비 매3 풀면서 에???했던 지문인데
-
수능에도 나온 적 있는 암흑의 핵심
-
맛보기로 ㅇㅇ
-
아니뭔가 8월에 9평본 기억이 잇는데
-
모의고사를 치는 이유 <- 돌발상황 대비도 있을 듯 1
지금 셤지 찾아봐야해서 인증샷 올리기는 귀찮+무리인데 고2 6모였나 9모가...
-
06이면 공감할거다 13
1학년때 처음본 3월 모의고사의 국어의 악몽을...!!
-
성대 친구들아 우리의 힘을 보여주자
-
4모 어땟음 7
8모 어떗음
-
초딩용임에도 불구하고 고등 개념까지 대부분의 교과내용이 포함되어 있음ㅇㅇ
-
재밋을거 같음..
-
수능이었으면 2
5모 84론 2등급이죠?
-
과탐 가산 6
목표하는 대학이 과탐 가산이 10퍼인데요 표점에 10퍼 가산을 주는건데 많이 큰건가요?
-
수학 교육청 커로 받아보긴했네 댓글로 적은 것은 그 고3 교육청 기준이었어요 수학...
-
고3 1모 성적 3
0점
-
왜 서울은 6모 안봄
-
고1 3모 메타 2
내가 만들었다
-
5월 학평 수고하셨습니다(교육청 시험과 수능 경향성) 0
현역분들 모두 5월 모의고사 보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이전에는 학평에 이렇게 많은...
-
공부하는 모습이 귀여움 내신은 잘하고 모의고사는 좀 많이 아쉬운 친구인데 내일 문학...
-
고3인 지금 미적 2등급.. 나름 만족해
-
고1 3모 3
이건 학교에서 안쳣고 고1 6모 국어 3 수학 2 영어 1
-
고2 교육청 기준 얼마나 어려워지나요
-
고1 3모 2
백분위100 3등급 1 2 2
-
오르비 밈으로 만들고 싶은데 가능할까요 . . .
-
홀리댐
-
그럼 이해가 가는 수업을 하던가!!!!!
-
메가 영어 순삽 0
어느분이 goat이신가요
-
과제가 싯빨 2
에바잔아
-
귀여운 사람들만 모였나
-
주먹밥 하나 먹고 자야지
-
학교에서도 오르비하고 싶음 근데 티날까봐 그냥 옯스타만 하고 다님 그래도 특정 당하더...
-
고1 3모때 21
국어 96점맞고 진심 국어 개잘하는줄 알았다....
-
재밋는게 없음 오르비가 더 재밋음
-
아이고 심심하구나
-
[속보] 국힘 "김문수 후보 선출 취소·한덕수 입당 및 후보 등록 진행" 13
국힘 "김문수 후보 선출 취소·한덕수 입당 및 후보 등록 진행" (SBS 디지털뉴스편집부)
-
허 ㅣㅏㅋ러ㅏ힝ㄴ;ㅋ
-
인방도 음지취급임? 11
트위치같은데에서 방송하는 사람들 우정잉 장지수 유후 뽀구미 이런 사람들은 좀 봤는데 (유튜브로)
-
쉬운 편인가요? 그 보기문제 빼구용 22수능이요
-
요좀 난이도 있는걸로 추천 부탁드려요 과목은 수1 수2 미적이요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