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립대 vs 경희대 국제캠" 선택 가이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0929929
이제 정시 원서 접수 마감이 몇일 안 남은 시점에서
아직도 서울시립대와 경희대 국제캠을 두고
고민하는 예비 새내기들이 많을 것이라 예상된다.
아주 간단하게 말하면
"시립대가 경희대보다 입결이 더 높고
서울에 있어서 시립대를 가고 싶다!"
"시립대의 입결이 경희대보다 높은 건
어른들이 잘 모르는 것 같고
시립대의 학교 네임벨류나 이미지가
경희대에 비해 딸리는 것 같고
뭔가 경희대가 더 간지나는 것 같아서 경희를 가고 싶다!"
아마 이 두 생각이 마음 속에서 싸우고 있을 것이다.
이 고민에 대해서 누구보다 잘 알고 있고
두 학교 각각의 장단점을 매우 잘 알고 있어서
고민의 포인트에 대해서 정리해보고
선택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1. 나는 경희대의 수원라이프에 대해
불만없이 학교를 다닐 수 있겠는가?
우리나라에서는 서울에 학교가 있다는 것의 의미가
매우 크다는 것은 모두가 잘 알고 있을 듯하다.
학교가 서울에 있다면 대한민국 대입에서
매우 핵심 단어인 '인서울'이라는 단어를 충족할 수 있다.
또한 학교가 서울에 있다면 우리의 환상 속에 있는
대학생활을 즐기기에 더욱 좋은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정확히 말해줄 수 있다.
서울시립대와 경희대 국제캠의 학교 주변은
정말 비슷하게도 뭐가 없다.
술집은 다 있지만 정말 우중충한 술집들만 있다.
시립대 후문에서 가까운 회기역 주변은
경희대 서울캠퍼스, 한국외대, 서울시립대
세 학교가 모여 있기에
상권이 그나마 활성화되어 있지만
우리들이 상상하는 신촌, 홍대, 건대같은 느낌은 아니다.
그렇기에 학교 끝나고 놀려면
서울의 번화가로 나가야 하는 것은 두 학교 모두 똑같다.
단 차이는 시립대 청량리역, 회기역에서 건대입구역까지
지하철로 15분,
경희대 국제캠 영통역에서 건대입구역까지
지하철로 1시간이 걸린다는 차이일 뿐.
접근성 차이는 확실히 존재한다.
본인이 남자이기에 남자 입장에서 한번 상상해보자.
학교 입학해서 3월이면 미팅이 엄청나게 들어오는데
상대 학교가 신촌 번화가에 있는 이화여대라고 해보자.
미팅 톡방에서 미팅 약속장소를 잡는데
이대 애들 보고 "수원 영통역 □□술집에서 봐요~^^"
라고 할 것인가?ㅋㅋ
fucking!!!
모두들 이건 좀 아닌 것같은 느낌이 들었을 것이다.
다음으로 대학 축제를 하는 상황을 상상해보자.
보통 대학 축제는 본인 대학 외에도
서울의 많은 학교들을 가서 놀게 된다.
보통 공강이 아닌 이상 수업 끝나고 저녁쯤에
다른 학교에 놀러가게 되는데
수원에서는 서울까지 접근성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물론 의지만 있다면 못 갈 거리는 절대 아니다.
2. 나는 서울시립대의 낮은 인지도를 참을 수 있겠는가?
대한민국에서 "서연고 서성한 중경외시"라는 단어를
과연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 싶다.
또한 입시에 대해 잘 모르는사람조차
각 대학교의 앞 글자만 보고도
대학의 풀네임을 대부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BUT 시립대는 제외.
"아 '경'은 경희대고, '시'는 뭐였지..? "
라고 하는 사람들도 있다.
서울시립대는 기업이 아닌 시에서
운영하는 학교여서 그런지
학교 이미지 메이킹이나 홍보에는 전혀 관심이 없어보인다.
실제로 사람들에게 현재 경희대는 뭔가 굉장히 고급지고
세련된 이미지가 있다.
반면에 시립대에게는 그런 느낌이 전혀 없다.
심지어 우스갯소리로 "집안이 어렵지만
공부 열심히 한 친구들"이라는 말까지 있다.
서울시립대 영어로 뭐라고 부르는지 아는 사람 있나?
서울대 Seoul National University
연세대 Yonsei University
한양대 Hanyang University
경희대 Kyunghee University
건국대 Konkuk University
이렇게 유명 대학들의 영어 이름은 대부분 알고 있다.
그래서 과잠 등뒤에 영문으로 학교 이름이 써있어도
그 학교가 어딘지 모두들 알지만...
University of Seoul 여긴 어디인가?
서울의 대학?
뭐 인서울 대학이라는 뜻인가?
아 서울대구나!!
이것이 서울시립대다...
설날에 친척집에 가서 일어난 일이다.
"우리 길동이 이번에 대학 붙었다며! 축하해ㅎㅎ"
"네! 이번에 시립대랑 경희대 붙었는데 시립대 가려구요!"
"응? 시립대를 간다고? 경희대가 아니라?"
이게 어른들의 인식이다.
3. 나는 경희대 국제캠을 분교로 인식하는
기성세대들에 스트레스 받지 않을 수 있는가?
이 부분은 국제캠에 다니는 경희대생들이
굉장히 불편해 하는 주제라는 것을 알고있다.
물론 우리세대에서는 수원에 있는 경희대가
이원화캠퍼스라는 것은 많이들 알고 있는 사실이다.
하지만 경희대 국제캠이 이원화캠퍼스였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들이 꽤 있다는 것도 사실이다.
누군가가 경희대 국제캠은 분교다라는 투의 발언했다면
국제캠 에타에서는 그 발언자를
거의 죽이려 드는 분위기라고 하던데
그만큼 그 부분에 대해서
스트레스 받는 학우들이 많다는 뜻이겠다.
4. 사회 나가서 서울시립대 동문 만나는 것은
멸종위기종을 만나는 것과 같다. 괜찮나?
시립대의 대학입학 모집인원은 타 대학에 비해 매우 적다.
사회 나가서 동문 만나는 것이 중요한 것인지는
본인이 사회 생활을 안 해봐서 모르겠다.
하지만 자주 만나는 것이 만나기 힘든 것보다는 낫겠지.
실제로 본인은 군대에서
서연고서성한중경외시건동홍 중에서
신기하게도 시립대만 빼고 다 만나봤다.
두 학교 모두 비슷한 레벨의 대학이고
각 대학마다 장단점들이 있다.
본인이 대학생활에서 무엇을 더 중요시하는지에 따라
대학을 결정하면 되겠다.
수능의 마지막 원서영역까지 화이팅!!!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나는 생각이 확고했는데도 한참 고민했음 막상 합격증 나오면 고민을 안할수가 없음...
-
영어 92점인데 전교116등인가 그랬음
-
건강 챙깁시다 ❤️
-
이문제도… 0
풀이라 매끄럽게 연결되질 못함.. 등가속도쪽이 부족해서그런가.. 수학은 차근차근...
-
사문정법 ㄹㅇ 든든함 정법은 고이면 할만해짐
-
내 직업 0
남레인저
-
왜또 저격마렵냐 3
WWE lets go
-
비틱안하겠습니다 0
지구 복영좀 보고 돌아올게용 12시에봐용
-
먹어도 먹어도 계속 배고파
-
입결이 게임 업적마냥 남는것도 아니고
-
그래서 걍 입결대로 가지않나
-
안에 들어가는 그림은 도대체 어떻게 만드는 건가요
-
내적과 덧셈정리 쓰는 사람은 혼종임? 아 저걸 쓰는 사람이 확통러여야 진정한 혼종이겠구나
-
작년 불찍파
-
변하는거 딱히 없음 걍 쓰게 어무니가 예전버전으로 주문하셔서
-
대다수 수험생들은 입결순이 연봉, 행복순인줄 알음 12
내부 상황 아는 몇몇 의대생들께서 말씀해주셔도 약코 취급하고, 들으려 하질 않음.
-
원래 강기원 친분있는 네임드 n제 지은이 였는데 데뷔도 시대 재종 선특 ㄷ ㄷ 존나...
-
푸앙단 집합. 7
ㄱ.
-
영어듣기 거의 못듣는데요. 어디서부터 시작해야하나요? 메가스터디 라라 듣고있는데요....
-
수1 수2 투표) 16
-
ㅈㄱㄴ
-
오직 필기용 다른건 전혀 상관없
-
키스할사람 0
지금 립밤발라서 입술 맛있음
-
미연시 2
미사일 연속발사 시뮬레이션
-
에잉
-
그냥안적기로
-
국정원 독서 풀고있는데 괜찮길래 문학도 고민중임 둘다 평이 그리 좋진 않던데 인강은 나랑 안맞는듯
-
4년전 고딩때 10시는 초저녁 같은 느낌이었는데 이제는 죽겠다 ㅎ.
-
작수 미적 백분위 89로 2컷이었고 수능본 이후로 수학공부 하나도 안했는데 뉴런이랑...
-
벽 느껴지는 문제는 오랜만이네
-
시간 없어서 못 깎았더니 ㅈㄴ 붕 뜨네
-
찜질방 5
보통 가면 몇분있어용? 온도 몇도정도 되나 더운편?
-
이미지에 따라서 51
옯만추 가능/불가능이 나뉨ㅋㅋ
-
ㅇㅈ 4
이따 12시에 보고 함
-
나 우사인볼트임 0
세정 우전관 -> 한티역 선릉행 플랫폼 3분 주차함 ㅇㅇ 유대종 21시 57분 끝...
-
진짜 목적이 뭐임
-
ㅇㅈ안해야지 ㅎㅎ
-
수1은 지로함/삼각함수/수열 세 단원 간 연계성이 거의 없는데 수2는...
-
근데 아픈 애 같아서 아무말도 못함..
-
생윤이 작년난이도로 나왔을때 만점을 반을수 있을지 고민입니다. 작년 2틀이긴한데...
-
??
-
ㅇㅇ?
-
ㅇㅈ 12
어제 본 분들은 모른 척 해주세요
-
아 인증 마렵네 14
하지만 안할거다
-
아니 2
-
아니 인증이고 자시고 보통 이러면 개발팀에서 글 쓰는데 1
무슨무슨 이유로 서버가 불안정하니 곧 조치하겠습니다 이런 느낌으로다가 아니...
-
https://youtu.be/gmnztLpdtGM?feature=shared...
-
나만 또 진찌였지
반수를 하자..!
이거 보고 시립대 가기로 했다 ...
포항에도 사람이 사는데..
거기는 포항 갈 정도로 너무 명문이잖아;;
황밸이네...
서울대를 가자!
군대에 저렇게 학력 높은 사람이 몰려있을 수있음?
공군 카투사면 ㄱㄴ
오
공군은 의외로 고학력자 많아요
굿
진짜 딱 정확한분석이네요ㅋㅋㅋㅋㅋ
경국은 경기남부(분당, 수원, 수지, 광교, 동탄 등등)쪽 학생들 선호도가 강하고 시립은 서울지역 학생들이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죠. 다니기 편한곳에서 선호도가 높은것같아요
아예 지방이라면 어차피 둘다 기숙해야되니까 시립선호가 더 높은것같고요
선호도는 많이 차이나긴하죠 ㅎ.ㅎ
3번이 결정적임..이미 사회진출한 과장급 이상들은 (문과기준) 결코 인서울급 입결이 아니였음..국제학과 거긴 영어성적100%전형이었고
경희대에서 동일 계열로 시립대 이직온 교수님들 2분 보면 위치 차이로 명확히 나뉘는듯 합니다
-
블루라인 한양대로 오세요ㅇㅇ

캬그냥 한 번 더 보는걸로 ..
요즘 중견기업 이상 가면 발에 걸리는게 경희대 공대 출신입니다.옆에 삼성전자만 가도 경희대 출신 정말 많구요.요즘 경희대 공대정도면 회사에서도 인식 좋아요.서울 남부지역에 살면 시립대보다 경희대 가는게 더 편함.경희대 학생수가 많아서이겠지만 오히려 아웃풋은 더 좋게 느껴짐
사회 나오시면...서성한 외에는 특수성이 있는 이대 정도 빼고는 그닥 아웃풋이라 할게 없습니다. 어딜 나오셔도 상관없으심...
이대..?
이대라는 프리미엄이 존재해요...사회에 나오시면 알게 됩니다...ㅋ
그 시절 어른들한테는 이대 인식이 좋기야 하겠지만 프리미엄까지는..?
이대?
오르비에 유독 이대혐이 많은듯여...
헌데,,,오르비는 엄청 작고...세상은 엄청 넓습니다.
넓은 세상에서 이대는 항상 이대입니다.
아웃풋 이라는게 수십년 동안 다져진게 되서 절대 바뀌지 않아요...
혹시 바뀐 학교 본 적 있으신가요?
이대 좋죠.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우리나라 최고 여대이죠.
그리고 말씀하신 '오르비에 유독 이대혐이 많다'고 하신 부분에 대해서 제 의견을 말씀드리자면, 오르비에 유독 많은 것보다는 젊은 세대들이 전반적으로 이대에 대해 좋게 평가하고 있지 않은 것이 드러난 것이라고 생각해요. 오르비는 어떠한 특정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모이는 집단이 아니고 입시에 관심있는 젊은이들이라면 자연스럽게 모이게 되는 집단이기 때문에 젊은이들의 여론이 자연스럽게 반영되기 마련이죠. 그렇게 때문에 님께서 느끼신 오르비가 가진 이대 여론은 지금 세대들이 가진 여론이라고 봐요.
그리고 '아웃풋이라는 게 수십년 동안 다져진 게 돼서 절대 바뀌지 않는다'고 하신 부분에 대해서 또한 생각해보겠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아웃풋'이 아니라 '이미지'겠죠. 아웃풋은 학생들의 수준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해마다도 바뀌죠. 해마다 입학한 학생들의 수준이 다르기 때문이죠. 이미지는 말 그대로 사람들이 머릿속에 가진 생각이어서 쉽게 바뀌지는 않죠. 하지만 절대라고는 말할 수 없죠.
지금 기성세대들이 물러나시고 현재 이대에 대해 부정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우리 세대가 세월이 흘러 기성세대가 되고 사회에서 요직에 배치되는 날이 온다면 사회 전반에서 느끼는 이대에 대한 이미지와 아웃풋은 지금과는 많이 바뀌겠죠. 그러므로 절대 바뀌지 않다고 할 수 없겠죠.
오해하실까봐 강조하자면 이대를 비판하는 것이 아닙니다. 님께서 쓰신 댓글에서 저와 생각이 다른 부분이 있는 것 같아서 제 생각을 말씀드린 것입니다.
님의 말씀대로 아웃풋이 실력에 입각한 결과물이란 말씀에 백번 동의합니다.
인터넷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매년 입결자료를 함 보시면 문.이과 모두 항상 이대가 중경외시 위에 있습니다...물론 2022년도 마찮가지구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르비에서는 이대를 일부러 건동홍과 빗대며 폄하하려는 분들도 많고...좋은 학교지...여대중에선...이런 얘기들...
즉, 이렇게 팩트를 기반하지 않은 뇌피셜 주장들이 이미지가 되는거겠죠...
팩트를 기반으로 한다면...이대의 문제점을 얘기 할 순 있어도 수준 얘기를 할 순 없잖아요...
마지막 줄에 이해 못하셨다는...바뀐 학교는...오랜세월 다져진 대학 아웃풋(선호도...레벨?)...즉, 서연고 서성한...이런것들을 말씀드린거구요...이런건 거의 안바뀐다는 얘기였습니다.
바뀐다해도...서성한에서 성한서...이런식으로 군내 이동정도지...군 자체가 바뀔 일이 없다는 거죠.
오르비는 거의 수험생 또는 수험생 관련된 분들이 이용하는 커뮤입니다.
아직 수험생이 안된 분들...수험생이 지난 분들 조차도 거의 오르비에 들어오지 않습니다.
수험생 중 오르비를 모르는 분들도 태반이구요...
그렇다면 오르비에서 글쓰고 댓다는 분들이 얼마나 될까요?
아마 일일 100명도 안될겁니다...
또한 이런 특수목적 커뮤 같은 경우 그사람이 그사람일 테구요...
과연 이 몇몇 분들이 전체여론을 대신 할 수 있다고 보시나요?
님 말씀대로 이대 이미지가 않좋다면 어떻게 항상...매년...단 한 번도 빠짐없이 빵구 한 번 안나고...입결에서 중경외시를 압도 할 수 있을까요?
그 학교의 않좋은 부분은 주관적 판단으로 얘기 할 수 있지만...수준을 얘기 할땐...팩트를 기반으로 해야 납득 할 수 있습니다.
이게 제 생각입니다.
사실 이대에 대해 눈쌀이 찌뿌려지게 하는 부분도 이 부분입니다. 실제 학교 수준에 비해 본인들의 프라이드와 결집력이 너무도 강하다는 것입니다. 솔직히 말하면 과거 선배들이 만들어놓은 입결에 빠져나오지 못 해서 본인들이 입학할 때의 성적마저 올려치기를 하는 행태들이 많습니다. 이대생들만 '서성한이'라고 표현한다던지 '중경외시'랑 비교하면 기분 나빠한다던지 '건동홍'을 끌어들이면 발작을 한다던지...어떤 입결표를 보셨길래 중경외시를 압도한다는 표현을 쓰시는지 모르겠습니다. 학교를 먼저 공격하는 일은 없지만 사실과 다르게 입결을 호도하려는 행동을 보인다면 어딜 가나 사람들이 이렇게 반박하겠죠. 더구나 입시 사이트에서는 더욱이요.
시대인재에서 발표한 2022 자연계 입결표입니다. 경희대 국제캠과 건국대 사이네요.
고속 입결표입니다. 건국대와 홍익대 사이네요.
그리고 마지막 줄에 바뀐 학교라는 게 어떤 걸 의미하시는지 이해 못 했어요..
가장 정확한건 대학어디가 입니다...
거기 들가셔서 이대, 중대, 경희...비교 검색해보세요.
잘 나와 있습니다.
그리고...여기도 함 보세요...잘 나와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OAZ-xE3Rda0&t=292s&ab_channel=%EC%86%94%EB%A3%A8%EC%85%98%EC%97%B0%EA%B5%AC%EC%86%8C
더 정확한건 시대임
시대도 대학어디가에서 자료 끌고와서 가공한거임...그래서 주관적 자료라는...
가공 안하고 각 대학에서 발표한 날것 그대로 보여주는 곳은 대학어디가 뿐 임...
중시경건이가 팩트임 솔직히 ㅋㅋ
팩트랍시고 희망회로 돌리는건 자유인데...건은 빼야지...
저렇게 하면 중시경도 어이없슴...ㅋㅋ
팩트맞고 희망회로도 아님 ㅋ
중경외시...이게 팩트...
중시경건 이게 팩트임
종합중경외시 공대면 중경시
건은 왜 꾸겨넣음
그리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가군 경희대 전자공 예비 기다리는 학생입니다.
다들 나군 시립대로 빠지게 이 글 내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