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wxud [530333] · MS 2014 · 쪽지

2015-06-05 20:41:51
조회수 449

6평 문과 21번에서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092445

(나) 조건은 어떻게 활용하는건가요?? 아무리생각해봐도모르겠는데..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코앞에수능 · 558882 · 15/06/05 20:43 · MS 2015

    나 조건으로 인해 n을 근으로 두개 가진다는걸 알 수 있습니당

  • 흐규흐고 · 575298 · 15/06/05 20:46 · MS 2015

    가 에서 f (n) 이 0 이니
    fx는 (x-n) 을 가져야하는데

    나에서 항상 증가니깐
    (x+n)fx 가 2차함수 모양이거나 ( 중근1개 ex 1,1,1,1)
    W 모양 ( 중근 두개 ex) 1 ,1 ,2 ,2)
    이 나와야하죠!

    근데 (x-n)이 이미 있기때문에
    2차함수모양은 안되니
    W모양!

    따라서 근이 n n -n -n 이에요

  • owxud · 530333 · 15/06/05 20:47 · MS 2014

    감사합니다!! 그리고 이게 무슨 개념인지 알수있을까요?? 미적분 어느파트에서 나오는부분인지

  • 흐규흐고 · 575298 · 15/06/05 20:49 · MS 2015

    그건 잘..
    고1내용인가..? 함수 그래프모양이니깐. ?

  • 얼라이프 · 503582 · 15/06/05 20:49 · MS 2014

    일단 가 조건에서 삼차함수의 극소값이 x=n에 접하는걸 알았다면 (x-n)^2(x-a)로 식을 가정한뒤 이 식을 나 조건에 대입합니다. 그렇게되면 나 에서의 식이 사차함수인데 0보다 크거나 같기 때문에 근들이 모두 0에 접하거나 그 이상이어야 합니다. 대입해보면 (x-n)^2(x+n)(x-a)가 0 이상이므로 이미 x=n에서 접하기 때문에 나머지 근인 -n이나 a에서도 접해주어야 되겠죠, 하지만 x=n을 제외한 서로 다른 근이 2개가 나와버리면 필연적으로 함수값이 0 미만이 되어버리므로 마찬가지로 n을 제외한 나머지 근들이 서로 같은 값이어야 합니다. 결국 (x-n)^2(x+n)^2이 나와야 하는 겁니다.

  • owxud · 530333 · 15/06/05 21:13 · MS 2014

    감사합니다!!! 드디어풀렸네용ㅠ

  • 쿠항 · 569378 · 15/06/06 22:52 · MS 2015

    저도 4차 함수 생각해서 풀었는데 샤워하다 생각났는데 x가 -n을 경계로 양수 음수 생각해서 바로 3차함수로 가도 풀리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