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직히 17학년도 서강대정시폐지를 욕할순 없다보는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063330
물론 이게 아직 확정은 아니겠죠. 아직 1년밙이상 남은 일이니까요. 수능이 너무 가면갈수록 말도안되게 쉽게 나와버리고 있단점이죠ㅜㅜ 작년에는 제가 치진않았고 제 동생이 쳤어서 나름 관심갖고 지켜봤는데(물론 제동생은 공부를 잘하지도 않았고 그다지 욕심이 크지도 않았지만) 아주 물수능의 정점을 찍었다는걸 들었습니다. 아마 그리고 교육부쪽에서 사교육 절감효과를 보았기에 더 어렵게 낼리는 없을듯 합니다. 또 18입시? 부터는 영어도 절평으로 돌린다죠. 이런 상황에서 더이상 수능이라는 입시제도를 믿기는 힘들죠. 수능이 변별력이 있었던 이전 입시에서는 정시학생들이 수시학생들보다 훨씬 우수한 경향이 있었다면 이제 변별력마저 상실하면서 그런 경향도 사라져 가는 추세이기도 하다보니 좀 과격하다 싶을수 있지만 이런 과감한 판단을 내린게 아닌가해요. 하지만 결국 장기적으로 봤을때 정시를 뽑으려면 아예 변별력을 갖춘 시험으로 가든지, 그게 아니라면 정시를 없애는 쪽이 맞다고 생각은 합니다. 또아마 저것도 시행착오를 겪을 확률이 상당히 높지만 결국 많은 대학들이 큰틀에서 따라갈 확률도 높다생각하구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그래서 사실 무료배포 하시는 분들 그걸 학원이나 선생님들한테 갖다 팔면 꽤 버실텐데...
-
가채점표 작성할 때 젤 불안한 게 국어임... 항상 omr 다 쓰면 5초 정도...
-
영어 수학은 있는데 반영비 어느정도인가여
-
난 1, 2, 3페이지에서 14, 15분은 써야 의문사가 없던데,, 궁금함ㅁ
-
A B C 순서대로 읽으면서 푸나요 아니면 한두문장 읽고 다음인 거 같은 순서로 푸나용…
-
이건 문제 만든 사람도 스스로 감탄했을거 같은데 수능 문제 출제 검토 할때도 다들...
-
싹 다 찍고 경한가게
-
수능이 117일 남았다 1분 1초가 아까운, 급한 시기임을 안다 그런데 불안하다...
-
오늘한 것 1
없으니까 돌아가라
-
고2입니다
-
자야겠다 7
진짜 정신상태 위기다 브레인포그 미쳣어
-
다들 잘자용! 8
-
푸는 사람은 공부가 되고 제작자분들은 동기부여되고 럭키비키잖아☆
-
영어는 89점 ^_^ 수능 생각 너무 많이 남 스나 성공한 거 아니었으면 고민도 없이 반수 했을 듯
-
7덮국 0
공 66 7 신도 인간 외부에 있는데 왜 3했지? 12 그냥 순수도였구나! 17 걍...
-
선택과목: 미적분 점수: 88점 (공통2, 미적1) 굉장히 어려웠어요 오답 안 하고...
-
아ㅋㅋ
-
특히나 본질적인 부분이 안 드러나고 표면적인 것만 보이는 입장에서는..
-
4규 되게 가볍고 좋네요 4규 빨리 끝내고 커넥션 넘어갈 생각인데 다들 얼마만에 끝내심?
-
신성한 오르비에서 매일 똥글을 싸도 될까
-
시험장 나와서 이 춤 추시는 분도 있지 않을까...
-
머지 0
일본 책 원작의 k팝 감성 뮤지컬??
-
아 ㅋㅋ 7
그러니까지금이게씨발일컷45시험지라는거지? 진짜미친
-
(한줄 풀이...) 4보다 길고 6보다 짧았습니다!
-
왜 다 이해원이 더 어렵다는거지..? 내 기준 커넥션이 2배는 더 어려운데..
-
공무원 0
21살에 9급 지방직붙어서 정년까지다니면 몇급까지 올라감?
-
자기가 재능이 없는데 노력으로 성공했다고 착각함
-
자기전 무물보 9
-
오르비 이놈들아 1
내 뱃지 왜안줘 이메일을 5번은 보냈는데
-
대부분 교사 목표인가여? 강사목표인사람은 많지않나
-
갑자기 지적 허영심을 폴폴 뽐내고싶어짐
-
삼성물산 상사부분 인턴.상경계 쪽이면 도전해 볼 만 할듯.
-
내가 미적을 못하긴하구나 계속 벽 느끼는데 이걸 어떻게 쉽게 풀지
-
작수를 마지막으로 이제 수능 안본다고 마음먹고 군대에 왔는데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
맞팔할 분 5
있을까요!
-
내일 독재말고 도서관 가고싶은데 많으면 스카라도,,,,
-
예를들어서 단국대, 경상국립대등등이 투과목 가산점이 5퍼라고 알고있는데,,,, 이게...
-
N제커리제바루 1
엔티텟 시즌2공통미적 끝나가는데 이해원 시즌1할까요 4규 시즌1 할까요 엔티켓...
-
6모때 화작 미적 동사 세사 선택해서 41311 백분위는 60 97 99 100...
-
수학도와주세요 1
엔티켓 수2 시즌1 day2 6번문제.
-
에라이 ㅅㅂ 3
너넨 수영해서 돌아와라
-
내신준비하는데 배기범 퍼개완 개념 2학기꺼 다 들었어요. 지금 완자하고 있는데...
-
제목 그 자체이자 중요한 대사인 "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에 대한 의미 생각해보기
-
드디어 2
첫 후기글이!
-
ㅇㄷ감? 0
고려대 전전 한의대
-
일욜제외 매일할려고 하고 학원 안다녀요. 국어: 문학4지문, 비문학 한지문풀기,...
기대되네요 결과가 어떻게 될지
변별력을 올리면 사교육이 살고.. 사교육을 죽이자니 변별력이 없어지는데... 대학은 변별력을 원하고... 정부는 사교육 절감을 원하니 입시 제도는 산으로 가고.. 죽어나는 건 수험생이고... ㅠㅠ
저도 수험생 당시때에는 수시제도 자체에 대한 비난을 하는 쪽이었습니다만, 솔직히 앞으로 장기적으로, 수시, 그 중에서도 진짜 그 학과에 대한 역량을 최소한으로 체크해줄 수 있는 제도로 선발을 확대해나가는게 맞다는게 제 보잘것없는 의견입니다.
동감입니다
근데 올해 문과는 국b가 하드캐리해서 12나 13보다는 좀 어려웠던것도 같은데..
국어가 91 이었던 걸 제외하면 13 보다 어려웠다는건 전혀 동의못하겠구요(컷만 단순히 비교해봐도) 12랑은 비슷하겠네요
컷만 단순히 비교할 게 아니라 AB형 고려해야죠.. 13>=15>>12정도 될듯. 12때는 국영수다 사탐까지 싹다 물이라. 15는 국어와 사탐이 변별력을 가진 해였습니다.
12때도 국어가 물은 아니었어요. 저는 12,13에 반수까지 해서 14까지 봤었는데 언어영역이 12때 역대수능중에서도 어려운편에 속했습니다. 물론 그 외 영역에 있어서는 변별력이 없었음을 인정합니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