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정승제F 커리큘럼 가이드 / Q&A 요약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0495194
2024 정승제F 커리큘럼 가이드 영상 올라왔네요.
열심히 작성 했으나 요약이다 보니 빠진 부분 및 미흡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유투브에 영상 업로드 되어있으니 자세히 알고 싶은 분은 영상 꼭 보시는 것 추천 드립니다.
* 생선님의 말씀
- 경쟁 사회 아니야 무슨 경쟁 사회야. 자기자신을 이긴 사람만이 승리하는 게임이야.
- 그 누구도 안 이겨도 돼! 그냥 약속만 지키면 된다.
- 공부 계획 하루하루 완벽하게 끝내면 누구나 이룰 수 있는거다.
- 스스로의 약속만 지키면 누구나 성공할 수 있다.
- 대부분의 사람들은 게으르다. 게으른 그룹에서 탈출하는 여러분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화이팅!
* 생선님의 기준 본인의 안정적인 등급 이란 ?
- 맞아본 적이 있다 -> 본인 등급 X
- 222322112 -> 2등급
- 33442233 -> 3등급
* 예비과정 커리큘럼
1. 완전 노베이스 중학교 쌩기초가 없는 학생 -> 'EBS 50일 수학'부터 수강.
- 교재 필요 없음, 버스,지하철 안 등 짜투리 시간에 '집중' 해서 듣기만 해도된다.
복습도 필요 없음. 수능 과정(개때잡) 들어가면 자연스럽게 복습이된다.
2. 기본은 공부했다. 학생스럽게 살았다. -> 고1 과정 '이투스 수꼭필'부터 수강.
- 개때잡 수강 전 먼저 듣기, 5단계 복습 필요 없음, 한번 듣고 모를때마다 체크하는 것은 괜찮으나
개때잡 들어가면 또 반복하고 자연스럽게 복습 되는 내용들. 하루에 2개씩 빠르게 수강해서 끝낼것.
* 수능과정 커리큘럼
1. 개때잡 : 개념 + 문제풀이 강좌
- '수학'을 가르친다.=교과서에 있는 내용
- 개념 ( 개념의 모든 뜻과 과정부터 설명) + 문풀 ( 킬러 직전 수준까지 문풀 연습 = 취집공 )
2. 담금질 : 개념 + 문제풀이 강좌 / 안정적인 2등급 이상 수강.
- '수학'이 아닌 '수능'개념 = 교과서 내용에서 한 걸음 더 및 교과서 없는 내용
- 평가원 자주 출제 패턴 분석 및 반영, '유형'이 아닌 '쓰이는 생각의 재료'를 공부.
- 스스로 4점 문제의 시나리오를 세우는데 도움을 줄 여러가지 생각의 재료 도구들의 모음.
- 스킬이 아니다!
3. 기출끝 : 9년간 모든 평가원 기출 + 일부 교육청, 사관학교 문제로 구성.
- step 1 쉬운 3점짜리 문제 수준
- step 2 쉬운~약간 어려운 4점 수준
- step 3 킬러 수준 어려운 4점 문제 수준
4. 굴욕감 : 퀄리티를 중심인 3회 모의고사
- 평가원 수준의 문제들, 수능보다 20~30% 어려운 수준으로 맞춤,
- 6,9월 안정적 1등급도 75~85점이면 잘 본 시험 수준의 어려운 문제. 굴욕감을 느낄 수 있음.
* 문제풀이 강좌는 없나요??
- 개때잡, 담금질 안에 문제풀이가 포함된다.
- 개념강의 따로 문제풀이 강의 따로 찍지 않는다.
- 개때잡, 담금질, 기출끝 끝낸 후 EBS 문제들을 풀어본다 그 후 굴욕감을 수강하는 것 추천.
- 시중 문제집 퀄리티는 EBS가 제일 낫다 수특,수완,파이널 등 EBS 문제들 필수로 풀어봤으면 좋겠다.
* 업로드 일정
1. 개때잡 : 12월 말~ 3월 말 완강 예정
- 수1,수2,확통 현장강의 업로드 예정 (이투스 Q&A 참고)
- 미적,기하 스튜디오 업로드 예정 (이투스 Q&A 참고)
2. 담금질 : 12월 말,1월 초 ~ 6월 초 완강 예정
- 안정적 2등급 이상 수강생을 위한 강좌. 양이 많진 않으나 업로드 속도가 상당히 느림.
3. 기출끝 : 12월 말 ~ 5월 말, 6월 초 완강 예정
- 기출끝은 원래 3월에 끝나는 강의가 아니다. 완강 늦는 이유는 step1,2 step 3 업로드 일정이 다르다.
- step 1,2 개때잡 후에 공부! 개때잡과 맞춰서 업로드
- step 3 킬러 모음. 담금질 끝낼 때 시작! 담금질과 맞춰서 업로드
4. 굴욕감 : 여름방학 이후 개강
* Q%A
1. 2023 개때잡 교재로 공부해도 될까요?
- 개념 + 문제 약 30% 바뀐다.
- 작년 수강생들은 2023 교재로 공부하는 것 말리진 않으나 불편할 수 있다.
- 교재, 강의 모두 2024 개때잡 듣는 것이 훨씬 더 낫다.
2. 수학1->수학2 순서대로 공부해야 하나요? 동시에 공부해도 될까요?
- 같이 해도 되나 수2를 하려면 함수 부분을 잘 알아야 한다.
- 같이 하려는 기초가 부족한 친구는 무조건 수꼭필 먼저 수강 추천.
3. 개념의 신과 개때잡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 개념의 신 내신에 맞는 개념 강좌, 수능문제 다루지 않음.
- 개때잡 수능에 맞는 개념 강좌.
4. 개때잡 취집공 난이도가 너무 높아요. 낮춰주실 수 있나요?
- 지금 현재 수능 기조는 전체적인 난이도가 올라간 준킬러 위주의 시험.
- 높은 난이도가 익숙해 져야 한다.
5. 2023 담금질 강좌로 수강해도 될까요? 2024 담금질과 차이점이 있다면?
- 수능 기조는 서서히 바뀐다.
- 강조할 부분은 조금 더 보강, 힘 빼야 하는 부분은 뺀 게 있다.
- 개때잡과 마찬가지로 약 30% 정도 바뀜.
- 2024 담금질 완강이 늦으니 최상위권 학생들은 작년 담금질로 12월부터 시작해도 된다.
6. 개때잡 완강 후 담금질을 들어갔는데 너무 어렵다면 개때잡으로 돌아가야 할까요?
- 담금질을 계속 듣는 것을 추천.
- 담금질이 너무 어려운 경우는 보통 개때잡 70% 끝낸 수준.
- 취집공에서 일부 다시 못푸는 문제가 있다면 취집공을 다시 풀고 담금질로 가라.
- 취집공은 다 푸나 담금질이 어렵다면 담금질을 여러번 돌려라.
7. 기출끝에서 맞힌 문제도 해설강의 들어야 할까요?
- 100% 완벽하게 풀었다면 넘어가라. 조금이라도 찝찝하다면 해걸강의 들어라.
- step 2~3 약간 어려운 4점 부터는 완벽하게 이거는 이 풀이밖에 없다는 느낌으로 풀기 어렵다.
- 생선님의 풀이를 직접보고 본인의 풀이와 비교해보고 가라.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고생하셨습니다
너무 깔끔하네요 수고하셨어요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