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지문 읽을 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0463492
날려읽으면 (글이 아니라 글자 읽는 느낌으로 읽은 것 같으면) 지문 처음부터 다시 읽나요? 아니면 일단 문제로 들어가나요? +애초에 날려읽는 경우가 상위권에서는 아예 없나요? 중요도 판별 안 된 상태라는 가정 하에서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데스크가 교무부로 미루고 교무부가 저자쌤한테 직접 물으라고 해서 쌤한테 책 공짜로 얻음
-
티원이지 이게 1
이거야 이거
-
ㅈㄱㄴ
-
평가원 #~#
-
드립 실패한 건가
-
박종민 qed 0
박종민 듣는중인데 올해가 다른해에 비해 난이도가 낮은 편인가요? 기대한 거에 비해...
-
국어랑 수학중에 2등급 받기 쉬운 과목이 뭐라고생각하세요? 0
국,수 중에서 노력하면 2등급 받을 수 있는 과목이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국어는...
-
시발 뭐이렇게 머리에 넣을게많냐
-
3회에 들어갈 거라 빠답은 지금은 안올리고 기존에 만들었던게 너무 꼬아낸게...
-
존나 비싸네요..
-
저런알마 왜하냐 0
착한 원장잇는 학원 널렷는데
-
155cm 70kg임…. 인생 난이도 너무 어렵다
-
심심할때 뻘글로 매인 도배 가능? 구) 저능부엉이 스타일로.
-
의학의 역사<- 이거 ㅈㄴ 재밌음
-
조기퇴근 엔딩 0
-
6평 응시 1
6평 학원에서 쳐도 성적표 나오나??
-
재밋으면 읽어보려구 하는데
-
지표면으로 절대 나오지 않는 깊은 땅속에서만 사는 동물.. 우리가 발겸못한 그런거 있을거같은데
-
고2입니다 고3되기 전에 개기팔시 솔루션 한번 해보고 올라가면 좀 괜찮을거같은데...
-
[단독] 미, 한국 최대 염전 소금 ‘수입 금지’…강제노동 이유 2
국내 최대 단일 염전의 소금 제품이 장애인 강제노동으로 생산됐다는 이유로...
-
열이 안 내려 4
-
이상함... 일단 빨래 단축코스로 돌린 다음에 씻고 해 지기 전에 밖에 나가서 뭐라도 할 예정
-
고고혓!
-
살너무많이쪘네 6
기어코앞자리가바뀌어버림
-
웹만 그런가
-
그냥 스킵할 예정이신가? 3모 10일쯤 지났는데....
-
그냥일반 독서실 20만원 고민되네요
-
군기있다면 선배한테 개기면 어떻게 되나요?
-
씨발 중고딩들 바로 자습실 칸막이 옆 쉼터에서 고성방가하는 거 실화임?? 바로...
-
한번도 안봤었는데 조금씩 읽으니깐 생각보다 복기가 잘되구만
-
220921이거 y=x-1대칭 이용해서 푸는문제 식으로도 풀수있음 다들 알고있나?
-
강펑 ㅋㅋㅋㅋ 2
-
고의는...
-
1.종교 교회 2.알바 과외말고 같이 일하는 알바 카페알바 3.런닝크루같은 운동 동호회
-
아 내 꿈과 희망이 이렇게 무너지네
-
3덮 0
언 확 생윤 사문 64 84(88) 2 44 44 5개월만에 학교가서 셤기간에펜잡음...
-
어떤 지문인니 궁금쓰
-
현역 3모 수학 높1 나온 개허수입니다 수학 공통 어느정도 자신있는데 뭔가 커리나...
-
분명 박스 안 조건만 보면 가슴이 웅장해지는데 문제 풀다보면 그 조건이 막상...
-
제곧내
-
너무 재밌당... 빨리 철학과 가고싶다
-
일요일에 보통 휴식하시는걸로 아는데 뭐 하시나요
-
의대 순위랑 반영식 수학과탐 과목 풀이 이야기 수탐문제푸는거 같이하고 이런거...
-
안녕하세요. 경북대학교 의예과 23학번 지니입니다. 생명과학 1을 어려워하는...
-
부모님이 내가 웃는거 처음본다고 좋아하시농....
-
북극곰 오열
-
오르비에 글 쓰기
-
누가 만들어낸 개소리임? 궁금하네
-
카카오 카드를 만들었군
전 날려읽은 경우에.. 일단 문제를 보고, 헷갈리거나 모르는 내용이 있으면 관련이 있을 것 같은 단락으로 가서 찾아보는 편이에요.
그리고 전 날려읽지 말자는 걸 항상 행동강령으로 삼았는데 자꾸 까먹고 날려읽어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었어서.. 그래도 수능 때는 과목별로 행동강령을 글로 써놓고 가서 꼼꼼히 읽었던 거 같아요. 지문 날려읽기의 여부와 빈도는 성적보다는 성격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생각합니다.
아 그럼 글 읽을 때 단락 별로 무슨 내용에 대해서 말했는지 의식적으로 숙지하면서 읽는 게 좋을까요??? 2점짜리는 문제들은 2~30초만에 한 문제씩 풀릴 정도로 글을 완벽하게 읽어도 어디에 무슨 내용이 있는지는 잘 기억 안 나더라고요 ㅠ...
아무래도 문제를 풀다가 궁금한 내용 색인이 가능하면 조금 마음이 편해지는 것 같아요. 처음부터 내용 자체를 완벽에 가깝게 숙지할 경우 지문으로 되돌아갈 필요가 없을 수도 있지만, 만약에 대비해 시간을 살짝 더 할애해서 내용들의 대략적 위치까지 파악하면 좋다고 생각해요. 저는 아무래도 심심할 때 네이버 뉴스나 나무위키같은 텍스트를 읽다 보니 이렇게 습관이 든 건지도 모르겠네요. 다만 비문학 지문 독해는 말로 하기 어려운 미묘한 스타일(사고 과정?)의 차이들이 있다 보니 원론적인 이야기지만 본인에게 맞는 스타일을 찾아서 체화하는 게 최상이라고 생각해요.
감사합니다!!!( •̀ .̫ •́ )✧
문학은 특히 그렇고 독서도 문제 들어가보면 대충 흩어져있던 정보가 좀 정리되는 느낌이 들때가 있더라구요 그래서 저는 일단 눈알 굴리더라도 문제 들어가요
뭔가 다시 읽으면 무조건 다 맞출거같다! 싶으면 돌아갈법도 한데 겉으로만 쉽고 문제가 어려운 지문이거나.. 저 생각이 착각일까봐 돌아가는 행동은 웬만하면안하는거같음
그래서 글을 한번 읽고 완전히 이해는 못해도 어떤 내용이 어디쯤에 있는지 기억해두려는 노력을 많이 했네요

감사합니다!!! 어디에 무슨 내용 있는지 기억하면서 읽어야 할 것 같아요문제부터보죠
전 대충보더라도 다시 읽음 내용일치같은거 풀때 글 대충읽은 상태면 시간 배로 잡아먹혀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