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강대와 관련한 궁금한 사항들의 정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0299984
요즘 오르비에 수험생 입장에서 서강대 관련해 궁금해 하는 글들이 많이 올라 오는 것 같아서 아래와 같이 제가 알고 있는 사항 위주로만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수험생들 본인 점수로 서강대 정시에 합격할 수 있나요?
이건 아무도 예측할 수 없습니다. 다만 합격 가능한 구간(범위)은 예측은 할 수 있습니다.
합격 가능 구간 설정은 다년간 오르비에서 서강대 정시 입시를 상담하고 계시는 Saint님의 본문 글 또는 댓글 상담을 하는 것이 여러분의 고민과 걱정을 해소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Saint님은 현재 band상태에 있어 팔로우를 해야 그분 글을 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Saint님은 현직 공인회계사라 업무중에는 바쁠 수 있습니다.)
참고로 Jin-hak-sa 자료는 단순 정량적 분석이오니 추세만 참고하세요. 공대 예측은 터무니 없이 빗나간 적이 많아 완전 신뢰하면 손해를 볼 가능성이 높습니다.
2. 문과로 진학하여 공대로 복전할 수 있나요?
(1) 기술적인 측면에서 가능성
서강대는 복수전공 자유라 신청으로만 가능합니다. (다만 아텍의 경우 포트폴리오를 작성하여 신청 및 승인받는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2) 현실적인 측면에서 가능성 (전자공, 화공, 기계공 분야)
문과생이 전자공학 등의 공대 복수전공을 성공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물리학 등에 근본 지식이 충분해야 공대 수업 및 실험 과정을 따라 갈 수 있습니다. 1학년때부터 물리, 수학 등의 공대 기초과목을 미리 수강하는 등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Tip) 문과생이 전자공학을 복수전공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선택입니다. 고도의 학습능력, 대단한 성실성과 목표가 동시에 수반되어야 가능하고 원전공 공대생들과 치열한 학점 경쟁이 발생합니다. 과거에 원래 문과생이 문과로 입학하여 전자공학 등 공대 복전하여 대기업에 취업하거나 대학원 등에 진학한 사례는 있긴합니다.
문과생들은 아래 (3)의 컴공, 융소, 빅데이터 등을 하는 사례는 많고 위의 전화기보다는 훨씬 현실적이고 접근성이 높아 비교적 수월한 측면도 있습니다.
(3) 서강대 문과생들의 이공계 학문에 대한 복수전공을 많이 하는 분야
과거 교차지원이 없었던 시절 원래 문과로 고등학교를 마치고 수능도 문과 전형으로만 치르고 서강대 문과계열로 입학하여 이공계 학과 등을 복수전공한 분야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컴퓨터공학
인문대학, 경영학과, 경제학과에서 컴공 복수전공한 사례는 많습니다.
컴공은 학교 수업도 중요하지만 학내 동아리, 교외 신촌 연합동아리, 서울대생들이 주축이 되어 타대와 교류하는 모임 활동, 부트캠프, 산학지원 프로그램등을 통해 코딩 실력을 연마할 기회가 상대적으로 많습니다.
서강대 문과에서 학교 수업과 위의 활동 등을 통해 컴공 지식과 코딩실력을 향상시켜 네이버, 카카오, 삼성전자 s/w사업부 등에 중복합격하여 해당 IT업종으로 진출한 사례는 아주 많습니다.
경영학과 경제학과에서도 컴공 전공하여 토스, 카카오뱅크 등 핀테크, 인터넷 금융 분야로 진로를 설정한 경우도 있습니다.
2) 융합소프트웨어(융소)
융소는 위의 컴공에 비해 비교적 수업내용이 쉽고, 직접적으로 컴공생들과 경쟁을 할 가능성이 낮아 문과생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연계전공(복수전공의 일종) 프로그램입니다.
위의 컴공과 마찬가지로 융소 관련 학교 수업도 중요하지만 학교 내외의 다양한 컴퓨터 관련 활동을 통해 실력을 키우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문과생이 융소 복수전공해서 머신러닝 개발자가 되어 당근마켓 등 IT기업에 진출한 사례가 있고, 경영, 경제학과생들 중에 융소 공부해서 증권사 퀀트 등 금융전문가가 되어 금융기관으로 진출한 케이스가 많습니다.
3) 빅데이터 사이언스
대기업, 금융기관 등은 다양한 거래처, 고객 정보 등과 관련한 거대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고 경영, 경제학 전공자가 이러한 데이터를 다룰 수 있으면 취업에 절대적으로 유리해집니다
경영, 경제학 원정공생들이 빅데이터 사이언스 복수전공하면 SK텔레콤 등 인기 대기업, 그리고 증권사 IB, 펀드매니저 분야 등 금융분야로 진출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4) 경제학과 원전공에서 수학과 복수전공
KAIST 금융공학 대학원 또는 인공지능 대학원으로 진학해서 금융기관에서 퀀트, 외환딜러, 파생상품 딜러 등 금융전문가가 되기 위해 선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Tip) 위의 문과에서 이과로 복수전공 할 경우 진짜 성실하고 학습능력이 어느 수준은 되어야 잘 풀리는 케이스가 많고, 목표의식이 뚜렷하지 않거나 본전공 학업에서 부진할 경우 포기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본인의 역량과 의지를 충분히 판단하여 선택하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3. 마지막으로 서강대 아텍에 대한 질문도 있는 것 같아 간단히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아텍은 테크놀로지(컴공 분야)+문과(광고, 홍보, 기획)+예술(미술)을 융합한 학문으로 개성이 강한 학과이고 팀플레이, 팀프로젝트가 많아서 활동적이고 외향적인 성격을 가진 학생들이 유리합니다. 코딩도 배우고 코딩 적성에 맞는 사람들은 컴공 또는 융합소프트웨어를 복수전공하고, 일부는광고, 홍보, 기획, 방송제작에 집중을 하는 것 같습니다.
아텍은 본인의 잠재력을 Art와 공학의 형태로 향상시키는 것이라 본인의 의욕과 노력에 따라 업계로 진출이 다양하며 참고로 아래 진로 사항을 링크합니다. (도표에 서울대와 카이스트 등은 대학원 진학을 의미하며, 삼성, KT, LG 등 대기업, 네이버, 카카오 등 IT기업 등으로 진출이 다양합니다. 다만 적성을 고려하지 않고 지원한 학생들은 어려운 분야일 수도 있어요.)
http://creative.sogang.ac.kr/after-graduation/
기타 궁금한 사항은 본문글 또는 댓글로 질문하면 저 또는 다른 분들이 바쁘지 않은 시간을 이용해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기본프사들은 일침전사가 많음 그중에서도 비둘기 프사는 위험합니다
-
꼭 지능낮은걸 티낸단말이지.. 마치 중대의대 논술로가고 고등학교때 병신취급당한...
-
ㄹㅇ참고만 할거임 ㅋ
-
올해는 진짜 제발..
-
행벅하쟈
-
내가 블맘때 에스파 붐은 온다라고 오르비에 올렸었는데 그럴일없다고 댓글에 달렸었는데...
-
안녕하세요 팀 삼공입니다. 저는 고교 자퇴 후에 수능 국어 만년 3~4로 고전하다가...
-
개념 거의끝나가서 문제집 사야하는데 해설 자세한 기출문제집 추천부탁드려요
-
이정도면 연대식 700점은 될텐데? 아닌가?
-
다들 생윤 10
너무 잘하네 난 개념 듣고도 다 틀리는데... 1단원 복습해보고 안 되면 그냥...
-
에휴다노... 저게 그렇게 밀도가 높았던 것 같지도 않음
-
이왜진
-
나잇루틴 0
리들샷 조지고 세럼으로 수분 보충하고 마스크 붙인 다음에 수학 문제 풀기 <—-요즘 삶의 낙
-
공부를 할 때 진짜 짜증나는 과목인 것 같아요 어떤 문제를 틀리면 수1 수2는...
-
억빠임? 걍 기분좋게보고 넘기면되나
-
어케 보나요?ㅠㅠ 로긘 햇는데 안되네여...
-
성희롱 ㄱㄴ함
-
님들 0
물1+사탐 하면 설치 지원할수있나요??
-
평가원 2-3등급한테 머가 더 좋나요 다른거 좋은 기출문제집 추천 ㄱㄱ
-
시대 묻는 문제 진짜 너무 싫음..
-
"2026 수능, 지구과학1은 등급 따기 좋은 황금 과목!" 왜 지금 '지1'을...
-
뻘소리한탄하겠습니다 16
연인도아닌데자꾸 걱정이고뭐고 참견좀하지않았으면 좋겠음.. 내 알아서 할테니까 신경끄라이!!!!!!
-
100등대인데ㅎㅎ기분은 좋아지네요 문제는 수능을 잘봐야 하겠지만... 작년에 다...
-
ㄷ
-
작년 9모 수학 6
그거 사람들이 좀만 더 잘봤으면 미적 92 1 안나올수도 있었음ㅋㅋㅋ
-
존나 잘 봤어요 1등급 6명까진데 1 뜰거 같음 와 기분 너무 좋네 기말고사도 잘...
-
https://link.yeolpumta.com/P3R5cGU9Z3JvdXBJbnZp...
-
강사 N제는 죄다 대성임 메가 기하는 진짜 전멸이구나
-
시대라이브 2
너무한거 아니노 너무비싸다 교재비 달에 15는ㄴㅓ무해
-
그러다가 스르르 잠들었는데 1년만에 상황이 많이 달라졌네 이상하다
-
나도 세상의 비밀을 더 알고 싶고 더 오래살고 싶었어 전례없는 풍요와 진보의 시대...
-
질문받아볼래용 29
없으면똥싼거오르비올림
-
성불 쌉가닁 ㅋㅋ 제발 이렇게 나와라
-
사랑하는사람들이 13
영원히 내곁애 있지 않을거라는게 슬픔 사람은왜떠나가는걸까 끝나지 않는 인연이란...
-
지금 자서 4시에 일어난 다음 벼락치기 ㅇㅇ
-
만 나와주렴 그러면 메디컬 될거같은데.... 수탐 실수 안하면
-
어떻게들 보시는지?
-
오디피기 하은 개귀여움
-
생윤하시는분들만 18
애매한선지있으면 이렇게 하나하나 다 뜯어보면서 하는게 맞죠? 제가 비효율적으로...
-
사문도 이제 공부할거라노 ㅎ
-
네이버페이 제목보고 도배하는 애 또온줄알고 댓글 막달았군
-
메가는 최근 기출 다뤄주는게 김기현 하나 그마저도 교재 pdf에 수록문항 100개도...
-
전 12시전-6시20분으로 사는중
-
1년치 식비 벌었다ㅠ 15
10만원 벌었어요ㅠ
-
10만원 꽁돈 같이 벌사람 없나.. 태무 검색창에 추천코드 149343657 /...
-
학교 기출인데 ㄱ이 왜맞음...
-
아침에 열 39도까지 올라서 수액맞고 자빠짐…해열제먹고 기하 워크북 풀었음 내일...
-
예전엔 말 되게 많으셨던거 같은데 뭐랄까 단답하시는거 같음 제일 좋아하던 과외쌤이셨는데
-
간쓸개 0
메가에 떠 있는 거 사면 되나요? 이감 슬림은 샀는데
다전공은 몇학년때부터 신청 가능한가요?
4학기부터 신청가능하며 관심 있는 과목은 미리 들을 수 있어요. 다만 일부 학과 일부 과목은 제한이 있습니다.
1학년부터 복전할 과목을 듣는게 가능하다는 건가요? 그리고 이렇게 미리 듣는 경우가 빈번한가요?
1. 제한이 없는 것은 들을 수 있어요. 제한이 있는 것 중 사인을 받거나 모든 학년 수강신청일에 허용되는 경우도 있간해요
2. 복수전공을 위해 서강대로 입학한 케이스가 많아서인지 미리 듣는 경우 많은 것 같아요 (제가 보기에)
답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아텍에 관심이 있으면 꼭 지융미에 지원하세요. 낮은과로 지원하면 후회할 수 있고 지융미도 추합이 많이 발생하는 경우 있어 님의 점수로 합격 가능할 것으로 보여요

어라... 정확히 알고 계시네요 예전에 제가 언급을 했었던가... 아텍이 정말 간절한데 성적이 애매해서 인어문을 고려 중입니다 ㅜㅜ데이터 사이언스는 대학원에 있는거 아닌가요?? 잘 모르는부분이라 죄송합니다..
빅데이터 사이언스 학부로 연계전공하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제가 이번에 서강경제 지원하려하는데 경제학부 학생분들은 데이터 사이언스와 수학과 중 어느것에 복전을 더 많이 하나요??
수학이 더 시너지 효과가 큰 것으로 알고 있어요. 그런데 수학을 선택할 경우 카이스트 금공 또는 포스텍 인공지능 대학원으로 진학하는 경우 있고, 빅데이터 사이언스의 경우 학부졸로 증권사 IB, 자산운용사 펀드매니저 금융쪽으로 가는데 면접도 중요해요
감사합니다
융소 탐나네여
아유, 경희대 소프트웨어 훌륭해요. 제가 사랑하는 후배 경희대 소프트웨어 또는 인공지능 목표로 열심히 공부하고 있어요
감삽니다,, 여기서 열심히해서 하고싶은바 이루려고요,, ㅎㅎ
이관데 교차로 문과를 들어가서 공대를 복전할까 생각 중인데요 문과 노베이스인 이과생이 가장 할만한 문과 학과가 있을까요?
문과 노베이스인 경우, 추천 되는 선택지가 경영, 경제, 아텍, 심리, 국문 등이 거론되는데,
1. 아텍의 경우 - 컴공 복전일 경우에만 의미가 있고, 전화기일 경우에는 아텍이 팀플등이 많아 불편할 수 있어요
2. 경영의 경우 - 1학년때 경영원론, 마케팅, 인사관리 이런 과목은 암기가 요구되는 과목이라 적성에 맞을지 고민, 만약에 맞다면 경영이 학업부담이 비교적 덜하고 경영, 조직 등 전반적인 관리 업무를 배우기 때문에 유용합니다. 경영 자체로도 수학적 감각이 필요한 회계, 재무관리, 생산관리도 있어 괜찮고, 그냥 취업하기도 유리하고 전화기 공대 복전의 경우 1학기 정도는 더 투자해야 된다고 생각하시면 되어요
3. 경제의 경우 - 수학을 좋아하고 잘하면 추천, 경제 전공에 수학 복전해서 금융공학 분야로 진출하는게 화기 공대보다 더 유리할 수 있다는 의견이 많아요
4. 심리, 국문의 경우 -공부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어 복전할 과에 치중할 수 있다는 의견이 있어요. 그런데 복전을 중도에 힘들다고 포기할 경우 난처해질 수 있어요
감사합니다!!
복수전공이 몇학년부터 가능한건가요?? 그리고 예를들어 인문계열전공에서 컴공을 복전했을때 원래 컴공이였돈 사람들과 같은 커리큘럼을 이수하게 되는건가요??
4학기때 신청을 하는데 미리 수업을 들을 수 있을거여요. 컴공 원전공은 51학점 이상 학점을 취득하여야 하는데, 복수전공생들은 원전공 39 정도 그리고 컴공과목 39이상 되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컴공전공자들과 같은 수업을 받는 거여요.
사회과학가서 화공 복전을 하면
화공 전공한 사람들과 취업경쟁에서 경쟁력이 있눌까요…
화공 전공자들만큼 수업을 많이 듣고 학점 경쟁력도 있어야 해요.
화공과생들처럼 학부연구생 경력도 쌓고 똑같은 실력을 쌓아야 합니다.
계절학기를 알차게 하거나 한학기 더 다닐 각오를 해야 됩니다
안녕하세요!! 서강대 지융미를 들어가서 과 선택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아텍 선택이 어느정도 가능한가요?? 아텍은 너무 끌리는데 경쟁률이 높은지 궁금합니다!!
지융미에서 아텍 전공신청하려면 포트폴리오(일종의 자기 재능소개 및 학업계획 등)작성, 신청 및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 성실히 잘 준비하면 진입은 가능해요.
본인이 가진 아웃스탠딩한 재능을 여기서 다양한 사람들과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형식으로 학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게임개발, 영상 등에 관심이 있고 영어를 잘해야 유리한 것으로 알고 있어요
정말 좋은 글인네요. 복전 생각하고 있어서 고민이 많았는데 고민이 좀 덜어지네요. 약간 걱정되는게 정시 올인만 해서 한번도 과에 대해서 생각해본 적이 없어서 어떤 과가 맞는지를 모르겠어서 고민하기가 힘드네요...
서강대 상경계열까지는 붙을 점수인거 같아서
차라리 사과대 심리가서 컴공 복전할까도 고민입니다.
사과대 심리나 사회학과는 팀플 부담, 학업 부담이 비교적 가볍다는 장점은 있는데 해당학과 자체만으로는 경쟁력이 약한편이어요.
수학을 잘하시면 경제도 생각해 보시고, 암기와 팀플 괜찮다면 경영을 추천하고 싶군요.
경제, 경영 둘다 복전 선택시 본전공은 39학점 의무이수이고, 사과대는 36학점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더 자세한 내용은 별도의 본문글로 쓸 계획이어요
서강대 수학과로 입학 후 컴공 복전시 학점 차원에서 시너지가 존재할까요?
여러모로 플러스 효과가 크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컴공전공자들도 수학 복전하는 경우 있고. 컴공 대학원 또는 머신러닝 등 수학이 기본인 분야가 많고 학점측면에서 시너지 효과는 것 같습니다.
저는 현재 자연계열인데 서강대 사과대 가서 정치외교 복전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근데 정치외교랑 복전을 해서 시너지가 나올수 있는과가 도저히 생각이 나지 않는데 혹시 생각나시는 과 있을까요.. 상경 지융미 넣고 싶었는데 점수가 0.몇점차로 안된다고 나와서요 ㅠㅠ
정외과에서는 경제 복수전공을 많이 하는 것 같습니다.지금부터 Jin-hak-sa너무 신뢰하지 않으셔도 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