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직되기 이렇게 쉬웠던 수능이 있었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0291828
진짜 억울한 세대는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정권의 작품으로 도입된 전문대학원 억까를 당했던 07~12수능세대아닐까..
[8차 교육과정] 2012학년도 이후 의대, 치대, 한의대 정원 변화
지금 지방의대 겨우 들어가는 등수라면 이때는 의치대랑 설공을 못갔다는 얘긴데
이때에 비해 응시자 수는 1~20만 줄었고 약대도 도입됐으니
IMF 이후로 전문직 되기엔 지금만큼 쉬웠던 시절이 없음. 물론 다른 대학가기도 쉽고.
여기계신 분들이 요즘 수능 고였다, 국어 등급컷이 말이 안된다면서 토닥토닥해주면 좋아요는 받겠지만 이 사람들은 정말 자기가 불행한 세대인줄 착각함.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근데 뿡댕이는 0
따비 팬덤이름 아닌가?누가 뿡평 낮추고 다니냐 어허
-
7모 미적 88인디 n제 머 긁어야함???
-
수능샤프란 글을 봤는데 그냥 그만큼 좋다는 말인거죠???
-
시발 존나 무서워;; 이불 머리까지 뒤집어 썻음
-
애초에 이번 수능은 영어 과목만이라도 칠 생각이었어요. 수학 과외 및 조교 했었고,...
-
ka 머시기 5
햄..
-
(아님)
-
저능아 저능아 거리는거 이해 못했는데 막상 웩슬러보고 오르비 보니까 상대적 저능아가...
-
Let's go
-
“요즘 영어 야메로 풀어서 감 떨어짐” “넌 근데 야메로 풀어도 1 아니야?”...
-
타비 팬네임 아님? 뿡댕이를 아는 사람 :
-
뭐냐
-
파스텔분들 9
원래 잡식이라서 안가리고 다 보는데 진지하게 스텔에 빠지는거같음..리코랑 린중...
-
오랜만이네요
-
캬 ㅋㅋ ㅅㅂ
-
미친놈들아 5
이겨달라니까 5꽉을 가네
-
내 뿡혐의 이유 16
1.무료배포 평균 낮춰서 사람들이 무료배포에 선입견 생기게함 2.문제 못만듬 3.내...
-
MSI랑 EWC도 안 나오시면서 왜 자꾸 출근하세요…
-
내일 뭐 하지 0
솔직히 놀러가고싶음
-
수학 수완 0
다 푸시나요?
-
작년 재작년 재재작년보다 올해가 젤 빠르게 느껴짐 걍 말이안됨 이제 슬슬 줄여야겠음
-
팬 기반 존재 이러네 ㅋㅋㅋㅋㅋ
-
자습시간 안부족한가요?
-
갑자기 생각난거 4
나는 차단당한거 모르는데 내가 그사람한테 댓글달면 뭔가 쪽팔릴거같음 차단당할행동 안해야지..
-
저는 기하 농가를 살리려고 기하로 응시했구요 점수는 기하로 했지만 또 그 점수가...
-
근데 왜 출처에 디시…. 나 비판갤에 써있나
-
뿡뎅모가 뭐임? 5
진짜모르는데
-
12시에 딱 끝났구먼 12
gpt 메타는 또 뭐여 근디
-
내 평생의 꿈이다.
-
귀여운건 같이보자 19
-
청년들을 지방으로 보내는 정책을 하고있는데, 왜 일탈을 유도하시는지?
-
진짜 한달간 고생했어요 23
문제 완성도,문제 퀄리티 적절한 문항 배치, 난이도 한달간 고심했어요 푸는 사람이...
-
국어 92 수학 92 영어 88아님90 물2 47 생2 45 먼가 느낌이 그럼뇨
-
세종대 농어촌 0
세종대 공대 농어촌으로 국수영탐탐 얼마씩 받으면 감?
-
에휴
-
존예 집합소인데 왜 내 주변엔 저런 여자애들이 없는가
-
작수 만표 69인데 작수난이도로 올해 나오면 만표 대침몰함?
-
ㄷㄷ
-
난 더 아름다운 사람이 되어 널 지켜줄 거야~ 닳고 닳아도 사랑할 수밖에~
-
어어어어어어어어어ㅓㅓㅇ어ㅓ어어어어
-
이런 4
왜 계속 제 오뎅이 뺏어가세여
-
있을까요? 끼워맞추기로 문제 풀이 실력은 나쁘지 않은데 개념이 엉망이라서요
-
이건 첫번짜 레슨 좋은 건 너만 알기 이제 두 번째 레슨 슬픔도 너만 갖기
-
gpt가 본 나 3
-
44라기엔 좀 쉽지않았나요 물론 집모 25분 47점이긴한데… 이번에 표본수준 훨높죠?
-
진짜 뇌 구조가 바뀌는듯 존나 쏟아부으니까 뭐가 남는게 있기는 한듯
-
푸는사람 있음? 본인 영어 잘하긴 하는데 그렇다고 영어 유기하기 좀 불안하니 버스...
오..
그런건 없고 걍 다힘듬
공급도 중요하지만
요즘은 공급량의 증가에 비해 전문직의 수요가 너무너무너무 압도적으로 증가해버렸습니다.
그래봐야 의대랑 서울대랑 겹치는 정도라..정원확대에 비해선 영향이 작았을거라 봅니다

ㄷ의치전 때문에 메이저의대 갈 수 있었을 사람이 지방대의대 가고, 지방대 의대 갈 수 있을 사람이 낙방하고 재수삼수하는 경우가 많았죠.
그래도 서성한만 가도 지방의전은 잘 갔어요. 15부터는 치전원 미달이기도 했습니다
의전이 그렇게 쉽지도 않았거니와..그렇게 의전으로 간다해도 빠져나간 TO가 새로 생기는게 아니니까 문이 좁아지는게 되는거죠. 전문대학원 제도가 폐지된 이유입니다.
누적등수로 보면 수능 약대 있던 시절에 약대갈 인원들이 수능 약대가 사라지면서 연고공으로 갈 수 밖에 없었죠. 때문에 연고대 인원이 피트로 약대 간 것은 제자리 찾아간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 지방의대 겨우 들어가는 등수가 연고공이고 지금 약대등수면 훨씬 더 아래를 봐야 할거에요. 연고대인원이 약대를 간다는건 그만큼 연고대정원이 줄어든거니까 결국 똑같이 좁은 문이라는 이야기죠. 편입이나 전문대학원을 간다해서 그 TO가 새로 생기는게 아니니까요.
그시기면 이과생 비율 30프로 까지 떨어졌던 시기 같은데.. 게다가 제일 쉬웠던 세대로 따지면 14 15 16 17 아닐까요? 서성한공이 한의대, 수의대랑 겹쳤던 유일한세대인데
저도 틀딱입니다만 그때 누적 3-4퍼만 맞아도 지방수의대는 갔던걸로 기억합니다. 당장 제 절친이 22113 맞고 당시 지방수의대 진학해서 확실히 기억나거든요. 영어 상평시절이긴 했지만 수학이 2컷 정도라 그리 높은 점수는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이과생의 비율이 낮았죠. 지금은 문과에 대한 인기가 더 줄어서 이과생의 비율이 높아졌습니다. 예전에는 문과를 골랐을 일부 학생들이 사회분위기상 이과를 골랐다고 할 수 있겠는데요, 그렇게 늘어난 학생들 중 상위권이 얼마나 되겠습니까. 옛날에도 법대는 없어진 뒤라 공부잘하는 학생들은 이과를 가는 경향은 심했으니까요. 또 예전엔 9평치고 문과수학으로 도망가는 학생들도 많았죠. 응시자는 적어도 최상위권 학생들이 이과에 대부분 있던건 같은 상황이라 봅니다. 오히려 아래등급대가 빠지니까 등급따기는 더 어려웠죠. 누백3퍼로도 수의대(더 아래도 됐을 것 같은데)가 가능했던 이유는 응시자 수가 적었기 때문이라 볼 수 있겠죠. 뭐 그래도 지금은 정원이 두배니까요
매우동의함 지금 어려운건 2010년대 중반에 비해나 어려운거지 2000년대 후반에 비하면 비교도안되게 쉽다. 물론 그때는 수의를 메디컬로 안치기도 했고 설대출신이면 학점 반타작만 해도 어렵지않게 의치전 갔지만요
물론 2000년대는 imf여파로 대기업 40대퇴직얘기가 많이돌고 변호사를 의사보다 쳐주던 시절이기도해서 최상위권이어도 요즘처럼 무지성 이과가진않아서 단일비교는 어렵지만요
ㅇㅈ 21수능 연고대 간 등수로 22수능 이후에는 약대 수의대를 가죠 ㅋㅋ
2011학년도 수리 미적분 28번(3점) 문제가 객관식인데 오답률이 80%에 수렴했었음. 2009개정이 적용된 수학B형 3점에 속하는 수준임. 2007개정 과정이 적용된 평가원 시험(2005학년도 예비시행 ~ 2013학년도 수능, 단 수리만 2011학년도까지) 시절은 지금에 비하면 하향평준화였다는 걸 알아야 함. 이게 지금 과거에 비해 상향평준화가 심해졌다는 걸 방증하는 결정적인 지표임.
그 문제 유명하죠. 중요하게 아셔야 할게 우리가 기출문제를 잘 푸는 이유는 기출문제에 맞춰서 공부방향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인강도 그렇고 문제집도 그래요. 그 전까지는 생소했던 개념들이 출제된 이후로는 3등급도 아는 문제가 되는거죠. 그 문제를 풀기 위한 시간이 전반적으로 부족하기도 했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