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노벨 물리학상 시상 연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0256449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양자역학에게 바쳐집니다. 1935년, 아인슈타인과 보어, 슈뢰딩거는 모두 양자역학을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아인슈타인은 양자역학에 도전했으며, 그것이 맞는 이론이더라도 완전하지는 않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양자역학에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더 근본적인 구조가 있어야만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반대로 보어는 양자역학을 방어하는 입장에서, 양자역학은 완전한 이론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슈뢰딩거는 공통된 과거를 가지고 있는 두 입자 사이의 얽힘(entanglement)은 양자역학의 독특한 특성이라는 결론을 냈습니다.
대부분의 물리학자들은 보어의 편에서, 슈뢰딩거의 얽힘에 주목했지만 그다지 큰 관심을 가지지는 않았습니다. 그들은 양자역학을 (실용적이든 근본적이든)다른 문제들에 적용하는데 너무 바빴습니다. 이러한 물리학자들은 지금 우리가 당연하다고 여기는 것에 많은 기여를 했기에 이미 노벨상을 많이 받아왔습니다. TV나 인터넷, 휴대전화, 상당수의 의학 진단 기기들은 양자역학에 이론적 근본을 두고 있습니다. 2020년이나 2021년의 수상자들(Roger Penrose, Reinhard Genzel, Andrea Ghez, Syukuro Manabe, Klaus Hasselmann and Giorgio Parisi)도 예외는 아닙니다.
세계가 양자역학의 힘으로 발전하는 중에, 몇몇 물리학자들은 양자역학의 토대에 대해 여전히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1964년에 존 스튜어트 벨(John Stewart Bell)은 '벨 부등식'이라 불리는, 아인슈타인과 보어의 논쟁을 실험적으로 검증할 방법을 이끌어낼 수 있는 수학 공식을 만들어냈습니다. 대부분의 물리학자들은 관심이 없었습니다. 이런 양자역학의 근본과 관련된 문제에서는 아무런 실질적인 결론을 얻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물리학자의 입장에서, 양자역학은 잘 작동했습니다. 양자역학은 교과서에 자리잡아 대학에서 배우는 내용이 된 지 수십년은 되었습니다. 양자 얽힘이 난해한 양자역학의 특성이라는 것은 인지하고 있었지만, 당시만 하더라도 그것을 어디에 사용할 수 있는지는 아무도 몰랐습니다.
존 클라우저(John Clauser)는 이와 반대였습니다. 그는 벨 부등식에 대해 듣고, 이를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는 원래의 연구를 포기하고, 스튜어트 프리드먼(Stuart Freedman)이라는 동료와 함께 벨 부등식에 대한 첫 번째 실험을 수행했습니다. 첫 번째 실험은 50여년 전에 매우 작은 예산을 가지고 수행되었으며, 양자역학이 벨 부등식을 어긴다는, 아인슈타인이 틀렸다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안타깝게도 벨과 프리드먼은 이미 세상을 떠났습니다.
클라우저의 실험은 보어의 주장이 맞다는 것을 보였으나, 벨은 얼마 지나지 않아 클라우저의 실험에는 치명적인 결함이 몇가지 있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알랑 아스페(Alain Aspect)는 클라우저의 결함을 극복하고, 지금까지도 인정받는 일련의 실험을 수행했습니다. 이러한 실험들은 때때로 과장되어 보도되기도 했지만, 전 세계에서 주목받게 되었습니다.
벨 부등식에 대한 실험은 안톤 자일링거(Anton Zeilinger)에 의해 새로운 시!대를 맞았습니다. 자일링거와 동료들은 클아우저와 아스페의 실험에서 남아있는 몇 가지의 허점들을 보완했지만, 더 중요하게는 양자 얽힘이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는 것을 보였습니다. 우리는 2차 양자혁명에 돌입한 것입니다!
아스페 교수님, 클라우저 박사님, 자일링거 교수님,
양자 얽힘을 규명하고 양자 정보의 기반을 마련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셨습니다.
스웨덴 왕립 학회를 대표하여 수상을 하게 되어 영광입니다.
---
오늘 이런 행사를 하는지도 몰랐네요.
대충 문맥을 많이 살리느라 번역체일겁니다.
근데 저 3명 중에서 한 분을 제외하면 우리 분야라서 실제로 학회 가면 만나뵐 수 있는 분들이신데 뭔가 신기하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어쩌다 보니 6모는 집에서 보게 되었는데 이러면 수능때 불리하려나 사실 집에서 봤던...
-
Y=x 대칭->그래프 압축 맛있었습니다
-
휴직맨 키아누리브스 그리고 나
-
난 오늘 이투스쳤는데 ㅠ
-
정신줄 꽉 잡아야겠다
-
난 여배우상임 0
실제로 거의 남자에 가까움
-
맞팔할사람 2
ㅇㅇ
-
왜 나 따라함
-
영향력 ㄷㄷ 홍전전 아웃풋 중에 압도적고트임
-
이걸 알아내기 위해 어제 새벽4시에 자고 가봤는데 딱 하루 5시간 수면이...
-
문학 커리 2
작수 기준 문학 25분에 1개 틀림 생글생감하고 훈련도감 중에 어떤 게 좋을까?...
-
ㅅㅂ 난 더 이상 살 의지가 없어 나는 커서 거지가 될거야 제발생각을해제발...
-
진짜대충 예전에 만들어놓은 거에서 꽤 비슷한 문제도 첨부
-
첫 정답자 3000덕 드리겠습니다! 실제 시험에 나올 가능성은 없습니다..!
-
친구만들고십다 0
같은관에 친구가 없어서 자율외출도 못하겠음
-
한 4강짜리 한 챕터에 16문제 있다고치면 수강전에 문제풀고 거의 다 풀수있을때까지...
-
일찍 주무세요
-
90년대 00년대 무협이 요즘 거보다 무거워서 좋긴 한데 가끔은 가벼운 것도 봐줘야 밸런스가 맞음
-
여기서 한번도 못본거같은데
-
학원 수업과 인강 포함. 국어 김승리T 독서 류재민T (Goat) 문학 한승T 공통...
-
글이 수출되어버림 거기 말투가 ㄹㅇ평소말투라 찐친들은 글 보자마자 바로 ㅌㅈㅇㄹ할...
-
자야지 4
진짜임
-
7시쯤에 일어나고 5분정도 깨있다가 자는게 반복이라 일어나자마자 20분 러닝 뛰고 오려는데
-
이또한 지나가리 1
모든게 끝나고 성불하는 날이 올것이니
-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내일 더프 잘?치고올게요!
-
이런이런
-
고2 내신 확통 후 고3 겨울방학부터 이제껏 한완수 확통 해왔는데 한완수가...
-
ㅅㅂ 자고싶다 0
ㅜ
-
특히 노래 잘 부르는 여자들 ㄹㅇㄹㅇ
-
알고리즘 어케함뇨
-
[속보] 이재명, 타임지 ‘올해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선정 8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TIME)이 선정한 ‘올해 가장...
-
확통 아이디어 완 항부력 지문 2트만에 뚫었네; 짧아서 쉬운줄
-
그런걸 뭐라고 하죠 영어로 머 있었던거같은데
-
화요비 와따 0
안녕
-
이해원 난이도 0
이해원 7문제중에 끝에2문제는 보면 숨이 턱막히고 시간내에 다 못풀겠는데 원래 어려옴?
-
없다는데 상상을 못했네 이건 ㅋㅋㅋㅋ
-
이차곡선 먼저 풀고 평벡은 뒤로미뤄야지 걍
-
동작구 버스 특 9
배차간격 15분넘음 아 ㅈ같다 예전에 살던 곳이 좋앗지..
-
오르비에서 찾아보니깐 보정1컷 69 무보정 1컷 80
-
그냥 다녀도 괜찮을지도
-
물론 수능이후로 세지사문 책 펴본적도없음ㅋ 국수 잘본다는 마인드로 4덮 보고옵니다
-
인증 아니고 운ㅈ.
-
대성사이트에서 샀는데 배송중 목록에 안뜨네요
-
작년 3덮 4덮 보신분있으신가요 물론 올해는 아무도 모르겠지만 작년에는 뭐가 더 어려웠나요?
-
무보정3을원해요 1
제발 수학 부탁
-
내일 함 먹어보겟음 +_+ 효과개쩔길
-
어어 그들이 몰려온다
-
제곧내
-
저도 다음날 봐볼게요
샤라웃 투 나 연
따봉
캬
저분들이 양자 컴퓨터의 시대를 열어젖힌 분들인가요?
그리고 노벨상을 받으려면 오래 살아야하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