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D-L [290678] · MS 2009 · 쪽지

2015-05-12 07:10:59
조회수 2,585

J커브현상 11학년도 9월 모평 28~31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013997

기출지문 내용 중../

'J커브 현상에서 경상 수지가 악화되는 원인 중 하나로, 환율이 오른 비율만큼 수입 상품의 가격이 오르지 않는 것을 꼽을 수 있다. 이는 환율 상승 후 상당 기간 동안 외국 기업이 매출 감소를 우려해 상품의 원화 표시 가격을 바로 올리지 않기 때문이다.이는 환율 상승 후 상당 기간 동안 외국 기업이 매출 감소를 우려해 상품의 원화 표시 가격을 바로 올리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소비자들의 수입 상품 소비가 가격 변화에 따라 줄어들기까지는 상당 시간이 소요된다. 그 뿐만 아니라 국내 기업이 수출 상품의 외화 표시 가격을 낮추더라고 외국 소비자가 이를 인식라고 소비를 늘리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린다. 그러나 J커브의 형태가 보여주듯이 당초에 올랐던 환율이 지속되는 상황에서는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 상품의 가격 및 물량의 조정이 제대로 이루어 진다면 경상수지가 개선된다.'


그런제


J커브 효과란 환율의 변동과 무역수지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무역수지 개선을 위해 환율상승을 유도하더라도 그 초기에는 무역수지가 오히려 악화되다가 상당 기간이 지난 후에야 개선되는 현상을 말한다. 환율 상승 초기에는 수출입물량은 큰 변동이 없는 반면, 수출품가격은 하락하고 수입물가격은 상승함으로써 무역수지가 악화되며 어느 정도 기간이 경과한 후에야 수출입상품의 가격경쟁력 변화에 맞추어 물량조정이 일어나 무역수지가 개선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J커브란 명칭은 과거 영국 파운드화가 절하될 때 무역수지가 변동되는 모습이 J자형 곡선을 그린 데서 비롯됐다.

[네이버 지식백과] J커브 효과 [J Curve Effect] (지식경제용어사전, 2010.11, 대한민국정부)


여기서 밑줄 친 부분은 수입물 가격이 상승함으로써 무역 수지가 악화 된다고 했는데

여기서는 수입물 가격이 상승하지만 소비심리를 고정 , 거래량은 일정해야 함을 전제

거래량 x 수입물 가격 = 총액 상승 , 

수출품의 가격의 외화 표시 가격은 바로 낮춤으로써

 거래량은 일정한 상태에서 가격이 낮아지므로  거래량 x 수출물 가격 = 총액 하락

수출액 감소  따라서  경상수지 감소


기출지문에서는

경상 수지가 악화되는 원인 중 하나로 수입 상품의 가격이 오르지 않는 것이라고 했으니

여기서는 가격이 오를경우 거래수가 감소함에 따라 총 총액은 감소함을 전제했고

그래서 바로 외국기업은 원화 표시 가격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라고 했고 (총 총액의 감소우려)

                                                                              (울나라사람 민감 )

국내 기업은 수출 상품의 외화 표시 가격을 낮추더라도 외국인은 바로 사지 않는다 . (둔감??)


우리나라 사람들은 가격변화에 민감하고 외국사람들은 가격변화에 민감하지 않다 . 라는 전제를 이끌어내도 무리없을까요??


기존에 알고 있던거랑 언어 지문읽을 떄랑 햇갈리네요. 

그냥 딱 봤을 떄는 서로 모순되는 것 처럼 느껴집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것또한곧지나가리라 · 472024 · 15/05/12 11:00 · MS 2013

    그럼 지문에 써잇는걸 기준으로!
    2011언어에서도 실제하고 다른 오류가 잇는 지문이 나왔는데 지문으로 충분히 문제없이 풀수 잇기에 복수정답 인정 안됫습니다

  • JD-L · 290678 · 15/05/12 11:03 · MS 2009

    어.. 음.. 저는 저 2개의 지문이 서로 모순이 없으려면 저러한 전제가 있어야 한다 라는 것이 맞나 싶어서 질문드립니다.

  • THE ECON · 487503 · 15/05/12 11:58 · MS 2014

    일단, 경제에서 외부충격이 어떤 효과를 가져오는데 시간차가 존재하고요.(이때문에 j커브효과가 발생한거죠.) 이를 국내시장에선 기업의 측면, 그리고 외국시장에선 소비자측면에서 얘기한 것 같네요.
    즉, 제시된 내용으로는 모순이라고 할 수가 없죠.

  • JD-L · 290678 · 15/05/12 12:03 · MS 2009

    초록색 부분이랑 빨간색 부분이 대조적으로 보이는 이유도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학샘 · 441190 · 15/05/13 09:22 · MS 2013

    환율이 변화했음에도 외국 기업이 원화 표시 가격을 바로 올리지는 않는다면, 환율이 오른 비율만큼 수입 상품의 가격이 오르지는 않습니다.


    환율이 변화함에 따라 외국 기업이 원화 표시 가격을 바로 올린다면, 환율이 상승함에 따라 수입 상품의 가격은 상승하게 됩니다.

  • JD-L · 290678 · 15/05/13 18:04 · MS 2009

    또한 소비자들의 수입 상품 소비가 가격 변화에 따라 줄어들기까지는 상당 시간이 소요된다. 그 뿐만 아니라 국내 기업이 수출 상품의 외화 표시 가격을 낮추더라고 외국 소비자가 이를 인식라고 소비를 늘리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린다.

    이부분에서 바로 가격을 올리지 않는 이유가 거래수 감소때문에 외국기업이 바로 가격을 올리지 않는 다고 했고
    우리나라 가격이 외국에서 낮추더라도 바로 외국인은 거래수를 늘리지 않는 것을 보면 울나라 사람들은 가격에 만감하고 외국사람들은 가격변화에 둔감하다는 걸 전제친것 아닌가요??

  • 학샘 · 441190 · 15/05/14 09:24 · MS 2013

    가격 변화에 대한 민감도 차이 때문이라는 전제는 없습니다. 우리나라 사람이건 외국 사람이건 가격 변화에 대한 민감도가 다른 것이 아니라 동일하다는 전제를 깔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 환율 상승 초기에 '수출품가격은 하락하고 수입물가격은 상승함으로써 무역수지가 악화되' 는 것은, 우리나라가 수출품 가격을 낮추었음에도 외국인들이 아직 가격 하락을 체감하지 못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수출량이 증가하지 않았고, 또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수입품 가격을 외국인들이 올렸지만 아직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격 상승을 체감하지 못하여 수입량이 감소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2. 환율 상승 초기에 '수입 상품의 가격이 오르지 않을 수 있는' 것은 상품 가격을 올리면 우리나라 사람들이 그 상품을 구입하지 않을 것을 우려하여 외국 사람들이 상품 가격을 올리지 않는 전략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3. 결국 환율이 상승하였음에도 경상수지가 개선되지 않는 것은 두 가지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게 되는 겁니다.
    1) 환율이 변했음에도 가격을 바꾸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원달러 환율이 상승한 경우 우리나라 회사가 물건값을 올리지 않는 것은 조금 팔아도 비싸게 파는 것이 더 큰 이윤을 준다고 생각하기 때문이고 외국 회사가 물건값을 올리지 않는 것은 바싸게 조금 파는 것보다 싸게 많이 파는 것이 더 큰 이윤을 준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지, 두 나라 사람들의 가격 변화에 대한 민감도의 차이 때문은 아님)
    2) 환율 변화에 따라 가격을 바꾸었지만 사람들이 아직 가격 변화를 체감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사람이건 외국 사람이건 가격 변화에 대한 민감도가 동일하게 둔함)

  • 학샘 · 441190 · 15/05/14 09:31 · MS 2013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면 외국 회사는 가격을 올리지 않지만 우리 나라 회사는 가격을 바로 내린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면 외국 기업도 가격을 바로 올리지 않는 정책을 사용할 수 있고 우리 나라 기업도 가격을 바로 내리지 않는 정책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환율 효과에 의한 무역 수지 개선이 곧장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는 겁니다. 또 외국 기업이 가격을 바로 올리고 우리 나라 기업이 가격을 바로 내릴 수도 있는데, 그렇게 한다고 해도 초기에는 가격 변화를 체감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이 곧장 무역 수지 개선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 JD-L · 290678 · 15/05/14 11:02 · MS 2009

    외국기업도 물건을 안올리고 울나라 기업도 안내리면 무역수지는 전과 같은거아니에요??

    처음에 그래프가 극소를 가지는 건 수출액-수입액이 점점 커져야되니깐
    수출액이 작아지던 수입액이 커지던 해야되는데 외국기업이 물건가격을 그대로 하면 수입액 그대로..
    울나라기업이 물건값안낮춰도 이익이 된다고 생각하면 수출액도 그대로 인거아니에요?? 뭔가 말쓰다보니 이상해지네..

  • 학샘 · 441190 · 15/05/14 11:38 · MS 2013

    가능한 경우의 수는 여러 가지입니다. 그 중의 하나가 외국기업도 물건을 안올리고 울나라 기업도 안내려 무역수지가 전과 같았지는 것도 포함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기업은 물건값을 내렸지만 외국 기업은 물건값을 올리지 않는 경우도 가능합니다. 이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수출로 벌어들이는 금액은 줄고 수입액에는 변화가 없으므로 무역 수지가 악화될 수 있습니다. 장기적인 안목으로 가격정책을 펼치느냐 단기적인 수지에 관심을 두느냐의 차이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 JD-L · 290678 · 15/05/14 13:32 · MS 2009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