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대 인문 오후2 내답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9857143
1이 3 압도하는 건 너무 쉬웠고 대부분 잘 썼을 거라 생각해서 굳이 길게 안 적겠음.
1이 3 압도하는 거 외에도 1과 2 비교, 2와 3 비교... 왜 압도가 성립하고 압도가 성립하지 않는지 모든 경우의 수 다 비교해서 적었음.
난 최소극대화에 따라 1을 선택해서 적었는데, 그걸 정당화하기 위해 활용한 근거는 (다) 지문의 조건 1과 3. 조건 2는 글자 수도 부족했고 시험장에서 한눈에 안 들어와서 못 썼음.
첫번째 조건은 최악의 결과가 감당 가능하냐 아니냐에 대한 내용이였기에 각 정책의 최악의 결과값을 비교했음. 정책 1부터 최악의 결과를 각각 정리하면 110, 70, 100이 되고, 정책 1과 3은 그 차이가 10인 반면 정책 2는 1과 3과 비교했을 때 40과 30의 차이를 보임. 따라서 정책 2가 가지는 최악의 결과가 정책 1과 3에 비해 견디기 어려운 결과라고 판단. 그러므로 최악의 결과를 비교하는 최소극대화를 활용하는 게 합리적일 것. 이라고 서술.
세번째 조건은 선택 기회에 관한 내용이였음. 하나의 역할만을 택하는 것이고, 역할의 재선택에 관한 언급은 따로 없었기에 한번의 기회뿐이라고 생각하는 게 합리적. 따라서 최선보다는 최악의 경우를 염두에 두는 것이 좋을 것. 이라고 서술.
불분명한 기억이라 완벽하게 복기하지는 못함.
지적환영.
본인 답안과 비교하는 것도 환영.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폴라리스 vs 크로녹스 중에 생각중인데요 혹시 둘 중에 어떤게 괜찮을까요? 다른 것도 추천받아요!
저랑 시작부터 끝까지 완전히 똑같이 쓰셨어요
신기하고 반가워서 댓글 남기고 갑니다.. 잘 읽었습니다
과 어디 쓰셨습니까?
저는 다에 일한만큼따라 보상많이 받는게 합리적이라고해서 정책선택 합리화 근거로 적었는데 맞으려나요ㅠ
이것만 적진 않았습니다
혹시 무슨학과 넣으셨어요?
사회학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