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번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9651192
수능은 잘 모르지만 문제 오류 논란이 생긴 것 같아 짧게 써봅니다.
우선 수능 수학(고등학교 수학)과 대학 수학의 차이점을 알아야 합니다. 12번 문제는 확실히 발문이 불명확하고 대학 수학의 관점에서는 오류라고 판단할 여지가 있으나, 추론 능력과 문제 해석 능력도 중요시되는 수능이기 때문에 "모든 n으로 해석해야 풀리도록 설계했다" 라고 변명하면 더 공격할 수가 없습니다. 순수 수학의 관점에서는 오류라고 생각을 하고, 충분히 이의를 제기할 수 있지만 평가원이기 때문에 전원 정답 처리될 가능성은 낮습니다.
사실, 순수 수학의 관점에서는 수능 수학의 출제 범위가 되는 고등학교 교과서의 많은 부분이 오류입니다. 극한의 정의도 오류라고 생각할 수 있을 만큼 추상적인 자연어로 해놓았고, 요즘은 수정되었는지 모르겠지만 연속함수의 정의도 잘못되었습니다. 미적분학에서 가장 중요한 미적분학 기본 정리(FTC)를 마치 자명한 성질인 것처럼 그림 하나 띡 그려놓고 넘어가는 만행을 저지르기도 했으며, 수열의 정의도 일반적인 정의와 다릅니다. (교과서에서는 초항을 a_{1}로 정의하지만 실제로는 n >= n_{0}인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_{n}의 값이 정의되도록 하는 최소의 정수 n_{0}에 대하여 a_{n_{0}}를 초항으로 설정하고 그렇기 때문에 a_{-13}과 같은 표기도 가능합니다.)
어쨌든, 수능 수학은 학문으로써의 수학과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를 무턱대고 학문의 관점에서만 접근하려 하면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n을 모든 자연수로 해석하는 근거를 이전 기출문제에서 찾아오시는 분들이 계셨고, 이에 대한 반박으로 이전 기출문제를 현 교육과정 내용으로 풀 경우 잘못된 답을 도출하게 되는 경우를 제시한 분도 계십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이건 조금 다르다고 생각이 되는게, "자연수 n"의 해석은 교육과정이 바뀌더라도 크게 바뀌지 않지만 예시로 드신 문제의 경우 교과서의 서술/정의 자체가 바뀌었기 때문에 틀린 답이 나오는게 당연합니다. 교과서 자체가 학문의 엄밀한 정의를 완벽하게 따르고 있지 않기 때문에 수시로 공격을 받으면서 수정되어 나가는거에요.
물론 이전 기출문제를 근거로 가져오는게 타당한가 역시 가치관이나 사고방식의 영역이기 때문에 논란이 발생할 수밖에 없습니다. 판단은 평가원에서 알아서 해줄거고, 이번 논란을 계기로 엄밀하게 접근하는 것보다 사고를 유연하게 해서 어떻게든 답을 도출하는 전략을 배워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아무리 시험이 거지같고 엄밀하지 않더라도 정시라는 방법을 선택하신 이상 거기서 점수를 잘 받는 전략을 취하는 방법 밖에 없습니다. 그게 너무 싫거나 어려우면 다른 방법을 찾아야죠. 정시가 꼭 답인 것도 아니구요.
번외로, 고등학교 교과서의 극한 / 연속함수의 정의가 얼마나 비엄밀한지 설명할 때는 다음 예시를 들면 됩니다.
(추가) f(x) = x^x
답부터 말씀드리자면 놀랍게도 1, 2, 3, 4번은 모두 연속함수이고 5번은 연속함수가 아닙니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연속함수의 정의는 정의역에서 연속인 함수이기 때문에 1/x도 연속함수가 되고, 3, 4번의 경우 극한의 엄밀한 정의를 사용하면 연속함수임이 증명됩니다. (고등학교에서 정의하는 극한으로는 상당히 애매한 상황이 생깁니다. 정의역이 1, 2, 3, 4, 5인데 x가 2로 다가갈 때 f(x) = x가 무한히 다가가는 값이란..) 또한, 5번의 경우 정의역이 양의 실수가 아니기 때문에 연속함수가 아닙니다. 정의역의 정의에 의해 x^x가 잘 정의(well-defined)되도록 하는 x는 양의 실수 + 음의 정수 + 분모가 홀수이며 분모와 분자가 서로소인 음의 유리수이고 양의 실수를 제외한 부분에서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이처럼 학문으로써의 수학은 자연어적 해석이나 추론에 의존하지 않고 모든 것을 엄밀한 정의에 입각하여 생각하기 때문에 고등학교 수학과의 차이점이 명확합니다. 수능에 이와 같은 문제가 나왔더라면 교과서의 오류를 지적하는 연구 논문이 한가득 나오고 문제 오류로 또 말이 많을텐데 이런 유형은 출제되지 않아서 다행이네요.
연속함수 문제에 대한 상세 해설은 아래 링크에 있습니다.
그리고 저한테도 '손도 못 대놓고 이제와서 오류라고 우긴다' 라고 조롱하실 분들을 위해 말씀드리자면 저는 04도 아니고, 애초에 수능판과 거리가 멀기 때문에 딜이 들어오지 않습니다.. 댓글들이 정말 살벌하더군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더 이상 진행한다면 이 과 침 공 해버릴 것
-
빨리 오너라~ 0
-
남이 잘되는 것을 꼴보기 싫어하고 억지로 남을 끌어내리려고 하는 “열등한 조센징...
-
이거빼곤 다푸렀는데
-
문혐하지마오 10
화1화2 선택해서 분탕쳐버릴꺼야
-
은평,서대문에서 수학과외하시는분 있으신가요?
-
R.I.P 3
미적 기트남...
-
호떡 먹다가 4
몸이 꿀범벅이됐네
-
걍 ㅅㅂ 사설독서 이래야함?
-
언확생윤사문 어디까지 가나요
-
ㅅㅂ
-
내가 문과라 상처받음.
-
게임.오바
-
TIM 풀면 자신있게 풀든 없게 풀리든 항상 반정도 밖에 못해요.. 올오카에서 배운...
-
싸구려 사설도 저렇게는 안하는데
-
원래대로 돌아가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
-
하나 해볼까
-
오르비언들은 4
매체기출도 적은데 여기서 사이트 기능 보면서 매체 체득하는거나 마찬가지 아닌가 완전 좋잖아
-
같은 문제 다른 선생님 해설 들으면 별로인가요? qna 게시판은 너무 답답한데
-
특수특수개특수의 향연 걍 특수 없이 깔끔하게ㅡ내기 힘드니까 그냥 특수한거만 미친듯이냄
-
오르비에서 적어도 이 두 유저는 우생학을 지지하는 것으로 결론내리겠다. 9
세상에는 옹호도 되는 것과 옹호하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
3모 영어2다 1
하 힘들다
-
매재작년 수능때 5등급 받았었고 이번 수능 목표가 2~3인데 세젤쉬 들으면서 쎈...
-
이감 온라인 3호 풀었는데 오래 걸렸어요..
-
제대로 안봐서 모르겠지만 혹시 시험지 워드로 만들었나? 2
그렇다면 폰트 바뀐것도 그럴만한데
-
a랑c사이 도저히 입사각 굴절각 누가 더 큰지 모르겠는데 어떻게 판단하나요?
-
어쩌면 오르비에는 우생학을 지지하는 사람이 많을 수도 있다. 0
이국종의 조선인 DNA 발언이 과격하지만 맞다는 사람들은 정말로 조선인이 태어날...
-
현재 독서-일클+이감으로 기출 문학-강기분 하고 있습니다 국어는 일단 기출이 먼저라...
-
언매실력을늘려버려요
-
완전 맘에 안듦 평가원 스타일의 간지가 사라진
-
나 바본가 3
곱미분이 미적인줄..ㅋㅋㅋ
-
내 실력이 떨어진 걸 수도 있는데 작수 공통이랑 비슷하거나 아주 약간 더 무거운듯?...
-
내가 허수라 그런가 문법 파트 의문사 ㅈㄴ 당하는 중
-
예시보니까 안보이던데 엌ㅋㅋㅋ
-
구분 하는 팁이나 그런 거 없을까요 문제에서 너무 햇갈리네여
-
이국종의 조선인 DNA 발언은 디시인사이드 제국주의와식민주의 마이너 갤러리에서 주장하는 것과 다를 바 없는 발언이다. 13
본인의 사회적 위치를 고려하면 나와서는 안 되는 발언이라고 생각한다. 깊은 유감이다.
-
문법,확통 통사통과 못해먹겠다
-
어렵게내려면 충분히 어렵게내는데 아쉽구만
-
진짜 묘하게 섞어놓았네요
-
㉡이 중성인 걸 바로 알 수 있는데 중성이 보기에 하나임..
-
난 점점 순해진줄알앗는데 뭐지?
-
이제 2년만 있으면 완전 새로운 세상이구나 사탐은 내 분야가 아니라 잘 모르겠고...
-
진짜 좆됐네 3
시험 2일뒤였네
-
갑자기 궁금한건데 카이스트 진학후 나중에 전공선택할때 제한이 없는 거 같던데...
-
4규 엔티켓 즌1 끝냄 다음에머할지..
-
예시문항 어때요 2
28수능 예시문항인거죠?
-
어려움?
-
현재 대한민국의 출산율은 0.75이며 한해에 대략 25만명이 태어난다. 이게 무슨...
이거지
이 글에는 감동이 있다
이거보고 서울대 수리과학과 가기로 했다
조롱하는것들이 제일 악질인듯 더불타게함ㅋㅋ
그나저나 교과서도 수학을 재대로 알려주진 못하는군요
문제가 엄밀치 못한건 납득하나 생2 20번 드립은 그냥 에휴이인듯
그나저나 mathbb 님이셨네요. 글과 자료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연속함수의 정의는 작년에 수2 시간에 학교에서 발표하며 열변을 토한 기억이 나네요. 초코바 하나 들고서 “다음중 연속함수인 것을 모두 고르라” 는 문제를 냈었는데 아무도 못맞추다가 수포자 친구가 “사실 저거 다 답인거 아니야?“ 해서 초코바를 받아간 기억이... 그때 엡실론 델타 논법도 소개하고 했는데 애들 다 잤어요 ㅠㅠ
진짜 정자로기입하랄때 바지안내렸냐는 말이 개쌉공감임 ㅋㅋㅋㅋㅋ
우리 시험장에선 “또박또박” 기재하라고 나왔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드립 개웃기네
캬
개체수 음수도 인정 안했었는데 이게 정답 정정될 가능성은 0이라고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