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ola [758219] · MS 2017 (수정됨) · 쪽지

2022-11-17 18:50:24
조회수 12,213

[Zola 면접] 변별력 없는 질문, 변별력 있는 답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9476364

이 글이 수능 글에 파묻히지 않기를 기도하며...ㅜㅜ

 


오르비에서 홀대(?!) 받는 수시 면접러를 위한 두 번째(!) 글을 시작하겠습니다.

(첫번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9388378)

  

이 글의 출발점은 아래 글입니다.

  

  

수시 면접은 보통 인성ㆍ가치관 면접이 주를 이룹니다. 

계열[문과, 이과, mmi, 교대 등등] 상관없이

자료 제시형 면접이 아닌 이상 

위와 같은 질문은 반드시 나옵니다. 

  

여기서 님들과 평가자 사이의 괴리가 생깁니다.

님들 입장에서

이런 문제들은 변별력이 없다고 생각하니까요!

나‘만’의 뭔가를 보여줘야 하는데

이런 질문으로는 나만의 뭔가를 보여주지 못한다고 착각하는 것이죠.

  

이제부터

‘변별력 없는 질문, 변별력 있는 답변’이라는 주제로 님들이 착각을 교정하도록 해 볼게요.

  

자 질문을 다시 봅시다.

[변별력 없는 면접 질문] 선배와 갈등이 생기면 어떻게 하는가?

  

[일단 님들 답변] 10초 이내로 답안을 생각해 보시길 바랍니다.

  

님들 답변 생각해 보셨죠?

  

우선 면접이든 뭐든 문제가 주어지면 문제에서 요구하는 사항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그리고 그 핵심을 파악하는데 도움되는 것이 문제 유형입니다.

  

Zola 핵심 [답안 핵심=문제 유형]

  

그러면 이 문제 유형은 무엇일까요? 아래 그림을 참고해서 님들이 파악해 보세요.

(만약 님들이 질문 유형에 대한 지식을 갖고 있지 않다면 님들은 면접 강의를 들어야 합니다)

  

[문제 유형] Zola식 분류

출처1: Zola 면접 1(https://class.orbi.kr/course/1768), 

출처2: Zola 의학계열/MMI 면접(https://class.orbi.kr/course/2093)

  

그러면 위 예시 문제는 아마도 ‘해결’형으로 접근 가능할 듯요.

  

다음은 해결형에서 요구하는 사항이 뭘까라는 것이죠.

아마도 그건 당연히 해결책입니다. 

(참고로 저는 해결책 제시 전에 논리적으로 작업 하나를 해야 한다고 합니다만 이건 영업 사항이므로 여기서는 생략할게요. 궁금하면 강의를 들으셈ㅋㅋ)

  

여기까지 잘 따라왔으면 본격적인 작업을 합시다.

  

이제 Zola의 질문입니다.

  

Zola 질문 : 해결책이 갖추어야 할 요소는 뭘까요?

(만약 님들이 이 질문에 대한 아래의 지식을 갖고 있지 않았다면 면접 강의를 들을 것을 강력히 권유합니다.)

 

저는 해결책을 제시할 때는 두 가지를 갖추어야 한다고 합니다.

(1) should=해야 한다.

(2) could=할 수 있다.

  

(1)은 해야 하는 것. 일종의 원리/원칙입니다.

갈등을 해결하는 ‘원리’나 ‘원칙’이 있으면 좋지 않을까요? 


학생 답변 1. 저는 갈등 해결을 그때 그때 제가 알아서 합니다.

학생 답변 2. 저는 갈등 해결을 위해서 이런 저러한 원칙 하에서 시도합니다.

  

님들이 평가자면 두 답변 중에서 어느 답변에 더 좋은 점수를 부여할 겁니까?

  

만약 답변 1이 더 우수하다고 생각되시면 이 글 그만 읽고 나가세요. 굳이 님에게 제가 더 설명해 드리고 싶진 않습니다.


만약 답변 2라고 생각되시면

더 읽어 보세용~


님들이 만약 원리/원칙을 제시했다고 한다면 잘 하신 겁니다.

그런데!!!!!!!!!!!!!!

여기서 끝나면 좇됩니다.


(죄송..이런 표현을 면접에서 사용하면 x됩니다..ㅜㅜ)


왜냐하면 대부분의 원리/원칙은 뜬구름 잡는 혹은 꼰대틱한 혹은 교과서적인 혹은 정형화된 것이니까요.

그래서 별 내용이 없는 것이 대다수입니다.


만약 님들 중에 이런 답안이 안 좋다라는 얘기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원리/원칙을 만드려고 하신다면 

그러면 저를 버리세요. 저는 님들을 가르칠 자신이 없습니다.

님들이 '자신만의 원리/원칙'을 만들 수 있다면

님들은 인류를 구원하셨든가(세상에 선배와의 갈등을 없앨 수 있으니까)

아니면 반대로

남들에겐 소용없는 원리만 제시한 것이죠(말 그대로 나'만' 통하는 원리/원칙이니까요)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게 (2)입니다. (2)는 할 수 있다는 겁니다.

다시 말해 (1)에서 언급한 원리/원칙을 실현시킬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게 사실 어렵습니다. 그래서 평가의 핵심은 (2)가 됩니다.

  

학생 답변 3. 저는 갈등 해결을 위해서 이런 저러한 원칙 하에서 시도합니다. 이러한 원칙을 실현하기 위해 요러 저러한 실천 방법들을 동원합니다.


  

그러면 세 답안을 다시 볼게요.

  

학생 답변 1. 저는 갈등 해결을 그때 그때 제가 알아서 합니다.

학생 답변 2. 저는 갈등 해결을 위해서 이런 저러한 원칙 하에서 시도합니다.

학생 답안 3. 저는 갈등 해결을 위해서 이런 저러한 원칙 하에서 시도합니다. 이러한 원칙을 실현하기 위해 요러 저러한 실천 방법들을 동원합니다.

  

세 답안 중에서는 어떤 것이 좋나요? 


이 정도 설명했으면 님들과 저의 판단은 일치할 것 같습니다.


이제 다시 질문드립니다!


Zola 질문: 님들의 처음 답안지에는 제가 말씀드린 2가지 요소가 들어가 있었나요?????


만약 그런 요소가 부족했다면 Zola는 님들에게 엄청 도움이 될 겁니다.

제 수업을 듣는 분들은 저런 요소를 포함하는 답변을 작성하실 겁니다. 

그래서 아래 수강생은 제 수업의 의도를 정말 잘 실현시킨 수강생들입니다.

  

  

여기까지만 해도 엄청난 면접을 보신 겁니다. 

그런데 하나 더 남았습니다.

  

다시 님들 답변의 구조를 봅시다.

  

해결 원칙 제시 → 구체적 실천 방법 제시 → ????

  

????


뭔가 아쉽지 않나요? 

뭘까요?

바로 성공담입니다. 

님들이 제시한 원칙과 실천법이 현실에서 통했다는 것을 보여주면 되겠죠.

  

Zola 답안 구조: 원칙 제시 → 구체적 방법 → 사례

  

여기서 사례가 제가 말하는 mylife입니다. 

mylife는 간단히 나의 경험담입니다. 

다만 mylfe는 필수는 아니구요, 선택이라는 점과 

만약 선택했다면 이야기가 주절주절 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

그리고 지극히 개인적인 의미 부여로만 그치면 안 된다는 점 등이 주의해야 합니다.

(이런 것들을 인강에서 다 얘기했으니 이쯤 읽었으면 Zola 인강 나름 괜찮다고 판단할 수 있지 않음???)

 


이상입니다.

지금까지 제 얘기가 나름 설득력을 갖는다고 생각되시면

아래 수강평 한 번 더 확인하시고

제가 소개해 드린 커리 확인하시고

바로 수업 들으세요!

  


 

  

  

강의 커리 소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9388378

  


수능이 끝났습니다. 

수능 분석이나 반성은 필요없지 않나요?

남은 면접이 있다면 면접에 신경쓰시고

Zola를 활용해 보십시요.


인강도 있고 현강도 있습니다.


현강(디 오르비: 02-522-0207) 

https://ipsi.orbi.kr/


열공+즐공=대박!!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