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20 [1020944] · MS 2020 · 쪽지

2022-11-15 11:02:53
조회수 2,028

브레턴우즈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9405777

11번 문제에서 정답인 선지가 의문이 들어서요

 

마르크화 평가절상시 같은 금액으로 구입 가능한 금의 양이 증가한다면 

왜 독일과 일본은 평가 절상에 나서지 않은건가요? 


그냥 독일 일본은 절상 안했네 라고 지문에 쓰여있고 

그럼 독일 일본은 평가절상이 안좋은 것인가 라고 생각해서

안좋은거면 같은금액으로 적은 금을 얻는거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어서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요망한오리비v.03 · 1175914 · 22/11/15 11:03 · MS 2022

    그게 플라자 합의임

  • 페 리 · 1071435 · 22/11/15 11:04 · MS 2021

    마르크화를 평가절상 시킨다 = 금을 더 살 수 있다
    마르크화에 대해 달러를 평가절상 시킨다(마르크화의 환율을 내린다)= 금을 적게 살수 있게 된다 이거 아닌가

  • ca20 · 1020944 · 22/11/15 11:06 · MS 2020

    달러화에 대한 여타국 통화의 환율을 하락시켜 가치를 올리는 평가 절상이라고 적혀 있는데..
    그럼 환율관점으로 봐야하는 건가요?

  • rlalal · 873912 · 22/11/15 11:08 · MS 2019

    저 방법은 근본적인 경상수지를 개선하는 방법임

  • rlalal · 873912 · 22/11/15 11:09 · MS 2019

    적자-달러유출-금준비량급감 인데 달러화 평가절상은 세 번째 단계, 달러화에 대한 다른 통화의 평가절상은 첫 번째 단계에서 해결하는 방법임

  • ca20 · 1020944 · 22/11/15 11:13 · MS 2020

    음.. 무슨의미 인지 알듯 하긴한데
    지문의 평가절상과 선지의 평가절상이 서로 다른 단계에서 쓰인다는 의미인가요?

  • rlalal · 873912 · 22/11/15 11:17 · MS 2019

    평가절상 하면 독일 일본이 금을 더 많이 얻을 수 있긴 한데 경상수지가 악화되는거죠

  • rlalal · 873912 · 22/11/15 11:18 · MS 2019

    미국 입장에서는 적자를 안보면 애초에 금 준비량이 떨어지지 않을테니까요

  • ca20 · 1020944 · 22/11/15 11:18 · MS 2020

    아 그렇군요..! 이해됐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