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 [1161635] · MS 2022 (수정됨) · 쪽지

2022-11-12 09:32:59
조회수 3,541

지구) "평가원스러움" 잘 아는 사람만 들어와보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9320048


https://orbi.kr/00059311728/%EC%A7%801-%EC%99%B8%EB%B6%80%EC%9D%80%ED%95%98%ED%99%A9-%EC%9E%88%EC%9D%8C%3F%3F



평가원이 이 문제를 낸다면 "서로 다른 그래프의 같은 상댓값이 같다고 느낌적인 느낌으로 알아야 한다" 

라고 말 할 수 있음??


일단 수특에는 저 가정을 안해도 풀리기는 하지만 저런 형태의 그래프는 있음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박서함 · 1176966 · 22/11/12 09:36 · MS 2022

    앞에 지과좀 붙여주세요

  • 나를 죄수생이라 부르라 · 1169147 · 22/11/12 09:37 · MS 2022

    뭐야저거어떻게푸는거야

  • "H" · 1161635 · 22/11/12 10:34 · MS 2022

    저 문제는 (가)가 짧은 파장의 에너지 세기가 (나)보다 약해서 (가)가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타원은하임을 잡고 푸는게 오피셜 풀이인데 이제 요지는 서로 다른 그래프의 같은 상댓값이 같은 값이라고 볼 수 있는가? 이거임

  • 뇽뇽씨 · 892640 · 22/11/12 11:32 · MS 2019

    큰일났네 가기 막대나선은하라고생각했ㄴ데 하...

  • broroot · 784602 · 22/11/12 11:50 · MS 2017

    흠.... 은하의 스펙트럼에서 방출선이 강하게 관측되는 경우 '성간 물질'의 영향이 매우 크다고 해석할 수 있고, 반면 흡수선이 강하게 관측되는 경우 성간 물질의 영향이 작으며 별에 의한 효과가 상대적으로 강하다고 해석할 수 있는데, 이게 교육과정 내에서 안주고 물어볼 수 있는지는 의문이네요 개정전 지2에선 좀 다뤘던거같은데

  • broroot · 784602 · 22/11/12 12:00 · MS 2017

    크로녹스 있으시면 하권 209p 읽으면 아마 도움이 될거에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