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1 외부은하황 있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9311728

이거 은하 구별 도대체 뭘 보고 하는 거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인스타그램에서도 활동하고 있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
아니.... 12
이분 아이민 버그임..?
-
가보자가보자 1
-
님들 저 생일 4
10년뒤임
-
?……….
-
잠이 안온다 1
공부도 안했다 이 쓰레기 대학생
-
더프보다 떨리는 2
결승전
-
아 개떨린다 0
가자 토트넘.
-
애니 정주행도 끝!
-
북대서양 심층수랑 남극 저층수가 심해층에 산소를 공급한다는 건 확실히...
-
미안 1
너의 말들을 무시해버리고 좋은말만 해주면 너가 조금은 자신감을 얻을줄 알았는데 너무...
-
유로파 대기방 4
-
살려주세요 13
집에 바퀴가나왔어요 너무 무서워요
-
늦었겟지 걍 라면먹을까
-
한국지리 수능 기준 1컷 50 ~48? 이전 더프보다는 좀 덜 유기한 듯한 완성도로...
-
4규 시즌2 ㄱㅊ? 엔제 추천해주세오
-
ㅇㅇ
-
네
-
내일도학교못가데생겼네
-
크아악 5
-
후반엔 나오겠지?
-
수시 0
현역 내신 따기 어려운 여고 다니고 있고 내신 전교과 3.52정도 나오는데 건축이나...
-
선풍기틀고자니까 4
2시간만에계속깸/몸이 너무 아픔
-
ㄹㅇ 맛있게 들어주겠지
-
개덥다 0
내일 선풍기 꺼내야지
-
되려 맨날 1컷 언저리서 노는 애들이랑 그 이상이랑 좀 갭이 있는거같음 약간...
-
ㄹㅇ 일케 떨린 적 별로 없는데 ㅈㄴ 떨려서 미치겠음
-
시발
-
아오 더워죽겠네 3
아오...
-
We have here history on a senseless side, with...
-
제이팝견 1
한 주 동안에 이만큼 들었네
-
"만표 81"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달다
-
열이나는거같고 2
머리아파오고 얼걸이빨개지ㄱ아피빙긓빙글
-
선거게임도 했어요 올해 정법으로 런한거라 잘 모름
-
실모 입문용으론 괜찮을듯
-
낭떠러지를 조심하세요..
-
사람들이 좀 더 1
김기철쌤을 많이 들으면 좋겠다. 오르비에선 듣는 사람 잘 안보임
-
ㅈㄱㄴ
-
잠이오는데 4
잠이안옴 자려고 계속 누워있었는데
-
모고 풀다가 막히는 문제 나오면 바로 넘기시나요
-
미적임 3덮 68 3모 72 4덮 80 5모 85 5덮84
-
한줄한줄 눈으로 스캔하니까 읽히지도않고 해석도안되는데 고전소설 5분컷! 하는 분들은...
-
난 왤케 귀여울까 18
요즘 심히 걱정임
-
공통 14 15 21 22틀인데 확통 282930 다틀림ㅠㅠ
-
시간대비 가성비 썩은거같은데 2등급 목표로 하고 딴 과목하는게 낫겠지?
-
왜 펀드만 환율이 다르노....
-
D-36ㅇㅈ 2
골골거리면서도 열심히 해서 뿌듯하네요
-
https://orbi.kr/00073209262 흠…
-
ㄱㅊ 난 짱 쎈 토끼 12
ㅇ 안쫄 잘자
나선은하가 타원은하보다 젊은 별이 많다는 점을 응용해서 젊은 별->붉기보단 파란 별->최대에너지 파장이 짧다
그럼 (가)가 막대나선은하가 돼버리는거 아닌가여..?
축에 숫자 다른 것도 인지 하신건가요!
글케푸는거아닐텐디
그렇군요... 그냥 지나가겠습니다
가로축은 똑같은데 최대에너지 파장은 세로축 스케일이랑 상관없지않음?
게다가 상대값임
근데 최대에너지파장 짧은쪽은 a인데 그럼a가 표면온도높은것 아닌가....?헷갈리네
최대 에너지 파장 저 부분 하나만 높은데 글케 해석해도 됨?? 가 그래프는 최대 에너지 파장이 어딘지도 애매하지 않음?
'세이퍼트 은하는 나선은하보다 방출선폭이 넓다'
나에 방출선 있어서 세이퍼트 > 막대나선 일케 되는 거예요? 폭 넓은 건 잘 모르겟는데
ㄴㄴ 이 문장에서도 나선은하는 방출선 관측될수있다는걸 알수있고 교과그림에도 나와잇을걸요 방출선 폭 비교해서
아하 그럼 딴 은하는 방출선 안 나오는데 쟤만 나와서 나선 되는 거?? ㄱㅅㄱㅅ요
ㅇㅇ방출선이 아마 회전하는 뜨거운 원반이 있어야 나오는거루앎
저거 흡수선 선폭으로 비교하면 되는거ㅇㅇ 밀도가 클수록 흡수선 선폭이 크니깐요 대체적으로 (가)가 선폭이 큼 (나)보다
걍흡수선방출선 구분문제아님??
나선은하 방출선 회전해서 ㅇ
저거 피크치는거 하나보고 판단하는건가
어디꺼임?
종로여
막대나선 없눈데여
ㅋㅋㅋㅋ
그러게여 그냥나선은하네
ㅠㅠ
그냥 넘어가줘잉
그냥 (가)에 온도 높은 별이 거의 없잖아요 파장 짧을수록 온도가 높은데 가 보면 파장 짧은쪽으로 갈수록 급감하는 경향이 있음 흡수선 방출선은 전혀 문제랑 관계가 없어보이는데 (나)에서 피크치는 부분은 나선은하 중심 저온 별 모여있는 부분이고
?방출선은 고온기체에서 나오는거 아님?
급감은 솔직히 (나)도 큰 차이 없지않나 스케일땜에 그렇지
무슨소리임 저거 그래프가 그냥 방출선 그래프에요... 피크치는 부분이 방출선인게 아니라
? 대체 어디에 방출선 그래프라고 나와있음 흡수선이 너무 잘 보이는데
당연히 설명 안해주죠 그냥 당연히 방출선 그래프인거니까
그럼 저 움푹 파진건 뭔데요
방출선 흡수선 그래프가 따로있는게 아니라 파져있으면 흡수선이고 튀어나오면 방출선인거임
아니 그니까 파여있는 부분이 흡수선인건 맞는데 피크치는 부분을 방출선이라고 부르는게 아니라 그냥 저 그래프에 나타난 모든 부분이 그냥 방출선 이라고요
다 방출선이라고 하는건 첨 들어보는데
그럼 방출선 그래프에 흡수선도 나타난다는거임..? 진짜 모르겠어서 그럼
자세히보면 나에서 4000보다 파장 짧은 부분에서 세기가 1에 가깝게 피크치고 있잖아요 타원은하면 아예 불가능한 상황임
갑자기 헷갈리네 나도 원래 저거 걍 방출선 그래프고 저렇게 피크치는걸 방출선이 뚜렷하다고 하지않음? 간격 넓은부분은 방출선 간격이 넓다고 그러고
님말대로 치면 모든 부분이 흡수선도 되는거 아님? 방출선 그래프라는 말을 첨 들어봄
방출선그래프없음ㅇㅇ..퀘이사만 정반대로 나오는데 그래서 그래프보고 퀘이사라 판단하는 문제를 낼수잇는이유
찾아보니까 제가 잘못알고 있었던듯 난 지금까지 저게 그냥 다 방출선이고 피크치는 부분을 방출선이 뚜렷하다고 말하는줄 알았는데 혼란줘서 죄송해요
오오 가) 파장 짧은쪽 세기가 약해서 고온별 별로 없다고 판단할 수 있는 건가요? ㄱㅅ합니당~~
근데 (나)에서 피크치는 부분은 나선은하 중심 저온 별 모여있는 부분이고 << 이부분은 어케 아는 거예요??
답지는 없는거임? 이거 ㄹㅇ 뭐지진짜
걍 저 그래프가 파장에 따른 복사에너지 세기인데 저 그래프 적분하면
그래프 밑 면적이 복사에너지 총 세기됨
복사에너지 총 세기는 표면온도 네제곱에 비례해서 (나) 가 (가)보다 밑면적이 넓으니까(=표면온도가 높으니까) 막대나선은하인거임.
내 설명이 젤 정확함!!!!!!!!
상대값이라 적분해서 비교를 한다는 게 의미가 없는데요?
정확한 값은 못구해도 크기비교는 가능하잖아요
크기비교가 안 되는 이유가 저 1언저리 값으로 나온 상대값이 각각의 은하속에서 파장에 따른 복사에너지의 세기를 나타낸 거라 님이 말하는 면적이 왼쪽 클지 오른쪽이 클지는 실제 측정값을 둘이 비교해서 나타낸 상대값이 아니라서 (가) 면적이 4000이고 (나) 면적이 1일 수도 있는 말그대로 그냥 비교가 안 되는 그래프이고 (가)그림에서 파장이 작은쪽에서 에너지 세기가 파장이 큰 쪽보다 작다는 걸로 온도가 낮은 별이 더 영향력이 있는 타원은하이다 이런식으로 푸는 문제 같아요
아하 님말이 맞는거 같네요
저는 상댓값이라는게 (가) (나) 그래프를 같이 고려한 건줄 알았는데 아닐 수도 있겠네요
복사에너지 총 세기는 겉넓이*표면온도^4에 비례 아닌가요?
그건 광도에요
파장에 따른 복사에너지 세기라서 온도의 네제곱에 비례는 아닌거같아요
아 어차피 상대값에다가 곱해버리는거라서 광도나 표면온도 네제곱이나 같은 형태일거같네요
걍제말이맞음 저거 방출선그래프면 손목자름
우리가아는 흡수,연속스펙트럼만 흑체복사(람다맥스로 온도 추정가능한 그래프)지 방출그래프는 배우는게없음ㅇㅇ;
상댓값 1이하인것도 걍 흡수선 나타내는건데 흠
방출선 흡수선 그래프가 무슨 의미인가요? 애초에 광도그래프, 플랭크 곡선이 나타내는 게 에너지 세기에 따른 방출선 그래프 아님? 근데 저렇게 뾰족한 점이 존재하는 이유가 대기 기체들이 에너지 흡수해서 아래로 뾰쪾하꼐 나타나는 것이고요
방출 스팩트럼
긍까 저 위 그래프들은 방출 스펙트럼 그래프 맞지않나요
연속적인 방출 그래프는 퀘이사밖에 안나오는거루아는데
흑체복사가 원래 들어온만큼 방출하는거라 연속,흡수 스펙트럼도 방출하는 에너지 그래프긴하죠
아 미친 물리러로서 흡수 방출 스펙트럼을 구분 못했다니 ㅋㅋ 맞네요
근데 퀘이사가 나선은하인지 타원은하인지 어캐 알아요??
?? 퀘이사만 방출스팩트럼을 연속스팩트럼마냥 미친놈처럼 뿜어대는거로 문제나오지않음? 그거말한거걍ㅋㅋ
람다맥스로해도돠고 밑면적으로 해도되는데여
대략 붉은색 파장이 700nm 황색 파장이 550nm입니다
(가)에서
450nm 이하 영역이 450nm 이상 영역보다 월등하게
수치가 적은 걸 볼 수 있습니다
황색~붉은색 영역에서 강하게 나타나니까
붉게 보이기 때문에
타원은하라고 부를 수 있겠죠
(나)에서는
특이값 제외하고 전 영역에서 비교적 고르게 나타나니까
덜 붉게 보이기 때문에
막대은하라고 부를 수 있겠죠
크로녹스 보면 타원은하보다 불규칙은하, 나선은하가 광도가 큼, 그래프 보면 (나)가 더 광도가 크니깐 (나)가 나선은하
아님요 타원은하가 광도 더 큰 범위까지 존재해요 타원은하가 광도 제일 클 수 있음
마자요
광도범위때메 그렇게풀면좆댐.
? 무슨
광도 크니까 거성이라는 논리랑 동일한듯
타원은하 평균광도 작아서 (가)가 타원
나선만 방출선이라 저는 그렇게 품
저거 전체적인 경향으로 보는거라고 쌤께서 말씀해주셨어요! 종로학원 이번 모고맞죠?ㅎㅎ
(나)에서 피크치는 건 은하 안에 별이 많으니까 뭐 저렇게 많이 방출하는 녀석이 하나쯤 있을 수 있다.. 이렇게 해석하면 될듯요
어떤 전체적인 경향이여..? 스케일부터 달라서 헷갈림
긍까 스케일 다르게낸것도 실측값때메 그런거같은데
근데 저렇게 방출선 튀는거 파장보면 붉은색 저온별인데 좀 이상하지 않음?
(나 ) 보다 (가)에서 전체적으로 긴 파장영역대에서 방출선이 나와서 그걸로 판단하라고 말씀해주셨어요!
와 근데 님 말이 맞는 듯
상댓값이라는 게 그래프 하나에서만 물리량이 존재해야되지 저렇게 두 그래프가 각각이 상댓값을 잡아버리면 다른 거 아닌가요?
ㄹㅇ 그래프 두개에 각각상댓값이면 의미없는거 아닌가
내 행동영역 태도에 맞지 않는 문제는 쓰레기 문제라 판단 가능함
와 이거 의견 갈리는 거 대박이다.... 제발 누가 설명해주세요
스케일 다르게준것도 그냥 높게 올라가는걸 보여주려고 그런거같은데 내 모든관심법을 총동원해봐도 방출선이 출제의도맞는거같은데
ㄹㅇ수험생이 판단할 수 있는걸로 보이는게 방출선 말고는 모르겠음
온도도 가능하지 않아요? 나에서 갑자기 고온별 세기 1찍는데 이건 확실히 타원이면 불가능 하잖아요
헤일로가 온도낮은쪽이라서 낮은곳에서 방출선생기는거 걍 딱들어맞는데 머지 ㄹㅇ문제
맨 왼쪽에 작지만 혼자 튀어나온거 그거 말하는건가?? 뭐 얘기하신건지 모르겠음
네 그거 말하는가
그냥 전체영역에서 비율 고르게 나타나는걸로 나선은하 대응시키라고 준거아님? 별 의미없는 문제같은데
딕마인가 지구과학 전문가 그분 모셔오고 싶네
람다 맥스로 현장에서 풀었는데 방출선도 맞는설명 아닌가요?
람다 맥스로 풀면 저거만 봤을땐 가가 나선 아님?
정확히는 가 람다 맥스가 가 안나온 거 아님? 저 뒤에 나오는 거 같은데
복사 에너지 세기 준거 보니 파장 길이비교 하라는거고
타원은하가 한순간에 생성되어 한지점의 파장에서 아주강한 세기를 가지고
나선은하는 나선팔에서 항성 만들어지니 전반적으로 비슷한거 아닌가요?
별의 지속적 생성 여부로 판단할수 있을것 같은데
오 저도 이생각했는데 이게 맞는거 같아요!
생각해봤는데
나선은하는 꾸준히 별을 생성하고
타원은하는 처음에 많이 생성했다가 나중으로 갈수록 거의 별을 만들지 못한다는 기출문제가 떠올랐어요.
그래서 (가)에서는 (나)에 비해 불연속적인 반면, (나)는 전체적으로 일정해보이는 모양이다..이런 논리로 해결하는거 아닐까요??!
뭔 의대생 약대생 연대생 고대생 한양대생 의견이 다 갈리는 이딴 좆같은 문제가 다있음?
이런 거 처음봄 시발 ㅋㅋㅋ
지구과학이 이래서 ㅈ같음
걍 문제가 이상하다고 하는게 마따
지나가던 사람1인데 그래서 누구말이 맞는거임?
그냥 전파장에 걸쳐 복사 에너지가 1미만?인 별이 많은건 타원 (나)는 보면 1보다 조금씩 높은 별들이 전파장에 분포하다가 빡 띄어버리는데 그게 나선은하인듯
파장 비교가 아니라 그냥 전체 파장에서 저런 에너지를 갖는 별들이 고르게 분포한다고 보는게 맞는듯
상댓값이라 1은 아무 의미 없음 양쪽 1이 같다는 보장x
양쪽 에너지 같다 봐야되는거 아님? 상댓값이라는건 저기 0.4 나오고 저런거 때문에 해논거 아님? 상댓값이라 해야 저렇게 뻗어나가는 (나)의 그래프를 만들 수 있으니 같이 해버리면 종이 찢어서 나갈거아님
모르겠음 사실ㅋㅋㅋ
그거만으로 어떻게 양쪽 1이 같다는걸 보장함
제가보기엔 출제자는 같다는걸 전제로 문제를 냈지만 저걸 같다고 볼 근거는 없는거같아요
만약 양쪽 상댓값이 안 같은데 저렇게 줄 거 같진않음 /고로 출제자가 ㅂㅅ같음
소신발언) 수특도 저렇게 상대적 세기 그래프 2개 있는거 있는데 양쪽 1 같은건 알잘딱하게 봐야하는거 같음
ㅇㅇ 조건에 뭔가 두 상대값의 기준이 같다는걸 명시해줬어야하는듯
에휴 좆병신과목 내가 이걸 왜해ㅛ지
종로모곤가
나선은하에서 방출선 나오는것도 모르고 있었네 ㅋㅋㅋㅋ
네생각 문제 ㅈ병신같네ㅇㅇ
반박시 내말이 맞음
아 ㅁㅊㅋㅋㅋㅋㅋ 다 의견 갈리는거 개웃기네
플랑크 곡선 떠올리면 복사 E세기가 (나)가 (가)보다 거의 E 세기 커서 그 밑에 면적이 온도에 따르니까 (나) 온도가 커서 나선인거 아닌가요?
문제 하나에 몇십명이 들러붙어서 ㅈㄹ해야되는거 보면 지구과학은 병ㅅ과목이 맞다
온도가 높고 젊은 별 : 방출선이 많음
온도가 낮고 늙은 별 : 흡수선이 많음
이거 관련 문제 솔텍인가 식센모에 나왔는데 틀렸어서 똑똑히 기억함
ㅇㅇ 이게 맞음
현장에서 그냥 (가)가 흡수선 (나)는 방출선 경향이 뚜렷해서 (가)가 타원이라고 그냥 바로 풀었었는데
은하 전체를 흑체라고 생각하고 푸는겁니다 평균 색지수 따지세요 당연히 (나)가 max가 파장이 짧으니까 나선은하죠
긴거 아님?
파장이 짧은게 나선은하죠 나선은하가 온도가 높은 별이 상대적으로 많으므로
그니까 나 가 맥스 파장 더 길지않음? 가는 그게 그래프에 없고
가가 더 짧음 저건 하나가 툭튀는 경우잖아요 하나가 툭 튀는거부터 흑체가 아니게 되는거죠 별들이 모여서 은하가 된거라 저기 훅 튀는 경우는 다른 어떤 상황에 의해 생긴거라 보는게 타당함
흑체복사는 곡선형태를 띄므로 저렇게 그래프가 훅 튀는 경우를 제하고 생각해야함
전체적인 곡선을 봐보세요
아하
어렵누...
주화입마에 빠져버릴거 같다 아
고온도 영역 즉, 낮은 파장 대의 영역에서 에너지가 (나)가 더 크니까 (나)가 나선
낮은 건 높은 건지 구분이 됨?왼쪽 1이랑 오른쪽1이랑 같다는 보장이 없는 고 아닌가??
방출선 흡수선 보고 온도 구분하라는 게 맞는 거 같은데
상댓값이면 양쪽 모두한테 동일한 비례로 적용되는거 아니에요?
1이 왜 나옴 ㅋㅋ 그냥 그래프 개형이 그렇단건데
Spiral galaxy spectra are characterized by strong emission lines, due to hot young stars which heat the surrounding gas, and by absorption features due to the older, underlying stellar population.
Elliptical galaxy spectra are characterized by strong absorption lines, due to metals in the stellar atmospheres of the low luminosity stellar population. We see few to no emission lines ([OII]3727A and/or [NII]6583A are occasionally present), as there are essentially no young stars and no gas.
http://astronomy.nmsu.edu/nicole/teaching/ASTR505/lectures/lecture26/slide01.html
이 페이지 참고해보세요. 수능 개념에서 구분하는법은 까먹어서 뭐랑 연관있는지는 모름
타원 은하가 상대적으로 흡수선 많다
람다 맥스랑 밑에 넓이 드립은 왜 자꾸 나오는거임 람다맥스는 구분도 안되고 상대값때문에 넓이도 모르고 의미도 없는데.
그냥 방출선 흡수선 문제 ㅇㅇ
람다맥스 파악 가능한 것 같은데
지구과목이 이런점이 ㅈ같음
걍 개쓰레기문제임 버리셈 ㅋㅋㅋ 뭘 이딴문제를 다 내냐 ㅋㅋ
솔텍에 이 발상 활용하는 문제 있었는데 힝
스펙트럼 형태로 판단하는거 맞아요 이 자료에서 파장에 대한 에너지세기의 추세선을 긋고 그 선에 비해 아래로 떨어지는 경향이 큰 스펙트럼이 타원, 위로 치솟는 경향이 큰 스펙트럼이 나선 은하에요
유사과학수준ㅋㅋㅋㅋㅋ씨발이게뭐람
ㅋㅋㅋ 걍넘기는게 씹이득
그래서 결론요약좀..ㅋㅋㅋ
결론은 모르겠는데 저문제는 방출선이 많으면 고온의 별이 많고 나선은하 흡수선이 많으면 저온의 별이 많고 타원은하이다.
솔텍n제 3단원 step2 45번 문제임
위에 새끼들이 뭐라하든 이게 맞음
나도 걍 추세선 존나 관심법해서 람다맥스로 판단하면 되겠네. 했는디 댓보니까 그냥 타원-흡수선, 나선-방출선 많다. 이거 외우면 되는듯.. .
토론장이노
저온 저압- 흡수선(스펙트럼)-(가) 타원
고온 저압- 방출선(스펙트럼)-(나) 나선
저는 일케 생각했는데 맞아요?
걍 퀄 병 - 신 마이너 학원 모의고사는 거르는게 맞다 ex) 조투스, 좆로학원
온도로도 판단불가 오직 방출선 흡수선으로 개형파악해서 푸는 문제인게 맞나요?
천체파트 ㅈㄴ 자신있지하고 들왔는데 이게머선
(가) 에 있는게 짧은파장 세기가 크게 낮아서 E4이고
(나) 에 있는 뾰족한부분 때문에 나선은하다 생각할수도 있단건가
빈의 변위 법칙 써서 은하 온도 차이로 판단 하는 건줄 알았는데 댓 보니 아닌거 같군요 ㅜㅜ
죄송한데 출처가 뭐에요 이문제 골때리네
종로모고요
이거 신혁쌤 아폴로에 있는데 저는 흡수선 방출선으로 배웠던거 같아요 흡수선있는 그래프가 타원은하 방출선 있는 그래프가 나선은하로 풀었던거 같..
위로 뾰족이 방출선 아래로 뾰족이 흡수선인가요?
안나옴.
여윽시 사설 그 잡채
완전 교육과정 외라고 하기는 좀 애매하지만, 평가원에서 출제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주제인건 맞습니다. 일단 생각해봐야할 것은 은하라는 것은 수많은 별들은 물론 성간 기체(성간 물질)를 포함하고 있는 집합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은하의 스펙트럼은 이렇게 은하가 포함하고 있는 별들과 성간 기체들의 스펙트럼의 총합이라고 할 수 있지요. 그런데 나선 은하는 성간 기체를 나선팔 부분에 비교적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는 반편 타원 은하는 성간 기체가 거의 존재하지 않습니다. 또 한편 방출선을 방출하는 주체는 주로 '고온 저밀도의 기체', 즉 고온으로 가열된 성간 기체들입니다. 이에 따라 나선 은하의 스펙트럼에서는 방출선이 뚜렷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크지만, 타원 은하는 그렇지 않습니다. 따라서 방출선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나)는 나선 은하, 그렇지 않은 (가)는 타원 은하로 해석하는 것이 가장 올바른 해석입니다. 다만, 타원은하의 스펙트럼이라도 상황에 따라(은하핵의 활동성 여부에 따라-ex.전파 은하) 방출선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기도 합니다. 그러한 부분에서 평가원에서 출제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주제로 판단됩니다만.. 어디까지나 일반적인 타원 은하와 나선 은하의 스펙트럼을 생각하면 위와 같이 판단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나)의 방출선을 인지하고 그래프를 본다면 최대복사에너지 세기가 나타나는 파장이 (가)보다 (나)가 더 짧습니다 방출선이 나선은하에서 나타나서 (나)가 막대나선이라는 풀이도 있던데 타원은하도 방출선은 나타날 수 있는지라 그 풀이는 적절치 않습니다
상댓값 줘서 강제로 최대복사에너지 세기 찾게 만들고 방출선으로 엿맥이려고 의도한 문제같아요